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38Y1 - 트레일러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트레일러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538Y1
KR200439538Y1 KR2020070007312U KR20070007312U KR200439538Y1 KR 200439538 Y1 KR200439538 Y1 KR 200439538Y1 KR 2020070007312 U KR2020070007312 U KR 2020070007312U KR 20070007312 U KR20070007312 U KR 20070007312U KR 200439538 Y1 KR200439538 Y1 KR 200439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vehicle
connection structure
trai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구
Original Assignee
신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구 filed Critical 신현구
Priority to KR2020070007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5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6Ball-and-socket hitches, e.g. constructional details, auxiliary devices, their arrangement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securing to the vehicle bu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후미 리어범퍼측 차체 하단 프레임에 체결 결합되어 각종 트레일러를 견인하기 위한 공지의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하단의 차체 프레임에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110)이 상측에 천공되어 있고, 다수개의 체결공(10)이 천공된 체결플레이트(130)가 전면부 내측에 볼트(11)와 너트(12)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전면부 일측으로 가이드공(120)이 천공되어 있는 측방프레임(100)을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측방프레임(100)의 전면부 일측에 천공된 가이드공(12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횡간바(200)의 중심부에 "ㄷ" 자 형상으로 하단에 다수개의 체결공(10)을 갖는 결합부재(210)가 상호 대향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대칭인 결합부재(210)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부(221)의 일측으로 연장된 후 절곡된 상단에 견인볼(222)이 일체로 형성된 견인부재(220)로 된 것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측방프레임(100)의 일측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횡간바(200)가 U볼트(13)에 의해 상기 체결플레이트(130)에 체결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상기 트레일러 연결구조를 너트 등으로 착탈자재하게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규격화 및 물류비 등의 절감 등을 위해 포장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견인성의 견고함과 차량 주행중 진동에 의한 충격완화 등을 이룰 수 있도 록 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고, 서로 대향 되게 형성된 측방프레임의 간격을 차량의 크기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본 고안을 체결할 수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트레일러, 트레일러 연결구조, 견인볼, U볼트

Description

트레일러 연결구조{The trailer connection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결합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연결구조에서 측방프레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연결구조가 차량의 후미 리어범퍼측 차체 하단 프레임에 체결되어 트레일러와 체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 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체결공 11; 볼트
12; 너트 13; U볼트
100; 측방프레임 110; 결합공
120; 가이드공 130; 체결플레이트
200; 횡간바 210; 결합부재
220; 견인부재 221; 체결부
222; 견인볼
본 고안은 차량의 리어범퍼 후단부의 차체 프레임에 트레일러나 타차량의 견인 등을 위해 장착되는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저용 차량 예를 들어 하우스카(House car)나 보트 등을 안착하여 견인하기 위한 보트용 트레일러 또는 일반적인 화물 운송 등을 위한 각종 트레일러를 연결하기 위한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 연결구조를 너트 등으로 착탈자재하게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규격화 및 물류비 등의 절감 등을 위해 포장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견인성의 견고함과 차량 주행중 진동에 의한 충격완화 등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리가 가능하고, 서로 대향 되게 형성된 측방프레임의 간격을 차량의 크기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본 고안을 체결할 수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를 견인하기 위한 트레일러 연결구조는 차량의 리어범퍼측 하단부의 차체프레임에 U볼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다수 천공되어지는 측방프레임을 대향되도록 형성하여 한 조로 하고, 상기 측방프 레임 간을 횡단하는 횡간바가 용접 등에 의해 각각의 측방프레임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연결하여서 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트레일러 연결구조에서 횡간바 전방측으로 고정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고정되어지고 상기 중공부측으로 출몰자재됨과 동시에 핀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되도록 하는 견인부재가 형성되어 트레일러 전단부와 견인부재간을 미리 견인부재 관통공에 체결된 견인볼에 결합하여 상기 트레일러를 견인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각각의 측방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횡간바가 상기 측방프레임 