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330B1 -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 Google Patents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330B1
KR100394330B1 KR10-2000-0024308A KR20000024308A KR100394330B1 KR 100394330 B1 KR100394330 B1 KR 100394330B1 KR 20000024308 A KR20000024308 A KR 20000024308A KR 100394330 B1 KR100394330 B1 KR 10039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walls
unit sofa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725A (ko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2020000012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809Y1/ko
Priority to KR10-2000-0024308A priority patent/KR100394330B1/ko
Priority to JP2000285721A priority patent/JP3389214B2/ja
Publication of KR20010102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50Devices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constant liquid quantities, e.g. into different irrigation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종래 견치석등으로 벽면을 형성하고 견치석 벽면 후방에 사석을 체움하는 석축식 호안은 파랑이 심한 지역일 경우에는 그 구조 자체가 취약하여 호안의 안정에 대한 신뢰성이 결여되는 문제점과 친수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였던 바 본 발명은 일정한 요철면을 가지고 내부에 유수지를 가지는 소파블럭을 요구되는 형상으로 콘크리트로 성형한 블럭을 조적하므로서 보다 견고하면서도 심미감을 가질 수 있는 외관을 가지는 호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발명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Shore protection having the function of absorbing and vomitting waves}
본 발명은 항만의 항내에서나 기타 해안을 보호하거나 후면 부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또는 해수면과 연한 해안의 토사 붕괴 방지를 위한 시설물인 호안(護岸)의 구축구조에 대한 발명으로서 통상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호안은 사석을 사용하여 석축식 호안을 많이 구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견치석등으로 벽면을 형성하고 견치석 벽면 후방에 사석을 체움하여서되는 석축식 호안은 지역에 따라 파랑이 심한 지역일 경우 구 구조자체가 취약하여 호안의 안정에 대한 신뢰성이 결여되고 파랑의 월파에 의한 영향으로 호안 후면의 부지사용에 지장을 주며 호안 주변 경관과 어울릴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서의 고려는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단위호안블럭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호안의 횡단면도
도 3 은 하부기초블럭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호안의 캡콘크리트를 도시한 일부절결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호안에서 파랑이 흡수되어 캡콘크리트에 구비된 토출공을 통하여 파랑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호안상부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B.기초블럭 Ba,..... Bn.단위소파블럭
1.호안 2.사석 3.기초단
4.전면벽 5.하단면 6,6a.격벽
7,7a,7c,7d.좌우측벽 7b,7e.중간벽체 8,8a,8b.암키
9,9a,9b,9c,9d,9e,9f,9g,9h.숫키10.외해측벽 11.요면
12.철면 13.해수통수공 14,14a.수직철부
15.유수지 16.캡콘크리트 17.해수토출공
18.파랑
본 발명은 석축식 호안의 여러 단점을 해결하고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한 발명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호안(1)을 구축함에 있어 사석(2)을 일정한 두께로 평면적으로 포설하여 기초단(3)을 형성하고 이 기초단(3) 상면에 전면벽(4)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면으로 되고 하단면(5)을 가지고 내측에 전면벽(4)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격벽(6)이 전면벽(4)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단면(5)으로 부터 입설되어 공간부(S)가 형성된 기초블럭(B)의 좌,우 측벽(7)(7a)을 전면벽(4) 좌,우 선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설되게하고 이 좌우측벽(7)(7a)내측중도부에도 중간벽체(7b)를 입설하여 좌우측벽(7)(7a)의 외면에 각각 암키(8)와 숫키(9)를 전면벽(4)과 동일한 기울기로 입설하며 전면벽(4)과 격벽(6) 상단부중앙에 숫키(9a)(9b)를 돌설하고 암키(8)과 숫키(9)가 형성된 위치의 좌우측벽(7)(7a)상하면에도 숫키(9c)(9d)를 돌설하고 이러한 기초블럭(B)상면에 상하가 개통되고 