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180Y1 - 발성형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발성형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180Y1
KR200440180Y1 KR2020070017643U KR20070017643U KR200440180Y1 KR 200440180 Y1 KR200440180 Y1 KR 200440180Y1 KR 2020070017643 U KR2020070017643 U KR 2020070017643U KR 20070017643 U KR20070017643 U KR 20070017643U KR 200440180 Y1 KR200440180 Y1 KR 200440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cave
vocal
sidewalk block
sp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김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욱 filed Critical 김재욱
Priority to KR2020070017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1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 가능한 발성공간을 형성하고, 점자블록과 일반블록 간 교체가 간편하며, 지반침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장애물을 피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발성형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복수개의 점자판이 상부에 구비되고, 오목한 두개의 제 1 발성공간이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제 1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의 양측면과 중앙면에 볼록한 볼록면가 형성된 제 1 보도블록; 상기 제 1 발성공간과 대응된 위치에 오목한 제 2 발성공간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 2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록한 볼록면가 끼워지는 오목한 오목면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복수개의 오목면이 형성된 제 2 보도블록; 전체적으로 알파벳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종 케이블을 수납하는 두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면에 대응된 복수개의 볼록면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W자형 볼록면, 후방에는 W자형 오목면이 형성되어 인접한 발성형 보도블록과 끼워지는 관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도블록과 제 2 보도블록은 복수개의 제 1 철심형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제 2 보도블록과 상기 관로블록은 복수개의 제 2 철심형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성형 보도블록

Description

발성형 보도블록{sound type side-walk block}
본 고안은 발성형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분리 가능한 발성공간을 형성하고, 점자블록과 일반블록 간 교체가 간편하며, 지반침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장애물을 피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발성형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고안자가 대표이사로 재직중인 주)케이피엔은 특허 “발성형(發聲形) 보도블록(10-2007-0072214호)”을 2007년 7월 19일자로 출원하였고, 이 발성형 보도블록은 시각장애인이 두드리면 소리가 발생되는 발성공간과 각종 케이블이 설치되는 관로블록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발성형 보도블록의 내용을 요약하면, "보도블록 내부에 발성(發聲)공간 즉, 빈 공간을 형성하여 시각장애인이 보행시 지팡이로 두드릴 때 보도블록의 분기점, 대기점, 시발점, 목적지점 등으로 구분된 특유의 소리를 낼 수 있는 길안내기능과 보도블록 하단부분에는 도심 곳곳에 설치된 각종 저압 전기, 통신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관로가 구비됨으로써 기존 전주에 시설된 각종 케이블을 지중화하 여 도심미관을 깨끗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발성형 보도블록은 발성공간의 유지보수시 뚜껑을 열면 케이블까지 모두 노출되어 보기에 흉하고, 발성형 보도블록 아래에 지반침하가 발생되면 훼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시공중 나무 등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도 우회해서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성형 보도블록의 정면과 배면이 뚫려 있는데, 이를 마감해줄 수단이 구비되지 못한 단점이 있고, 조립의 견고성 면에서도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 가능한 발성공간을 형성하고, 점자블록과 일반블록 간 교체가 간편하며, 지반침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공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시공시 장애물을 피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발성형 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특징은 복수개의 점자판이 상부에 구비되고, 오목한 두개의 제 1 발성공간이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제 1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의 양측면과 중앙면에 볼록한 볼록면가 형성된 제 1 보도블록; 상기 제 1 발성공간과 대응된 위치에 오목한 제 2 발성공간이 상부에 형 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 2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록한 볼록면가 끼워지는 오목한 오목면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복수개의 오목면이 형성된 제 2 보도블록; 전체적으로 알파벳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종 케이블을 수납하는 두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면에 대응된 복수개의 볼록면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W자형 볼록면, 후방에는 W자형 오목면이 형성되어 인접한 발성형 보도블록과 끼워지는 관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도블록과 제 2 보도블록은 복수개의 제 1 철심형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제 2 보도블록과 상기 관로블록은 복수개의 제 2 철심형볼트로 체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특징은 복수개의 점자판이 상부에 구비되고, 오목한 두개의 제 1 발성공간이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제 1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의 양측면과 