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407Y1 - 철망울타리 - Google Patents

철망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407Y1
KR200439407Y1 KR2020070018477U KR20070018477U KR200439407Y1 KR 200439407 Y1 KR200439407 Y1 KR 200439407Y1 KR 2020070018477 U KR2020070018477 U KR 2020070018477U KR 20070018477 U KR20070018477 U KR 20070018477U KR 200439407 Y1 KR200439407 Y1 KR 200439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support
support frame
fram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두륜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륜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두륜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2020070018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1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 E04H17/163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using wired panels with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망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철망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내구력의 향상으로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 등 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 철망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철망체로 이루어진 철망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철망체(20)는 상기 지주의 사이 길이만큼 가로길이를 갖는 사각틀체의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내측에 주연부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철망(25)과, 상기 철망(25)을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7)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일측 개구부로 상기 철망(25)이 삽입되도록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연장되어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되게 철망지지편(2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27)에 의한 고정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단부가 오므라지면서 상기 철망지지편(23)이 상기 철망(25)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주(1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외주면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정 길이 및 면적을 갖는 체결판(40)과, 상기 체결판(40)의 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철망지지편(23)에 결속되도록 직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결속편(43)과, 상기 체결판(4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주(10)와 지지프레임(22)에 고정되는 고정핀(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망체, 지지프레임, 철망지지편, 철망, 프레임커버판, 체결판