외해측벽(10)면이 다수단의 수평요면(11)과 철면(12)으로되고 각 요면(11)에는 다수개의 일정한 직경의 해수통수공(13)을 천설하며 이러한 외해측벽(10)의 다수단의 수평요면(11)과 철면(12)의 중도부에 2줄의 수직 철부(14)(14a)를 돌설하며 이러한 외해측벽(10) 중도부상하에 암키(8a)와 숫키(9e)가 형성되고 좌우측벽 상하면과 중간벽체(6a)의 상하면에도 좌우선단에 기초블럭(B)과 동일한 길이의 좌우측벽(7c)(7d)과 중간벽체(7e)가 연설되며 외해측벽(10)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기초단(3)의 격벽(6)과 연결되는 격벽(6a)에 의하여 유수지(遊水池)(15)가 구비되는 일정한 높이의 단위소파블럭(Ba)을 필요한 높이로 다수단 상,하,좌,우로 조적하여 소정의 길이로 호안을 구축하고 최상단의 단위소파블럭(Bn)상면에는 캡콘크리트(16)를 거치고정하되 캡콘크리트(15)의 외해측면 중도부와 최상단 단위소파블럭(Bn)에 구비된 유수지(14a)와 연통되도록 "ㄱ"자형으로 절곡되는 해수토출공(17)을 다수개 수평으로 천설하여서 본 발명상의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이 구성된다. 그런데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호안의 기초블럭(B)의 전면벽(4)과 격벽(6) 사이공간부(S)와 기초블럭(B)및 각 단위소파블럭(Ba.....Bn)의 좌,우 측벽(7)(7a)과 중간벽체(7b)사이전체에는 사석(2)을 채움하여 육지와 연결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18)은 파랑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전체구조가 구성된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호안(1)은 외해측으로부터 호안(1) 정면쪽으로 밀려오는 파랑(18)은 가로로 다수단 형성된 수평요면(11)과 철면(12)에 부딪혀서 반사,회절되어 파력이 약화됨과 동시 각 요면(11)에 천설된 다수개의 해수통수공(13)을 통하여 일부파랑이 단위소파블럭(Ba.....Bn)내부에 구비된 유수지(15)내로 진입하면서 파력을 소진시키고 각 단위소파블럭(Ba.....Bn)의 외해측벽(10)에는 수평요면(11)과 철면(12)뿐 아니라 일정한 거리로 세로로 2줄의 수직철부(14)(14a)가 다수개소에 돌설되어 있으므로 호안의 반사파와 좌,우측 방향에서 밀려오는 파랑은 이 수직철부(14)(14a)에 의하여 소파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외형으로 되는 각 단위소파블럭(Ba.....Bn)을 상,하,좌,우로 조적하므로서 호안(1) 전체 외형이 매우 질서정연하여 이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하며 특히 파력이 센 파랑(18)이 내습할 시에는 그 파랑의 일부는 단위소파블럭(Ba.....Bn)내부에 구비된 유수지(15)내로 급격히 진입하여 반사하면서 캡콘크리트(16) 내부에 천설되어 있는 다수개의 해수토출공(17)을 통하여 도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다쪽으로 토출되게되어 일종의 수평분수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호안(1)은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 또한 겸할 수 있으면서도 각 단위 소파블럭(Ba.....Bn)우측에는좌,우측벽(7)(7a) 및 중간벽체(7b)가 일정길이로 구비되어 그 사이사이에 사석(2)이 충전되므로 그 압밀력 및 하중에 의하여 호안은 견고한 구축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기초블럭(b) 및 각 단위소파블럭(Ba.....Bn)은 상,하,좌,우로 암키와 숫키가 서로 삽치되므로 각 블럭과 블럭의 밀림현상등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보다 견고한 호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단위소파블럭을 상,하,좌,우로 조적하여 구축되는 호안(1)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사석(2)으로 평면적인 기초단(3)을 형성하고 이 기초단(3) 상면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전면벽(4)과 하단면(5)과 일정한 공간부(S)를 가지도록 격벽(6)으로 되는 기초블럭(B)의 좌,우에는 좌,우측벽(7)(7a)이 후방으로 연설되고 이 좌,우측벽(7)(7a) 사이에 중간벽체(7b)를 입설하며 기초블럭(B)의 상측과 좌우측상단에 암키(8)와 숫키(9)를 형성하며 이 기초블럭(B) 상단에 재치되는 단위소파블럭(Ba,....Bn)을 상,하,좌,우에 적층조적하고 최상단 단위소파블럭(Bn)상면에는 캡콘크리트(16)를 재치고정하여서 되는 파랑(18)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소파블럭(Ba.....Bn)은 상,하가 개통되고 외해측벽(10)면이 다수단의 수평요면(11)과 철면(12)으로 되고 각 수평요면(11)에는 다수개의 해수통수공(13)을 천설하고 이 외해측벽(10)의 수평요면(11)과 철면(12)의 중도부에 2줄의 수직철부(14)(14a)를 돌설하며 이러한 외해측벽(10) 상면중도부 상하에 암키(8a)와 숫키(9e)가 형성되고 외해측벽(10)과 일체로 연설되는 좌,우측벽(7c)(7d)상,하면과 중간벽체(6a)상하면에도 암키(8b)와 숫키(9f)(9g)(9h)가 형성되고 외해측벽(10)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기초단(3)의 격벽(6)과 연결되는 격벽(6a)에 의하여 유수지(15)가 구비되는 다수단의 단위소파블럭(Ba.....Bn)을 필요한 높이와 길이로 상,하,좌,우로 조적하고 기초블럭(B)의 좌우측벽(7)(7a)과 중간벽체(7b)사이와 기초블럭(B)의 공간부(S)와 각 단위소파블럭(Ba.....Bn)의 좌우측벽(7c)(7d)과 중간벽체(7e) 사이공간에 사석(2)을 충전하여서되는 파랑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3. 제 1 항에 있어서,
