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419Y1 - 다목적 볍씨 직파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볍씨 직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419Y1
KR200440419Y1 KR2020060029503U KR20060029503U KR200440419Y1 KR 200440419 Y1 KR200440419 Y1 KR 200440419Y1 KR 2020060029503 U KR2020060029503 U KR 2020060029503U KR 20060029503 U KR20060029503 U KR 20060029503U KR 200440419 Y1 KR200440419 Y1 KR 200440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eed
horizontal flow
rice
rear doo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237U (ko
Inventor
임창식
Original Assignee
임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식 filed Critical 임창식
Priority to KR2020060029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419Y1/ko
Publication of KR20070001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2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4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의 로타리 뒷문짝(정지판) 하측 중앙에 배수골성형조(1)을 부착하고 배수골성형조(1) 양옆으로는 간격을 두고 볍씨골성형조(2)를 부착하여서 로타리를 치면서 동시에 볍씨직파도 가능토록 한다
배수골성형조(1), 볍씨골성형조(2), 로타리 뒷문짝(3)

Description

다목적 볍씨 직파기{omitted}
도1은 로타리의 옆안전판(19B)을 떼어내고서. 우측 절단한 후측 옆상면도.
도2는 상층부를 분리한 후측 옆상면도.
도3은 볍씨골 성형조(2)의 후측 옆상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배수골 성형조. 2. 볍씨골 성형조.
3.뒷문짝. 4. 보도구멍.
5A. 5B. 안전고리. 6A. 6B. 상하유동봉.
7. 지지대. 8A. 8B. 좌우 수평유동관.
9A. 9B. 상하 수평유동관.
10. 회전축. 11. 볍씨통.
12. 배종로라. 13. 보도.
14. 안전판. 15. 좌우 수평유동축.
16. 상하 수평유동축. 17. 방지판.
18. 칼날. 19A.19B. 옆안전판.
20. → 표는 전진방향임.
종래의 볍씨직파기는 직파기의 구조상 건답직파기. 수답직파기로 각각이었고. 또한 경운하고 로타리를 친후에. 건답.수답직파를 각각하는통에 세번이나 농기계가 논.밭에 들어가야 작업이 완료되었다.
고안의 목적은 현재 농민들이 사용하는 로타리(로타베이타)와 볍씨직파기를 한몸으로 조합하여서 농기계 구입비 절감과 농비를 대폭절감하고. 농사의 간편성을 추구하여 종합농사(쌀. 밀. 가축사육. 하우스.기타등)를 유도하여서 국제 경쟁력을 갖추도록 한다.
로타리(로타베이타)의 뒷문짝(3) 하측 바닥면에 볍씨골 성형조(2)를 일정간격을 두고서 부착하여 건답. 수답 겸용의 다목적 볍씨직파기가 되도록 하여 농기계의 구입비 절감하면서 한번으로 로타리(경운). 배수골성형. 볍씨골성형하면서 볍씨 직파가 가능토록 하여 농사일의 간편성을 추구하고. 다목적 볍씨직파기로 수답.건답을 할수있도록한다.
도면에 의하여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타리(로타베이타)의 칼날(18)이 돌아가면서 로타리(흙을 잘게 부숨)를 친후에 바로 뒤따라가면서 밭.논바닥을 판판하게 정지해주는 로타리의 뒷문짝(3) 하측. 바닥면에 볍씨골 성형조(2)가 일정간격을 두고 부착되었고. 볍씨골 성형조(2)보다 큰 배수골 성형조(1)가 볍씨골 성형조(2)등의 가운데에 부착되었다.