중앙면에 오목한 오목면이 형성된 제 1 보도블록; 상기 제 1 발성공간과 대응된 위치에 오목한 제 2 발성공간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 2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오목한 오목면이 끼워지는 볼록한 볼록면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볼록한 볼록면가 형성된 제 2 보도블록; 전체적으로 알파벳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종 케이블을 수납하는 두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한 볼록면에 대응된 복수개의 오목면이 형성되며, 저면 각 모퉁이에는 4개의 지지받침이 구비된 관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도블록과 제 2 보도블록은 복수개의 제 1 철심형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제 2 보도블록과 상기 관로블록은 복수개의 제 2 철심형볼트로 체결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로블록의 지지받침의 저면에는 시공 위치의 바닥에 구비된 파이프에 얹혀지도록 반원형상으로 깍여져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분해조립이 간편하고, 어느 한 부분이 파손되어도 그 부분만을 교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하기에 편리하며, 제 1 보도블록을 오픈해도 각종 케이블이 보이지 않으므로 유지보수나 시공시 미관상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를 두드리면 길 안내정보에 따른 소정의 가청음(可聽音)이 발생하도록 한 보도블록과 내부에 각종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관로블록으로 이루어진 발성형 보도블록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성형보도블록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발성형 보도블록은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 두드리면 길 안내정보에 따른 소정의 가청음(可聽音)이 발생하도록 한 제 1 및 제 2 보도블록(10)(20)과, 내부에 각종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진 관로블록(3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보도블록(10) 상에는 시각장애인이 촉각으로 길안내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양각(陽刻)된 점자판(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보도블록(10)(20) 을 서로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점자판(11) 및 제 1 보도블록(1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나사홀(12)과 상기 제 1 및 제 2 보도블록(10)(20)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 1 철심형 볼트(13)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도블록(10) 저면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20)과의 결합을 위한 3개의 오목면(14)이 형성되고, 상기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 두드리면 가청음이 발생되도록 오목한 2개의 제 1 발성공간(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보도블록(20) 상에는 상기 제 1 보도블록(10)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3개의 오목면(14)과 맞물리는 3개의 볼록면(2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나사홀(12)과 대응된 위치에 제 2 나사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 두드리면 가청음이 발생되도록 오목한 2개의 제 2 발성공간(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보도블록(20)의 양 측면에는 상기 관로블록(30)과의 결합을 위해 관통된 제 3 나사홀(24), 3개의 제 3 볼록면(25)과 2개의 제 4 볼록면(2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3 나사홀(24)에 끼워져 상기 제 2 보도블록(20)과 관로블록(30)을 결합시키는 제 2 철심형볼트(27)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도블록(10)과 제 2 보도블록(20)을 결합시키면 가청음(可聽音)이 발생되는 발성공간이 구비되는데, 이 발성공간은 제 1 발성공간과 제 2 발성공간이 합친 부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관로블록(30)은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공간(31)과 제 2 공간(33)으로 분할되어 있고, 저면 중앙 부분은 삼각형으로 깎여져 형성된다.
상기 관로블록(30) 상에는 상기 제 3 볼록면(25)과 대응되어 맞물리는 3개의 제 2 오목면(33)이 형성되고, 제 2 오목면(33) 저면에는 상기 제 2 철심형볼트(27)가 끼워지는 제 4 나사홀(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로블록(30)의 저면 각 모퉁이에는 총 4개의 지지받침(35)이 부착되고, 지반침하로 인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시공 위치의 저면에 긴 파이프를 미리 설치하고 그 위에 끼울 수 있도록 반원통형 요부(36)를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31)(32) 아래에 각각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발성형 보도블록이 지면(地面) 아래에 설치될 때 시멘트, 토사(흙), 모래 등으로부터 잘 부착되도록 양 측면에는 바둑판형 부착판(37)을 구비하고, 상기 관로블록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을 인출하거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38)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이 조립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술한 발성형 보도블록을 모두 조립시키면 도 2와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되고, 제 1 및 제 2 발성공간으로 이루어진 발성공간,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이루어진 케이블 수용공간을 가지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을 제 1 및 제 2 철심형 볼트로 결합시키는 정면을 나타낸 일부확대 정면도로서, 제 1 철심형볼트(13)는 제 1 나사홀(12), 제 2 나사홀(22)에 체결되면서 제 1 보도블록(10)과 제 2 보도블록(20)을 서로 결합시킨다. 또한, 제 2 철심형볼트(27)는 제 3 나사홀(24), 제 4 나사홀(34)에 체결되면서 제 2 보도블록(20)과 관로블록(30)을 서로 결합시킨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측면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위 그 림이 조립된 측면을 나타내고, 중간 그림이 분리된 측면을 나타내며, 아래 그림이 깊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아래로 굽어진 측면을 나타낸다.
