KR200440559Y1 -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 Google Patents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559Y1
KR200440559Y1 KR2020080001563U KR20080001563U KR200440559Y1 KR 200440559 Y1 KR200440559 Y1 KR 200440559Y1 KR 2020080001563 U KR2020080001563 U KR 2020080001563U KR 20080001563 U KR20080001563 U KR 20080001563U KR 200440559 Y1 KR200440559 Y1 KR 200440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enter
compass
gears
swi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기 filed Critical 이상기
Priority to KR2020080001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9/00Circular curve-drawing or like instruments
    • B43L9/02Compasse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를 조절하는 헤드부에 구비된 중심대와 회전대의 상단부에 서로 엊갈리는 쌍기어 구조를 형성하여 각도조절시 뒤틀림을 방지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헤드부와, 헤드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회전 지지침이 형성된 중심대와, 헤드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필기구가 구비된 회전대를 포함하는 컴퍼스에 있어서, 중심대와 회전대는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에 의해 헤드부에 각각 힌지고정되고, 힌지고정된 중심대와 회전대의 상단부는 "ㄷ"자로 절곡된 판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기어이가 형성되되; 중심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각각 서로 위치가 다른 기어이 구조가 형성되고, 회전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중심대의 기어이 구조에 맞물리도록 서로 다른 기어이 구조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컴퍼스, 콤파스, 기어, 쌍기어, 중심대, 회전대.

Description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Double gear type Compass}
본 고안은 컴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를 조절하는 헤드부에 구비된 중심대와 회전대의 상단부에 서로 엊갈리는 쌍기어 구조를 형성하며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각도조절시 뒤틀림을 방지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퍼스(compass)는 원 등을 작도할 때 쓰이는 기구로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자유롭게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두 다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컴퍼스는 주로 원이나 호를 그리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일명 걸음쇠·양각규(兩脚規)·양각기(兩脚器) 등으로 불리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컴퍼스의 두 다리 중 하나는 원을 그리는 중심축의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중심축을 한바퀴 돌아 원을 그리는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에는 원 또는 원호를 그리기 위한 필기구가 구성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컴퍼스(100)의 일예를 살펴보면, 종래의 컴퍼스(100a, 100b)는 상부에 회전 손잡이(101)가 형성된 헤드부(110)와, 헤드부(110)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회전 지지침(121)이 형 성된 중심대(120)와, 헤드부(110)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필기구(131)가 형성된 회전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 지지침(121)을 제도지 위에 지지시키고 중심대(120)를 중심으로 회전 손잡이(101)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필기구(131)에 의해 원하는 크기의 원을 그리게 된다.
이때, 상기 필기구(131)는 필요에 따라 연필 또는 연필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대(130)에는 상기 연필을 고정하거나 연필심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132)가 일체로 구성되어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상기 고정구(132)는 사용되는 필기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컴퍼스는 도 1과 같이, 작도하는 원의 크기에 따라 중심대(120)와 회전대(13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이들의 일측을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조절봉(140)과 조절너트(141)를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도 2와 같이 간격조절봉(140)이 없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헤드부(110)의 구조에 기인한다.
먼저, 도 1에 따른 종래 컴퍼스(100a)는 헤드부(110)를 구성하는 원형 헤드탄성판(111)의 양단부가 상기 중심대(120)와 회전대(130)의 상부에 형성된 홈(123, 133)에 각각 끼워져 위치되고, 상기 중심대(120)와 회전대(130)의 상부는 단일 힌지핀(112)에 의해 힌지회동 가능하게 위치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탄성판(111)의 탄성력이 항상 상기 홈(123, 133)을 눌러 지렛대 원리에 따라 컴퍼스(110a)는 상기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며, 상기 간격조절봉(140)과 조절너트(141)에 의해 제어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컴퍼스(100a)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헤드탄성판(111)과 홈(123, 133)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부주의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상기 헤드탄성판(111)이 분리되어 재조립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단일 힌지핀(112) 구조를 가져 중심대(120)와 회전대(130)는 각도 조절시 사용자에 의해 쉽게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고 정확한 원을 그리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따른 종래 컴퍼스(100b)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가지는 헤드부(110)의 헤드몸체(113)에 중심대(120)와 회전대(130)의 상부가 각각의 힌지핀(112a)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때 상기 힌지핀(112a)은 상기 중심대(120)와 회전대(130)의 상부를 꽉눌러 상기 헤드몸체(113)의 전면판과 후면판에 끼이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대(120)와 회전대(130)는 부드럽지 않고 뻑뻑한 느낌을 가지면서 각도가 벌어지게 되고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원을 그리게 된다.