볍씨골 성형조(2)가 바닥면에 부착된 뒷문짝(3)과 안전판(14)의 연결은. 좌우 수평유동축(15)으로 좌우 수평유동관(8A.8B)등에 끼워져서 서로 연결되었으나. 좌우 수평유동축(15)이 좌우 수평유동관(8B)에 끼워졌으나 좌우 수평유동관(8A)은 없이 직접 로타리 안전판(14)후측 정중앙에 고정부착하여 실시할수도 있다. 좌우 수평유동축(15)은 편리에 따라서는 좌우 수평유동관(8A.8B)중에서 한편을 없애버리고. 좌우 수평유동축(15) 한쪽만을 상하 수평유동축(16)이나 안전판(14)에 고정부착하여서도 사용할수도 있다.
상하 수평유동관(9A.9B)은 뒷문짝(3) 상측부 중앙에서 양쪽으로 고정부착되었고. 상하 수평유동관(9A.9B)에는 상하 수평유동축(16)이 끼워져 있으나 편리에 따라서는 상하 수평유동관(9A.9B)중에서 한개만을 선택하여서 좌우 수평유동축(15)이나 좌우 수평유동관(8B)에 고정부착하여서 사용할때에는 상하 수평유동관(9A.9B)중에서 한개에 끼워진 상하 수평유동축(16) 양쪽끝은 뒷문짝(3) 상측 중앙에서 양쪽으로 즉 좌우 수평유동양축(15)이 가운데로 되게 고정부착된다.
로타리의 뒷문짝(3) 상측 양쪽끝에는 상하 유동봉(6A.6B)이 고정부착되고. 상하 유동봉(6A.6B)은 안전고리(5A.5B)에 끼워져서 안전하게 상하로만 작동된다.
타원형태인세로로 길쭉한 안전고리(5A.5B)는 로타리의 안전판(14) 후측 양쪽끝 하측으로 즉 두꺼운 철판(지지대역할도 함)으로된 옆안전판(19A.19B) 후측 상측부에 세로로 고정부착된다. 방지판(17)은 적정폭을 갖고서 길이는 로타리 안전판(14)의 길이와 같이 로타리 안전판(14)후측에서 아래로 접은 형태로 고정되게 부착된다. 안전고리(5B)와 옆안전판(19B)과 상하유동봉(6B)은 로타리 우측을 절개하여서 도면에는 미표시 되었다.
볍씨통(11)은 지지대(7)에 볍씨골 성형조(2)의 바로 위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로타리(로타베이타)와 볍씨직파기가 한몸으로 조합된 다목적 볍씨직파기를 무경운 상태의 전.답에서 작동하면서 전진시키면 로타리의 칼날은 돌아가면서 경운과 동시에 흙을 잘게 부수면 뒤따라가는 정지판 역할도 하는 뒷문짝(3)이 논바닥을 판판하게 정지하면서 동시에 배수골성형조(1)는 배수골을 깊이 성형시켜주고. 볍씨골성형조(2)는 볍씨골을 적정한 깊이로 성형하고 성형된 볍씨골에는 곧 바로 볍씨통(11)에서 볍씨가 낙종된다.
이때 만든 배수골은 논바닥의 물관리 즉 입수.배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해주어서 볍씨가 발아.입모가 잘되도록 관리 해주고. 도복(쓰러짐)이 안되도록 배수를 용이토록 하여서 벼뿌리 발달을 촉진시켜서 수량증대와 미질을 좋게 해준다.
볍씨골에 낙종된 볍씨는 발아. 입모되어서 성장할때에는 옆흙이 자연현상에 의하여 무너져 매몰되면서 볏대의 하층부도 매몰시켜서 도복이 안되도록 볏대를 흙이 붙들어 잡는 효과 즉 흙속에 깊이 묻힌 볏대는 도복을 강하에 해주고. 깊이 묻힌 벼뿌리의 수분도 보호하여서 수량증대. 미질향상을 해준다.
로타리에 한몸으로 장착된 다목적 볍씨직파기가 작동하면서 전진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가 고르게 나타나도록. 수답(진흙의 논바닥)에서 트랙터의 좌.우 발통이 일정치 못하고서 지그재그로 더빠지고 덜빠지면서 전진하면 뒷문짝(3) 상측 중앙에 장착된. 좌우 수평유동축(15)에 끼워진 좌우 수평유동관(8A.8B)이 둥글 둥글 좌우로 움직이는통에 정지판인 뒷문짝(3)은 항상 좌우가 수평으로 유지되어서 다목적 볍씨직파기의 작동이 잘되도록 도와주고.
트랙터의 전.후의 발통이 지그재그로 더빠지고 덜빠지고 할때는 상하 수평유동관(9A.9B)에 끼워진 상하 수평유동축(16)이 둥글 둥글 움직이면서 뒷문짝(13)하측부가 상하로 잘움직이면서 전진하므로써 논바닥이 전.후로도 수평이 잘되도록 도와준다. 이때 안전고리(5A.5B)에 끼워진 상하유동봉(6A.6B)은. 뒷문짝(3)이연속으로 움직일때마다.로타리의 몸체에서 이탈하는것을 방지해주면서 다목적 볍씨직파기의 작동이 제대로 되도록 도와준다. 방지판(7)은 수답에서 칼날이 돌아가면서 논바닥 흙을 잘게 부술때 생겨나는 흙탕물이 뒷문짝(3)과 안전판(14)의 틈새에서 연속으로 흙탕물이 뒤로 튕겨나가는 것을 막아서 다목적 볍씨직파기를 보호해준다.
상기처럼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다목적 볍씨직파기는 농기계의 구입비를 절감하고 농사의 간편성을 추구하여서 종합농사(가축.과수원.하우스.양어.기타등)를 하게하여서 농가소득을 높여서 국제경쟁력을 갖출수 있도록 하여서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한다.