내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고정된 규격에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어 차 폭이 보다 큰 차량 또는 차 폭이 보다 작은 차량에 트레일러 연결구조를 장착할 경우에는 그 차량에 맞는 사이즈(SIZE)로 셋팅된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주문생산에 의한 제품에 의해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제품 출고시부터 고정용접되어 출고되므로, 생산자에서 소비자 또는 도소매업자로 유통시 포장되어지는 부피가 상당하여 물류비의 증가를 피할 수 없으므로 생산단가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경제적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트레일러를 견인장착하여 주행하거나 견 인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하더라도 울퉁불퉁한 평활하지 않은 도로를 주행할 시 차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된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평형성을 잃게 되어 측방프레임 간을 연결하고 있는 횡간바 양단의 용접부위가 잦은 충격과 비평형에 의해 비틀림 응력이 자주 발생되어 쉽게 균열되거나 또는 파손 내지 훼손되어, 상기의 용접부위가 균열 또는 파손, 훼손되었을 경우에는 트레일러 연결구조 자체를 전부 교환 설치하여야 하므로 교환설치에 따른 교체비용 또한 상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단점을 보안 하고자 본 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제20-1999-0027130" 호에 의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하단의 차체 프레임(22)과 결합되는 결합공(2)이 다수 천공되며, 전면부에 다수개의 볼트공(14)이 천공되어지는 측방프레임(1)을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견인볼(30)을 고정하기 위한 견인부재(8)와 견인부재(8)가 삽입되어 핀(7)등에 의해 고정결합 지지되어지는 고정부재(4)가 형설되는 횡간바(3) 양단부에 다수개의 볼트공(14)이 천공된 플레이트(15)를 고정형성하고, 상기 횡간바(3) 양단부 각각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5)를 상기 측방프레임(1) 전면 내측부에 당접하여 상기 측방프레임(1) 각각의 볼트공(14)과 체결수단(16)에 의해 고정체결되도록 하여 측방프레임(1)과 횡간바(3)가 착탈자재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트레일러 연결구조는 측방프레임과 횡간바가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탈거 및 결합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성이며, 측방프레임과 횡간바간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이므로 차체의 진동이나 충격 등이 볼트와 너트의 체결부위에서 흡수 완화되어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상기 진동이나 충격 등의 전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에 따라 트레일러 연결구조 자체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상승됨은 물론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것과, 측방프레임과 횡간바를 상호 자유롭게 탈거 및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완료 후 소비자나 도소매업자 등으로 유통시킬 경우, 분리된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어 이동시 포장된 부피량을 극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비의 대폭적인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레일러 연결구조는 견인부재와 견인볼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견인부재를 고정부재에 체결하는 데 있어 그 구조 또한 복잡하여 생산이 용이하지 않고 다수의 부품을 보관 및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횡간바의 길이가 정해져 있어 횡간바의 양측에 체결되는 측방프레임을 차량의 후미 리어범퍼측 차체 하단에 체결하는 데 있어 차량의 크기에 맞게 횡간바를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기타 크기가 상이한 다른 차량에 트레일러 연결 구조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횡간바를 차량의 크기에 맞게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게 사실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하단에 측방프레임을 체결하고 횡간바를 측방프레임의 가이드공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구조로, 차량에 트레일러 연결구조를 체결하는 데 있어, 차량의 크기에 상관없이 보다 견고하고 신속하게 체결이 가능한 것은 물론 사용자가 다른 차량에 본 고안을 체결하여 사용하는데도 용이한 트레일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견인부재에 견인볼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그 구조가 간단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여 배송에 따른 물류 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트레일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후미 리어범퍼측 차체 하단 프레임에 체결 결합되어 각종 트레일러를 견인하기 위한 공지의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있어서,
차량 하단의 차체 프레임에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110)이 상측에 천 공되어 있고, 다수개의 체결공(10)이 천공된 체결플레이트(130)가 전면부 내측에 볼트(11)와 너트(12)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전면부 일측으로 가이드공(120)이 천공되어 있는 측방프레임(100)을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측방프레임(100)의 전면부 일측에 천공된 가이드공(12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횡간바(200)의 중심부에 "ㄷ" 자 형상으로 하단에 다수개의 체결공(10)을 갖는 결합부재(210)가 상호 대향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대칭인 결합부재(210)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부(22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상단에 견인볼(222)이 일체로 형성된 견인부재(220)로 된 것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측방프레임(100)의 