더불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심대(120)와 회전대(130)의 상부는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기어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기어(124)가 직접 중심대(120)와 회전대(130)를 구성하는 스테인레스 등의 경질의 금속재질로 만든 바디(120a)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플라스틱보강재(120b)를 더 구성하고 상기 플라스틱보강재(120b)의 상부에 통체로 단일 기어(12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상기 중심대(120)와 회전대(130)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서로 형성되는 기어(124)는 상기 헤드몸체(113) 내에서 맞물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컴퍼스(100b)는 플라스틱보강재(120b)를 더 제작해야 하고 구조가 복잡해져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기어(124)가 형성된 플라스틱보강재(120b)가 서로 맞물려 마모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가지지 못하고 뒤틀림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퍼스의 중심대와 회전대를 구성하는 경질의 바디 상단부에 직접 기어를 형성하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에 서로 위치가 다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해 각도조절시 뒤틀림이 방지되고 조립이 용이한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회전 지지침이 형성된 중심대와, 상기 헤드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필기구가 구비된 회전대를 포함하는 컴퍼스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는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에 의해 상기 헤드부에 각각 힌지고정되고, 상기 힌지고정된 중심대와 회전대의 상단부는 각각 전면판과 후면판을 가지는 "ㄷ"자로 절곡된 판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기어이가 형성되되;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각각 서로 위치가 다른 기어이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상기 중심대의 기어이 구조에 맞물리도록 서로 다른 기어이 구조가 형성된 것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는, 상기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이 내측을 통과하면서 위치되고,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가 항상 벌어지도 록 내측을 밀면서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의 일측을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조절봉과 이에 결합되는 조절너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의 벌어진 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 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와 상기 회전대의 상단부 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는 동일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 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와 상기 회전대의 상단부 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는 동일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는, 회전 손잡이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상판이 상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측방향으로 상기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과 대응되는 크기로 하부에 상기 제1, 2 힌지핀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핀홈과, 상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끼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전면판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바람직하게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의 기어이는 3∼5개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이의 높이는 1∼3mm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에 의하면, 헤드부에 구비된 중심대와 회전대의 상단부에 서로 기어이의 위치가 다른 기어구조, 즉 쌍기어 구조를 형성하고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각도조절 및 원의 작도시 뒤틀림을 방지하고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을 그리기 위한 각도 조절시 뒤틀림 발생을 억제하여 정확한 원을 그릴 수 있으며, 상단부를 구성하는 경질의 금속 재질에 직접 기어이를 형성함으로써 전체 컴퍼스의 구조가 간단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 작동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1)에 있어서, 좌측에 회전대(30)가 위치되고 우측에 중심대(20)가 위치된 모습을 전면 모습이라 칭하고, 우측에 회전대(30)가 위치되고 좌측에 중심대(20)가 위치된 모습을 후면 모습이라 칭하며, 이에 따라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는 전면 모습에서 보이는 면이 전면이고 후면 모습에서 보이는 면이 후면으로 구분됨을 명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1)는, 크게 상부에 사용자의 작도를 위한 회전 손잡이(11)가 형성된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뾰족한 회전 지지침(21)이 형성된 중심대(20)와, 상기 헤드부(10)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연필 또는 연필심 등의 필기구가 구비된 회전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중심대(20)와 회전 대(30)의 상단부에는 컴퍼스(1)의 원을 그리기 위한 각도 조절에 따라 서로 맞물려 움직일 수 있도록 기어이(26, 36)가 각각 컴퍼스(1)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는 서로 다른 힌지핀, 즉 상기 중심대(20)는 제1 힌지핀(13a)에 의해 그리고 상기 회전대(30)는 제2 힌지핀(13b)에 의해 각각 상기 헤드부(10)의 하부측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힌지고정된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상단부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다른 위치의 기어이(26, 36)를 가져 전면의 기어구조와 후면의 기어구조가 맞물리는 모양이 서로 틀린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1)의 헤드부(10)는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를 힌지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부에 형성된 회전 손잡이(11)를 이용해 컴퍼스 사용자가 손쉽게 원을 작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측부에 개구된 공간(12)을 따라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가 힌지회동운동하여 각도조절가능하게 하고, 바람직하게 전면판(10a)과 후면판(10b)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0)의 후면판(10b)은 상부에 상판(10c)이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판(10c)에는 