즉, 지면 내부에 설치될 때, 수평되도록 설치할 경우에는 위 그림과 같은 실시형태를 보이고, 임의의 장애물을 피하거나 아래로 경사지도록 설치할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 같은 실시형태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발성형 보도블록의 평면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발성형 보도블록은 평면상 제 1 철심형볼트(12)가 삽입된 점자판(11)이 보이고 양측면에 형성된 사다리꼴 돌기(40)가 구비되고, 이 사다리꼴 돌기(40)에 대응된 역 사다리꼴 요부(51)가 형성된 마감판(5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성형 보도블록을 평면상 소정 각도로 꺽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럴 경우에는 방향전환에 따라 복수개의 원형으로 된 점자판으로 변경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역 사다리꼴 오목면(51)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두고 관통된 원형구멍이 행렬로 배열된 마감판(50)이 발성형 보도블록의 정면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슬라이딩 결합시켜 조립한다.
이러한 마감판(50)은 시공 현장의 종단 지점에서 발성형 보도블록을 마감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최종 조립된 형상은 도 8과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위치가 경사질 경우도 있지만, 경사지지 않으면서 전방에 장애물이 있을 수도 있고, 이럴 때에는 그 장애물을 피해서 설치 될 수 있도록 발성형 보도블록의 일 측면은 짧고, 다른 측면은 길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성형 보도블록의 일측면을 짧도록 형성하고, 다른 측면은 길도록 형성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전방의 장애물을 피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성형 보도블록의 일측면을 길도록 형성하고, 다른 측면은 짧도록 형성함으로써 반시계방향으로 피해 전방의 장애물을 피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성형보도블록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제 1 보도블록(70)에는 복수개의 점자판(71)이 상부에 구비되고, 오목한 두개의 제 1 발성공간(76)이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제 1 발성공간(76)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의 양측면과 중앙면에 볼록한 볼록면(75)이 형성된다.
제 2 보도블록(80)에는 상기 제 1 발성공간(76)과 대응된 위치에 오목한 제 2 발성공간(83)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 2 발성공간(8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록한 볼록면(75)이 끼워지는 오목한 오목면(81)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복수개의 오목면이 형성된다.
관로블록(90)은 전체적으로 알파벳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종 케이블 을 수납하는 두개의 공간(91)(92)으로 구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면에 대응된 복수개의 볼록면(93)이 형성된다.
이를 더욱더 자세히 살펴본다.
발성형 보도블록은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 두드리면 길 안내정보에 따른 소정의 가청음(可聽音)이 발생하도록 한 제 1 및 제 2 보도블록(70)(80)과, 내부에 각종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진 관로블록(9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보도블록(70) 상에는 시각장애인이 촉각으로 길안내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양각(陽刻)된 점자판(7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보도블록(70)(80)을 서로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점자판(71) 및 제 1 보도블록(7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나사홀(72)과 상기 제 1 및 제 2 보도블록(70)(80)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 1 철심형 볼트(73)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도블록(70) 저면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80)과의 결합을 위한 3개의 볼록면(75)이 형성되고, 상기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 두드리면 가청음이 발생되도록 오목한 2개의 제 1 발성공간(7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보도블록(80) 상에는 상기 제 1 보도블록(70)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3개의 볼록면(75)과 맞물리는 3개의 오목면(8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나사홀(72)과 대응된 위치에 제 2 나사홀(86)이 형성되며, 상기 시각장애인이 지팡이로 두드리면 가청음이 발생되도록 오목한 2개의 제 2 발성공간(8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보도블록(80)의 양 측면에는 상기 관로블록(90)과의 결합을 위해 관통된 제 3 나사홀(84), 3개의 제 3 오목면(81)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나사 홀(84)에 끼워져 상기 제 2 보도블록(80)과 관로블록(90)을 결합시키는 제 2 철심형볼트(87)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도블록(70)과 제 2 보도블록(80)을 결합시키면 가청음(可聽音)이 발생되는 발성공간이 구비되는데, 이 발성공간은 제 1 발성공간(76)과 제 2 발성공간(83)이 합친 부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관로블록(90)은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공간(91)과 제 2 공간(92)으로 분할되어 있고, 저면 중앙 부분은 삼각형으로 깎여져 형성된다.