일측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횡간바(200)가 U볼트(13)에 의해 상기 체결플레이트(130)에 체결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결합 사시도 이고,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연결구조에서 측방프레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연결구조가 차량의 후미 리어범퍼측 차체 하단 프레임에 체결되어 트레일러와 체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분리 사시도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의 후방 리어범퍼측의 차체 하방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각종 트레일러를 견인하기 위한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 프레임과 결착되는 한 조의 측방프레임(100)과 상기 측방프레임(100) 간을 횡간 연결고정하는 횡간바(200)의 중심부에 견인부재(220)가 체결되는 것을 그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방프레임(10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하단의 차체 프레임에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110)이 상측에 천공되어 있고, 전면부 일측으로 가이드공(120) 및 다수의 체결공(10)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 일측에 천공된 체결공(10)과 대응하는 체결공(10)을 갖는 체결플레이트(130)가 전면부 내측에 볼트(11)와 너트(12)에 의해 고정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측방프레임(100)은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횡간바(100)의 양측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130)는 "ㄱ"가 형상으로 측방프레임(100)과 체결된 면의 직각에 위치한 면에도 다수개의 체결공(10)이 천공되어 있는바, 이는 횡간바(100)가 체결플레이트(130)에 U볼트(13)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횡간바(200)는 도 1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게 연장된 바의 형상으로 중심부에 "ㄷ" 자 형상으로 하단에 다수개의 체결공(10)을 갖는 결합부 재(21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 되게 용접접합 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양측이 상기 측방프레임(100)의 전면부에 천공된 가이드공(130)에 삽입되어 측방프레임(100) 간을 횡간 연결하게 된다.
상기 견인부재(220)는 도 1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공(10)을 갖는 체결부(22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상단에 견인볼(222)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체결부(221)가 상기 횡간바(200) 중심부에 서로 대향 되게 고정된 결합부재(210) 사이에 끼워져 볼트(11)와 너트(12)에 의해 결합부재(210)와 체결되어 지고, 상기 견인볼(222)은 트레일러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차량과 트레일러 간을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체결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측방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10)과 차량의 후미 리어범퍼측 차체 하단 프레임을 U볼트(13) 등으로 체결하여, 측방프레임(100)을 차량에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측방프레임(100)을 차량의 원하는 위치에 체결한 후, 측방프레임(100)의 전면부에 천공된 체결공(10)과 체결플레이트(130)에 천공된 체결공(10)을 일치시킨 후 볼트(11)와 너트(12)로 체결하여 측방프레임(100) 전면부 내측으로 체결플레이트(130)를 고정체결하고,
중심부에 결합부재(210)가 서로 대향 되게 고정된 횡간바(200)의 양측이 상기 각각의 측방프레임(100)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는 측방프레임(100)의 전면부에 천공된 가이드공(130)에 횡간바(200)를 삽입하여서 되는 것으로,
따라서 차량의 크기에 상관없이 횡간바(200)가 측방프레임(100) 간을 횡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측방프레임(100)을 횡간바(200)에 삽입하여 알맞은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체결플레이트(130)의 일측에 천공된 체결공(10)에 U볼트(13)를 체결하여, 체결플레이트(130)에 상기 횡간바(200)를 체결하게 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측방프레임(100)과 횡간바(200)가 고정체결되어 지고, 본 고안에 의해 측방프레임(100)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크기에 관계없이 본 고안을 차량에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횡간바(200)가 측방프레임(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견인부재(220)를 상기 횡간바(200)의 중심부에 위치한 결합부재(210)에 체결하게 되는데, 이는 서로 대향 되게 횡간바(200)에 고정된 "ㄷ" 자 형상의 결합부재(210)의 저면으로 다수의 체결공(10)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체결공(10)을 갖는 견인부재(220)의 체결부(221)를 각각의 결합부재(210) 사이에 끼운 후 볼트(11)와 너트(12)에 의해 고정체결하게 되면서 견인부재(220)가 결합부재(210)에 체결되고 결과적으로 횡간바(200)와 견인부재(220)가 체결되고, 또한 측방프레임(100)과도 체 결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성품을 체결한 다음 상기 측방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10)과 차량의 후미 리어범퍼측 차체 하단 프레임을 U볼트(13) 등으로 체결하여, 본 고안인 트레일러 연결구조가 차량의 하단에 체결되어 지고,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차량의 하단에 체결한 후 상기 견인부재(220)에 형성된 견인볼(222)을 트레일러의 전단부에 체결하여 각종 트레일러를 견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차량의 하단에 체결하여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데 사용되어 지다,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다른 차량에 본 고안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작업 방법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어느 차량에도 본 고안을 체결하여 각종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트레일러 연결구조는, 측방프레임을 자동차 후미 리어범퍼측 하단 프레임에 U볼트 등으로 체결하고 측방프레임 간을 횡간 연결하는 횡간바를 측방프레임의 가이드공에 삽입한 후 볼트나 나사 등으로 체결하여,