컴퍼스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길이의 회전 손잡이(11)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0c)의 단부에는 끼움홈(10c-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0c)은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가 상기 헤드부(10)의 내측, 즉 전면판(10a)과 후면판(10b)사이에 끼여서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10b)의 하부에는 상기 중심대(20)의 상단부가 힌지고정되는 제1 힌지핀(13a)과, 상기 회전대(30)의 상단부가 힌지고정되는 제2 힌지핀(13b)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10)의 전면판(10a)은 상기 후면판(10b)과 대응되는 크기로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판(10b)과 동일 형상을 가지는데, 하부에 상기 후면판(10b)의 제1 힌지핀(13a)과 제2 힌지핀(13b)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와 위치로 2개의 핀홈(10a-1)이 형성되고, 상부에 끼움돌기(10a-2)가 상기 후면판(10b)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상판(10c)에 형성된 끼움홈(10c-1)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전면판(10a)은 상기 후면판(10b)과 상기 상판(10c)의 돌출된 길이만큼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끼움돌기(10a-2)와 끼움홈(10c-1) 그리고 상기 제1, 2 힌지핀(13a, 13b)와 2개의 핀홈(10a-1)의 결합구조에 따라 상기 후면판(10b)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면판(10a)과 후면판(10b)의 결합에 따라 형성된 헤드부(10)는 힌지고정된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측부와 하부에 개구 공간(12)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0a)과 후면판(10b)은 컴퍼스(1)의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에 따라 바뀌어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 중심대(20)는 상부 일측에 제1 힌지핀(13a)이 관통될 수 있는 크기의 힌지공(25)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기어이(26)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뾰족한 회전 지지침(21)이 구비된 것으로, 컴퍼스(1)의 제작과 결합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경질의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대(30)는 상부 일측에 제2 힌지핀(13b)이 관통될 수 있는 크기의 힌지공(35)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기어이(36)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연필 또는 연필심 등의 필기구가 끼워져 위치될 수 있도록 고정구(32)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중심대(20)와 마찬가지로 경질의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는 경질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중심대(20)는 상기 회전 지지침(21)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상부의 금속재질을 가지는 상부 바디(22)와 하부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는 하부 바디(23)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대(30)는 상기 고정구(32)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상부의 금속재질을 가지는 상부 바디(33)와 하부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는 하부 바디(34)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회전 지지침(21) 및 고정구(32)의 형성과 컴퍼스(1)의 전체적인 미려한 모양을 위해 변경가능한 부분이다.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 상기 헤드부(10)에 힌지고정되는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상단부는 경질의 금속재질이며 전면의 전면판과 후면의 후면판을 가지는 'ㄷ'자로 절곡된 판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는 기어구조 를 가지도록 다수개의 기어이(26, 36)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심대(20)의 상단부 전면판(22a)과 후면판(22b)에는 각각 서로 위치가 다른 기어이(26a, 26b)가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대(30)의 상단부 전면판(33a)과 후면판(33b)에는 상기 중심대(20)의 기어이(26a, 26b)에 각각 맞물리도록 서로 다른 기어이(36a, 36b)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1)는 상기 헤드부(10)의 제1 힌지핀(13a)과 제2 힌지핀(13b)이 내측을 통과하면서 이에 걸려 위치고정되고,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가 항상 각도를 가지면서 벌어지도록 탄성력, 즉 굽힘탄성에너지를 부여하는 토션스프링(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40)은 상기 'ㄷ'자의 절곡된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상단부 판형상 내측에 위치되어 이를 밀면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컴퍼스의 중심대와 회전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컴퍼스의 중심대와 회전대의 일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4에 따른 컴퍼스의 동일각으로 벌어졌을 때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의 기어이 맞물림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기어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1)의 중심대(20)와 회전대(30)는 상단부에 서로 맞물려 대응되는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기어이(26, 36)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상단부 전면판과 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26, 36)의 위치는 서로 다른 위 치로 형성되어 별개로 2개의 기어구조를 가지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대(30)의 경우 컴퍼스(1)의 정면 모습을 도시하였을 때, 후면판의 기어이(36b)가 상기 전면판의 기어이(36a)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면판(33a)의 기어이(36a)와 이웃하는 기어이(36a) 사이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대(20)의 경우도 컴퍼스(1)의 정면 모습을 도시하였을 때, 후면판의 기어이(26b)가 상기 전면판(22a)의 기어이(26a)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면판(22a)의 기어이(26a)와 이웃하는 기어이(26a) 사이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별개의 2개의 기어 구조가 각각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컴퍼스(1)는 원을 그리기 위한 각도 조절시 뒤틀림 발생을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원을 그릴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1)는 도 7의 (a)와 같이, 컴퍼스(1)의 전면 모습일 때 상기 회전대(30)의 상단부 전면판(33a)에 형성된 기어이(36a)와, 도 7의 (d)와 같이, 컴퍼스(1)의 후면 모습일 때 상기 회전대(30)의 상단부 후면판(33b)에 형성된 기어이(36b)가 서로 다른 위치로 형성된다.