    캡콘크리트(16) 내부에 다수개의 "ㄱ"자형으로 절곡되는 해수토출공(17)을 천설하되 캡콘크리트(16) 하측에 위치되는 해수토출공(17)과 단위소파블럭(Ba.....Bn)내부에 구비된 유수지(15)와 연통되게하여서되는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4. 삭제
KR10-2000-0024308A 2000-05-08 2000-05-08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KR10039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75U KR200197809Y1 (ko) 2000-05-08 2000-05-08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KR10-2000-0024308A KR100394330B1 (ko) 2000-05-08 2000-05-08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JP2000285721A JP3389214B2 (ja) 2000-05-08 2000-09-20 波浪吸収機能と海水吐出機能を有する護岸構造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308A KR100394330B1 (ko) 2000-05-08 2000-05-08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75U Division KR200197809Y1 (ko) 2000-05-08 2000-05-08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725A KR20010102725A (ko) 2001-11-16
KR100394330B1 true KR100394330B1 (ko) 2003-08-09

Family

ID=196681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75U KR200197809Y1 (ko) 2000-05-08 2000-05-08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KR10-2000-0024308A KR100394330B1 (ko) 2000-05-08 2000-05-08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75U KR200197809Y1 (ko) 2000-05-08 2000-05-08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89214B2 (ko)
KR (2) KR2001978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374B1 (ko) 2007-11-02 2009-04-10 주식회사 하은산업 조립식 소파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165Y1 (ko) * 2000-08-21 2001-01-15 양원회 소파용 피복블럭
CN104846774B (zh) * 2015-04-29 2017-03-08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城市小流域河道快储缓释海绵堤岸结构
CN107401142B (zh) * 2017-06-23 2019-04-12 江苏华苑环境建设有限公司 现役驳坎护岸墙加高施工方法
CN109797713B (zh) * 2019-03-18 2020-11-10 徐州轩科农业机械有限公司 水利自嵌式挡土墙护坡弯道冲击稳定装置
CN111979970B (zh) * 2020-07-27 2021-08-17 中国港湾工程有限责任公司 海岸挡浪防护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659U (ja) 1994-11-29 1995-05-30 環境工学株式会社 生態系保護用自然石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374B1 (ko) 2007-11-02 2009-04-10 주식회사 하은산업 조립식 소파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89214B2 (ja) 2003-03-24
KR20010102725A (ko) 2001-11-16
KR200197809Y1 (ko) 2000-09-15
JP2001317028A (ja)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330B1 (ko) 파랑 흡수 및 토출기능을 가지는 호안
KR100374184B1 (ko) 조립식 호안 구조
KR100522174B1 (ko) 레고형 옹벽블럭
JP2003221815A (ja) 重力式岸壁構造体
US6547487B2 (en) Wave dissipating blocks for constructing a seawall
CN210684598U (zh) 反弧型防浪结构
KR200303564Y1 (ko) 옹벽식 소파 호안구조
KR20010039040A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492078B1 (ko) 방파기능을 가지는 옹벽식 조립 호안구조
KR200217686Y1 (ko) 조립식 호안 구조
KR100619574B1 (ko) 직립제 및 혼성제 혼용 방파제 구조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521901B1 (ko) 직립식 항만 구조물에 사용되는 소파블럭 구조 및 시공구조
KR100483885B1 (ko) 하구나 해안의 연약지반에서의 호안공 시공방법
KR100374179B1 (ko) 월파차단 및 소파돌출간이 구비된 직립방파제
KR100567459B1 (ko) 조립식 케이슨 부벽 호안
JPS6043513A (ja) 箱形ブロツク及びこれを用いた階段式護岸堤
KR200168437Y1 (ko) 방파제 또는 호안 피복블럭
KR200210286Y1 (ko) 월파차단 및 소파돌출간이 구비된 직립방파제
KR200324511Y1 (ko) 소파블럭
KR200289857Y1 (ko) 다기능 조립식 호안구조
KR20040087376A (ko) 소파블럭
KR20210000901U (ko) 횡방향 물결 쌓기가 가능한 옹벽블록
KR200250959Y1 (ko) 옹벽식 소파 호안구조
KR200317703Y1 (ko) 해수 교환기능과 소파기능을 가지는 직립식 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