상기 관로블록(90) 상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면과 대응되어 맞물리는 3개의 제 2 볼록면(93)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로블록(90)의 전방에는 W자형 볼록면(101), 후방에는 W자형 오목면(102)이 형성되어 인접한 발성형 보도블록과 끼워지도록 하여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을 마감하는 마감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성형 보도블록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Claims (3)

  1. 복수개의 점자판이 상부에 구비되고, 오목한 두개의 제 1 발성공간이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제 1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의 양측면과 중앙면에 볼록한 볼록면이 형성된 제 1 보도블록;
    상기 제 1 발성공간과 대응된 위치에 오목한 제 2 발성공간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 2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록한 볼록면이 끼워지는 오목한 오목면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복수개의 오목면이 형성된 제 2 보도블록;
    전체적으로 알파벳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종 케이블을 수납하는 두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면에 대응된 복수개의 볼록면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W자형 볼록면, 후방에는 W자형 오목면이 형성되어 인접한 발성형 보도블록과 끼워지는 관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도블록과 제 2 보도블록은 복수개의 제 1 철심형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제 2 보도블록과 상기 관로블록은 복수개의 제 2 철심형볼트로 체결되는 발성형 보도블록.
  2. 복수개의 점자판이 상부에 구비되고, 오목한 두개의 제 1 발성공간이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제 1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저부의 양측면과 중앙면에 오목한 오목면이 형성된 제 1 보도블록;
    상기 제 1 발성공간과 대응된 위치에 오목한 제 2 발성공간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제 2 발성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오목한 오목면이 끼워지는 볼록한 볼록면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볼록한 볼록면이 형성된 제 2 보도블록;
    전체적으로 알파벳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종 케이블을 수납하는 두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 2 보도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한 볼록면에 대응된 복수개의 오목면이 형성되며, 저면 각 모퉁이에는 4개의 지지받침이 구비된 관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도블록과 제 2 보도블록은 복수개의 제 1 철심형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제 2 보도블록과 상기 관로블록은 복수개의 제 2 철심형볼트로 체결되는 발성형 보도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블록의 지지받침의 저면에는 시공 위치의 바닥에 구비된 파이프에 얹혀지도록 반원형상으로 깍여져 형성된 발성형보도블록.
KR2020070017643U 2007-10-31 2007-10-31 발성형 보도블록 KR200440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43U KR200440180Y1 (ko) 2007-10-31 2007-10-31 발성형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43U KR200440180Y1 (ko) 2007-10-31 2007-10-31 발성형 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180Y1 true KR200440180Y1 (ko) 2008-05-28

Family

ID=4164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643U KR200440180Y1 (ko) 2007-10-31 2007-10-31 발성형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1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06B1 (ko) * 2010-04-20 2011-04-11 정영희 투수블록 구조체
KR101140743B1 (ko) 2008-10-13 2012-05-03 김재욱 발광형 보도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43B1 (ko) 2008-10-13 2012-05-03 김재욱 발광형 보도블록
KR101027006B1 (ko) * 2010-04-20 2011-04-11 정영희 투수블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388B1 (ko)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KR200440180Y1 (ko) 발성형 보도블록
KR102034558B1 (ko)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옹벽 구조물
GB2231904A (en) Kerb/drainage channel
KR100538186B1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US6938382B2 (en) Stockade
JP2006274790A (ja) 組立パネルの護岸壁
KR102334514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US6378144B1 (en) Strapless support system for vessels such as swimming pools
KR100401122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729604B1 (ko) 지중케이블 보호블록
KR100394330B1 (ko)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JP2002013186A (ja) 側溝ブロック
KR200440232Y1 (ko) 발성형 및 차선표시형 겸용 관로블록
KR200366917Y1 (ko) 스플릿 포인트를 가진 옹벽 블럭
IT201900009141A1 (it) Dispositivo dissuasore.
KR100854435B1 (ko) 수직 조립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KR0121737Y1 (ko) 가로수 호울덮개의 조립식 받침블록
KR100467090B1 (ko) 건축단지용 비탈면 보호시설
KR100374129B1 (ko) 학생용사물함의 도어결합구조
JP459176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自由勾配側溝
CN218175683U (zh) 一种防撞隔离墩及防撞隔离花箱
JP3236933U (ja) 水路用ブロック
JP3236306U (ja) 階段構造
KR20040055081A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