또한, 도 7의 (c)와 같이, 컴퍼스(1)의 전면 모습일 때 상기 중심대(20)의 상단부 전면판(22a)에 형성된 기어이(26a)와, 도 7의 (b)와 같이, 컴퍼스(1)의 후면 모습일 때 상기 중심대(20)의 상단부 후면판(22b)에 형성된 기어이(26b)가 서로 다른 위치로 형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도 7의 (a)에서 보여지는 상기 회전대(30)의 상단부 전면판(33a)에 형성된 기어이(36a)와, 도 7의 (b)에서 보여지는 상기 중심대(20)의 상단부 후면판(22b)에 형성된 기어이(26b)는 동일 형상과 크기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7의 (c)에서 보여지는 상기 중심대(30)의 상단부 전면판(22a)에 형성된 기어이(26a)와, 상기 도 7의 (d)에서 보여지는 상기 회전대(30)의 상단부 후면판(33b)에 형성된 기어이(36b)는 동일 형상과 크기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도 8을 참조하여 θ의 각도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1)를 살펴보면, 상기 컴퍼스(1)의 전면 모습일 때, 도 8의 (a)와 같이, 상기 회전대(30)의 상단부 전면판(33a)에 형성된 기어이(36a)와 상기 중심대(20)의 상단부 전면판(22a)에 형성된 기어이(26a)가 서로 맞물려 하나의 기어 구조를 가지며, 도 8의 (b)와 같이, 상기 회전대(30)의 상단부 후면판(33b)에 형성된 기어이(36b)와 상기 중심대(20)의 상단부 후면판(22b)에 형성된 기어이(26b)가 서로 맞물려 하나의 기어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기어이(26, 36)은 3∼5개가 형성된다. 3개 미만의 기어이가 형성될 경우 서로 맞물려 움직이는 기어 구조의 특성을 발휘하지 못해 기어이를 형성한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으며, 5개를 초과하여 기어이가 형성될 경우에는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를 벌릴 때 맞물리는 기어이와 기어이가 많아 서로 벗어나는 문제점이 발생 한다.
또한, 상기 기어이(26, 36)의 높이는 1∼3mm를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2mm의 높이를 가진다. 상기 기어이의 높이가 1mm미만의 높이일 때는 기어의 작동상 높이가 낮아 맞물리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작동상 오류가 발생하게 되고, 3mm초과의 높이를 가질 경우 기어이 형상에 따른 내구성이 약화되어 시간의 경과 후 마모에 따라 기어 구조의 변화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퍼스(1)는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에서 각각 서로 다른 기어이 위치를 가지는 기어 구조를 가져 쌍기어 구조를 가짐에 따라 원 작도시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정확한 원 작도를 가능케 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대(20)와 회전대(30)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경질의 금속 재질에 직접 기어이(26, 36)를 형성함으로써 전체 컴퍼스(1)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 작동이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컴퍼스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컴퍼스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컴퍼스의 중심대와 회전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따른 컴퍼스의 중심대와 회전대의 일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따른 컴퍼스의 동일각으로 벌어졌을 때 전면 모습과 후면 모습의 기어이 맞물림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10 : 헤드부 11 : 회전 손잡이
10a : 전면판 10b : 후면판
13a, 13b : 제1, 제2 힌지핀 20 : 중심대
26, 36 : 기어이 30 : 회전대
50 : 토션스프링

Claims (5)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회전 지지침이 형성된 중심대와, 상기 헤드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에 필기구가 구비된 회전대를 포함하는 컴퍼스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는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에 의해 상기 헤드부에 각각 힌지고정되고, 상기 힌지고정된 중심대와 회전대의 상단부는 각각 전면판과 후면판을 가지는 "ㄷ"자로 절곡된 판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기어이가 형성되되;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각각 서로 위치가 다른 기어이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대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에는 상기 중심대의 기어이 구조에 맞물리도록 서로 다른 기어이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이 내측을 통과하면서 위치되고,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가 항상 벌어지도록 내측을 밀면서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의 일측을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간격조절봉과 이에 결합되는 조절너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의 벌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 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와 상기 회전대의 상단부 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는 동일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 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와 상기 회전대의 상단부 전면판에 형성된 기어이는 