Description

철망울타리{WIRE NETTING FENCE}
본 고안은 철망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철망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내구력의 향상으로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 등 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 철망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울타리나 특정장소의 울타리에는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방지하도록 경계용 또는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보안용의 철망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철망은 여러 종류가 다양하게 알려져 널리 사용되고 있겠으나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철망을 일 예로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과 같은 종래의 철망은 철망을 설치하고자 하는 라인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수직지주(1)을 세우고, 상기 수직지주(1)들의 상,하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상,하프레임(2)(3)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골조를 세운 상태에서 굵은 철사를 사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엮어서 제조된 철망(5)의 상,하단을 상기 상,하프레임(2)(3)의 내부에 삽입하여 체결볼 트로 고정하거나 용접 또는 고정구(4)를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철망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철망(5)의 소정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와이어를 체결하여 철망(5)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되는 철망은 울타리를 따라 넓은 범위로 설치되어짐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정확하게 고정되어야 하나 약간의 유동시에도 고정부분이 볼트의 경우 헐거워지거나 용접의 경우 떨어져버리는 폐단이 있었으며, 국부적인 외부의 충격, 즉 신체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철망을 누르거나 놀이 중 공 등의 물체가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손쉽게 철망이 떨어지는 등 손상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보는 이로 하여금 눈살을 찌푸리게 하며, 수명의 단축으로 단기간내에 새로 교체하거나 보수작업에 착수하여야 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철망을 지지하는 상,하프레임의 연결시나 또는 도 2와 같이 철망(5')을 일정 크기의 망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가장자리부위를 결속하도록 사각틀체로 형성된 프레임(7)의 제작시 각각의 프레임(7)을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일정 기간 사용 후 부식이 지속적으로 가속화되어 종국에는 얼마지나지 않아 교체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각틀체에 고정된 철망을 지주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은 상태로 정확한 결합이 어려워 작업자들로 하여금 장시간의 작업을 요구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철망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 등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지주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해짐과 아울러 작업시간 등의 단축으로 작업능률의 향상시킬 수 있는 철망울타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철망체로 이루어진 철망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철망체(20)는 상기 지주의 사이 길이만큼 가로길이를 갖는 사각틀체의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내측에 주연부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철망(25)과, 상기 철망(25)을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7)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일측 개구부로 상기 철망(25)이 삽입되도록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연장되어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되게 철망지지편(2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27)에 의한 고정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단부가 오므라지면서 상기 철망지지편(23)이 상기 철망(25)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모서리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프레임의 연결 부위를 커버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프레임커버판(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철망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외부 물체와의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 향상에 따른 수명이 장구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 등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지주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해짐과 더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철망울타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철망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의 고정볼트에 의한 조임시 변형되는 지지프레임을 보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날개편과 조임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철망체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체결판과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철망체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의 지주에 결합된 철망체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밀착편이 형성된 체결판에 의해 결합된 지주와 철망체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망울타리는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 사이에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철망체(20)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철망체(20)는 상기 지주(10)의 사이 길이만큼 가로길이를 갖는 사각틀체의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내측에 가장자리의 주연부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철망(25)과, 상기 철망(25)을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2)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볼트(2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철망(25)은 격자 또는 경사지게 엮어진 상태의 망체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위는 상기 고정볼트(27)에 의한 고정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나의 와이어가 용접 등에 의해 매끄럽게 결합되어 마무리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망(25)이 삽입되는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일측 개구부로 상기 철망(25)이 삽입되도록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연장되어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되게 철망지지편(23)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22)에 삽입된 상기 철망(25)을 상기 고정볼트(27)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경우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단부가 오므라지면서 상기 철망지지편(23)이 상기 철망(25)에 보다 많은 면적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철망(25)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철망(25)의 단부는 상기 고정볼트(27)가 결속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철망(25)의 단부 근방은 상기 철망지지편(23)이 밀착되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철망(25)은 외부의 국부적인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지지프레임(22)에 고정된 부위가 손쉽게 흔들리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지지프레임(22)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치 않게 되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프레임의 연결부위를 커버하여 녹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도록 프레임커버판(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22)을 이루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연결부위는 통상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바, 수분에 의해 쉽게 녹이 발생하는 등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커버판(3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커버판(30)은 상기 지지프레임(22)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게 하여 결합시키면 되고,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22)을 용접 등으로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커버판(30)을 매개로 연결시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프레임커버판(30)에 일정 면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주(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방형의 고정공(36)이 형성된 날개편(35)이 구비되고, 상기 철망체(20)를 상기 지주(10)에 장착하도록 상기 날개편(35)의 고정공(36)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10)에 형성된 삽입공(12)에 고정되는 조임볼트(3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공(36)은 상기 철망체(20)의 설치시 상기 지주(10)의 상/하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유동간격을 형성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주(1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외주면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정 길이 및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체결판(40)과, 상기 체결판(40)의 단부에 상기 지지프레 임(22)의 철망지지편(23)에 결속되도록 직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결속편(43)과, 상기 체결판(4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주(10)와 지지프레임(22)에 고정되는 고정핀(4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철망체(20)의 지지프레임(22)을 상기 지주(10)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결속편(43)에 결속되게 한 후, 상기 고정핀(45)을 이용하여 상기 지주(10)와 지지프레임(22)에 상기 체결판(4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속편(43)의 단부에는 상기 철망체(2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체결판(4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철망(25)에 밀착되게 밀착편(50)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밀착편(50)에 결속핀(52)을 이용하여 상기 철망(25)을 관통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판(40)은 상기 밀착편(50)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철망체(20)와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상기 철망체(20)의 유동을 보다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지지프레임(22)의 철망지지편(23) 사이로 철망(25)의 가장자리부위를 끼워 넣은 후 고정볼트(27)로 상기 지지프레임(22)을 관통시켜 철망(25)을 고정시켜 철망체(20)를 완성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27)를 조이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27)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2)이 짓눌려 단부가 오므라지면서 상기 철망(25)을 더욱 가압시키게 되고, 상기 철망지지편(23)은 보다 납작하게 펴지면서 상기 철망(25)과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상기 철망(25)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철망체(20)를 완성시킨 후에는 상기 철망체(20)의 모서리 즉,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모서리부위를 프레임커버판(30)으로 감싸 마무리한다.
이후, 상기 철망체(20)를 지주(10)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지주(10)의 외측면에 상기 철망체(2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커버판(30)에 구비된 날개편(35)의 고정공(36)과 상기 지주(10)의 삽입공(12)을 일치시킨 다음 조임볼트(38)로 견고하게 결속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철망체(20)의 상/하 간격을 조금 유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볼트(38)를 완전 조이기 전에 상기 철망체(20)를 유동시킨 상태로 상기 고정공(36)의 자리만을 변경시켜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의 날개편(35)과 조임볼트(38)에 의한 체결 대신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주(10)에 철망체(2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판(40)을 지주(10)와 철망체(20)의 지지프레임(22)을 감싸도록 구비한 상태에서 고정핀(45)으로 고정시켜 체결하면 되며, 상기 철망체(20)의 더욱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체결판(40)의 결속편(43) 단부에 더 연장되게 밀착편(50)을 구비하여 결속핀(52)으로 결속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철망체(20)의 고정시 보다 간단하게 지주(10)에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시 상기 철망체(20)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망울타리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철망체의 지지프레임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철망체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의 고정볼트에 의한 조임시 변형되는 지지프레임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날개편과 조임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철망체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체결판과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철망체를 보인 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의 지주에 결합된 철망체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밀착편이 형성된 체결판에 의해 결합된 지주와 철망체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주 12: 삽입공
20: 철망체 22: 지지프레임
23: 철망지지편 25: 철망
27: 고정볼트 30: 프레임커버판
35: 날개편 36: 고정공
38: 조임볼트 40: 체결판
43: 결속편 45: 고정핀
50: 밀착편 52: 결속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철망체로 이루어진 철망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철망체(20)는 상기 지주의 사이 길이만큼 가로길이를 갖는 사각틀체의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내측에 주연부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철망(25)과, 상기 철망(25)을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7)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일측 개구부로 상기 철망(25)이 삽입되도록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연장되어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되게 철망지지편(2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27)에 의한 고정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단부가 오므라지면서 상기 철망지지편(23)이 상기 철망(25)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주(1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외주면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정 길이 및 면적을 갖는 체결판(40)과, 상기 체결판(40)의 단부에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철망지지편(23)에 결속되도록 직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결속편(43)과, 상기 체결판(4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주(10)와 지지프레임(22)에 고정되는 고정핀(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울타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편(43)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판(4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철망(25)에 밀착된 상태로 결속핀(52)으로 상기 철망(25)에 고정되는 밀착편(5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울타리.
KR2020070018477U 2007-11-16 2007-11-16 철망울타리 KR200439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477U KR200439407Y1 (ko) 2007-11-16 2007-11-16 철망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477U KR200439407Y1 (ko) 2007-11-16 2007-11-16 철망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407Y1 true KR200439407Y1 (ko) 2008-04-11