차량의 크기에 상관없이 보다 견고하고 신속하게 체결이 가능한 것은 물론 사용자가 다른 차량에 본 고안을 체결하여 사용하는데도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의하면, 각종 트레일러를 견인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전단부 에 체결되는 견일볼이 견인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본 고안인 트레일러 연결구조의 구조가 간단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여 배송에 따른 물류 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트레일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차 후미 리어범퍼측 차체 하단 프레임에 체결 결합되어 각종 트레일러를 견인하기 위한 공지의 트레일러 연결구조에 있어서,
    차량 하단의 차체 프레임에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110)이 상측에 천공되어 있고, 다수개의 체결공(10)이 천공된 체결플레이트(130)가 전면부 내측에 볼트(11)와 너트(12)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전면부 일측으로 가이드공(120)이 천공되어 있는 측방프레임(100)을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측방프레임(100)의 전면부 일측에 천공된 가이드공(12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횡간바(200)의 중심부에 "ㄷ" 자 형상으로 하단에 다수개의 체결공(10)을 갖는 결합부재(2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대칭인 결합부재(210)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는 견인부재(220)로 구성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측방프레임(100)의 일측에 삽입되는 횡간바(200)가 U볼트(13)에 의해 상기 체결플레이트(130)에 체결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220)는 상기 횡간바(200)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 되게 고정된 결합부재(210)에 볼트(11)와 나사(12) 등으로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10)을 갖는 체결부(221)의, 일측으로 연장된 후 절곡된 상단에 견인볼(222)이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연결구조.
KR2020070007312U 2007-05-03 2007-05-03 트레일러 연결구조 KR200439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312U KR200439538Y1 (ko) 2007-05-03 2007-05-03 트레일러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312U KR200439538Y1 (ko) 2007-05-03 2007-05-03 트레일러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538Y1 true KR200439538Y1 (ko) 2008-04-17

Family

ID=4134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312U KR200439538Y1 (ko) 2007-05-03 2007-05-03 트레일러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5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62B1 (ko) * 2008-06-19 2009-01-08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접촉식 자외선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615882B1 (ko) 2015-12-02 2016-04-27 우사현 트레일러용 견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62B1 (ko) * 2008-06-19 2009-01-08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접촉식 자외선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615882B1 (ko) 2015-12-02 2016-04-27 우사현 트레일러용 견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9854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букси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таки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ах
KR101599421B1 (ko) 차량용 범퍼
KR101835427B1 (ko) 차량 트레일러용 견인 장치
KR102452545B1 (ko) 복합재 리프 스프링모듈 조립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439538Y1 (ko) 트레일러 연결구조
US10252756B2 (en) Integrally formed gooseneck hitch assembly
KR200180761Y1 (ko) 분리가능한 트레일러 연결히칭구조
US20070210614A1 (en) Utility trailer
US20140144999A1 (en) Rail support assembly with improved shoulder
US8096596B2 (en) Bumper beam for a vehicle
US10787050B2 (en) Tow bar for towing trucks
US6848572B1 (en) Modular conveyor system
KR200441719Y1 (ko) 트레일러 연결장치
CN101263044A (zh) 鞍式联接器
JP4915894B2 (ja) 荷台床搭載方法及び荷台床搭載構造
KR200404122Y1 (ko) 조립식 박스
CA3049998A1 (en) Low profile trolley for a tow saddle
US8128325B2 (en) Tie-down anchor for freight
US6478320B2 (en) Anchoring system of spring to vehicle axle and spring for vehicle axle
KR101526709B1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US20120267133A1 (en) Plow blade kit
RU2622317C2 (ru) Крепление сцеп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кронштейном распределения усилий
CN203211789U (zh) 运输平台及具有该运输平台的集装箱
KR101399798B1 (ko) 트레일러 프레임 보강구조
KR20090039854A (ko)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