동일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회전 손잡이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상판이 상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측방향으로 상기 제1 힌지핀과 제2 힌지핀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과 대응되는 크기로 하부에 상기 제1, 2 힌지핀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핀홈과, 상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끼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전면판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와 회전대의 기어이는 3∼5개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이의 높이는 1∼3mm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KR2020080001563U 2008-02-01 2008-02-01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KR200440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563U KR200440559Y1 (ko) 2008-02-01 2008-02-01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563U KR200440559Y1 (ko) 2008-02-01 2008-02-01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559Y1 true KR200440559Y1 (ko) 2008-06-17

Family

ID=4365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563U KR200440559Y1 (ko) 2008-02-01 2008-02-01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5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90Y1 (ko) 2009-03-31 2010-01-26 이상기 이중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KR101078270B1 (ko) * 2009-12-15 2011-10-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윙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05437833A (zh) * 2015-12-11 2016-03-30 苏州市启扬商贸有限公司 一种可伸缩圆规
CN105437834A (zh) * 2015-12-11 2016-03-30 苏州市启扬商贸有限公司 一种可伸缩圆规
CN105437832A (zh) * 2015-12-11 2016-03-30 苏州市启扬商贸有限公司 一种长短脚圆规
KR101674196B1 (ko) * 2015-07-06 2016-11-08 (주)신우이엔지 체결장치
WO2019035529A1 (ko) * 2017-08-14 2019-02-21 강응태 기타의 연주보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90Y1 (ko) 2009-03-31 2010-01-26 이상기 이중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KR101078270B1 (ko) * 2009-12-15 2011-10-31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윙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674196B1 (ko) * 2015-07-06 2016-11-08 (주)신우이엔지 체결장치
CN105437833A (zh) * 2015-12-11 2016-03-30 苏州市启扬商贸有限公司 一种可伸缩圆规
CN105437834A (zh) * 2015-12-11 2016-03-30 苏州市启扬商贸有限公司 一种可伸缩圆规
CN105437832A (zh) * 2015-12-11 2016-03-30 苏州市启扬商贸有限公司 一种长短脚圆规
WO2019035529A1 (ko) * 2017-08-14 2019-02-21 강응태 기타의 연주보조장치
KR20190018268A (ko) * 2017-08-14 2019-02-22 배원철 기타의 연주보조장치
KR101996726B1 (ko) * 2017-08-14 2019-10-17 배원철 기타의 연주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559Y1 (ko)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US10824197B1 (en) Folding shaft structure of flexible display screen
US5425690A (en) Wrist exerciser
CN105655180B (zh) 按键结构
US20090298563A1 (en) Sliding mechanism with undulating spring for use i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100186181A1 (en) Cleaning tool and stick-like tool
CN108398986A (zh) 电子装置及其铰链组件
KR200447490Y1 (ko) 이중 쌍기어 구조를 가지는 컴퍼스
KR102632982B1 (ko) 팔걸이 패드 및 시트 팔걸이
EP3070540B1 (de) Schlagwerk für eine uhr mit einem hammer mit federndem einstellbarem anschlag
CN108367197A (zh) 游戏控制器
CN208551354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WO2010020686A1 (en) Elastic hinge for a pair of spectacles
JP2015063822A (ja) ラッチ錠の操作部材
DE102007013933B3 (de) E-Gitarre
TWM443091U (en) Slide-cover electronic equipment invisible transmission mechanism
US20080110204A1 (en) Adornment Assembly Linked by Clasp Members
CN113506699A (zh) 一种内嵌式平衡杆结构的键盘
CN206760942U (zh) 螺旋式可更换手镯
CN110169668A (zh) 一种移动办公椅
CN214193633U (zh) 一种落袜网结构及具有其的袜机
TWI715452B (zh) 圓規
JP3185798U (ja) タッチパネル用筆記具
CN220506192U (zh) 曲直屏支架底座
CN107408375A (zh) 支撑组件和键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