Family

ID=4134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477U KR200439407Y1 (ko) 2007-11-16 2007-11-16 철망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4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955B1 (ko) * 2015-09-25 2016-05-24 대지금속 주식회사 메시 난간
KR101937941B1 (ko) *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955B1 (ko) * 2015-09-25 2016-05-24 대지금속 주식회사 메시 난간
KR101937941B1 (ko) *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9435B2 (ja) 屋根上設置物の配線収納構造
KR101143610B1 (ko) 차양막 구조물
KR200439407Y1 (ko) 철망울타리
KR100959414B1 (ko) 슬라이딩식 등주 수납개방부 커버
KR20130092227A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102241551B1 (ko) ㄷ자형 앵글시스템
KR102259672B1 (ko) 철망 고정프레임
KR200488170Y1 (ko) 철망 펜스용 고정 프레임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KR200423362Y1 (ko)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0812621B1 (ko)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KR102152503B1 (ko) 탈부착 구조를 갖는 투명 방음판
KR200446157Y1 (ko) 조립 분해식 방범 및 방호창
JP2010174470A (ja) 既設落石防護柵の補強構造
KR200474866Y1 (ko) 메쉬휀스 설치구조
EP3567189A1 (en) Arrangement in a fence structure
KR200434707Y1 (ko) 방범창
KR101051701B1 (ko) 메쉬망 지지틀을 갖는 메쉬 펜스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993351B1 (ko)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RU195791U1 (ru) Защитная акустическая панель
KR100994412B1 (ko) 건축구조물의 막재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19957Y1 (ko) 건축벽 판넬 조립구조
CN203947794U (zh) 一种建筑施工用安全防护网
KR101097833B1 (ko) 조립식 스틸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