Claims (1)

  1. 로타리의 뒷문짝(3) 하측 바닥면에 볍씨골 성형조(2)가 일정간격을 두고서 부착되고. 볍씨골 성형조(2)등의 중앙에 배수골 성형조(1)가 부착되고. 뒷문짝(13)이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게 로타리의 뒷문짝(3) 상측의 중심과 안전판(14) 후측의 중심에서 좌우 수평유동축(15)이 좌우 수평유동관(8A)이나 또는 좌우 수평유동관(8B)에 끼워져서 뒷문짝(3)과 안전판(14)이 서로 연결되고. 로타리의 뒷문짝(3) 상측 양쪽 끝에 상하 유동봉(6A.6B)이 양옆으로 고정부착되고. 상하 유동봉(6A.6B)은 안전고리(5A.5B)에 끼워져 있는 다목적 볍씨직파기.
KR2020060029503U 2006-05-24 2006-11-09 다목적 볍씨 직파기 KR200440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03U KR200440419Y1 (ko) 2006-05-24 2006-11-09 다목적 볍씨 직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206 2006-05-24
KR2020060029503U KR200440419Y1 (ko) 2006-05-24 2006-11-09 다목적 볍씨 직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37U KR20070001237U (ko) 2007-11-29
KR200440419Y1 true KR200440419Y1 (ko) 2008-06-12

Family

ID=4164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503U KR200440419Y1 (ko) 2006-05-24 2006-11-09 다목적 볍씨 직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4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33B1 (ko) 2016-04-29 2016-10-05 주식회사 불스 건답용 직파장치
KR101662127B1 (ko) 2016-04-14 2016-10-05 주식회사 불스 직파용 멀칭지를 이용하는 건답용 직파장치
WO2018074680A1 (ko) 2016-10-19 2018-04-26 주식회사 불스 건답용 직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52B1 (ko) * 2010-01-04 2011-03-04 임창식 볍씨 직파기의 편배토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27B1 (ko) 2016-04-14 2016-10-05 주식회사 불스 직파용 멀칭지를 이용하는 건답용 직파장치
KR101662133B1 (ko) 2016-04-29 2016-10-05 주식회사 불스 건답용 직파장치
WO2018074680A1 (ko) 2016-10-19 2018-04-26 주식회사 불스 건답용 직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37U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ghei et al. Effect of subsoiling on soil bulk density, penetration resistance, and cotton yield in northwest of Iran.
JPS6043317A (ja) 土壌保全間作方法および装置
CN203735015U (zh) 一种棉花免耕深松施肥覆膜精播机
Wicks et al. Mechanical weed management
Ferrero et al. Rice cultivation in the EU ecological conditions and agronomical practices
KR200440419Y1 (ko) 다목적 볍씨 직파기
Siemens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residue management wheel for hoe-type no-till drills
US20230329136A1 (en) Agricultural Row Unit for Field Cultivation
Mkomwa et al. Farm machinery for conservation agriculture
Shelke Frontline demonstration on bullock-drawn planter enhances yield of soyabean crop
BE1008190A6 (nl) Erosieploeg.
JP2010239895A (ja) 水田の除草方法
CN206274900U (zh) 一种水稻种植生态系统
AU2015206857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ep soil preparation
Mandal et al. Application of resource conserving technology (RCT) in wheat: A promising better option particularly during winter season in West Bengal
CN108633354A (zh) 联合种植除草机
US3465828A (en) Power driven cultivator
Ranade et al. Evaluation of In-Situ moisture conservation practices and assessment of improved seeding implements to mitigate dry spells
EP1073326B1 (en) A material for use in the preparation of a seedbed, a method of controlling weed budding in seedbeds, and use of the material or the method for controlling weed budding
Shrivastava et al. Tractor drawn raised bed seed drill under vertisol
Tiwari et al. Chapter-22 Basic Principles of Crop Production
Stobbe Conservation tillage
Johnson et al. " Section 2.6: Root Crops" Sustainable Potato Weed Management
CN105659956B (zh) 适用于盐碱地使用的免耕播种机
Mathanker et al. Ridge seeding of pre-germinated rice in puddle f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