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39Y1 -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939Y1
KR200438939Y1 KR2020070003852U KR20070003852U KR200438939Y1 KR 200438939 Y1 KR200438939 Y1 KR 200438939Y1 KR 2020070003852 U KR2020070003852 U KR 2020070003852U KR 20070003852 U KR20070003852 U KR 20070003852U KR 200438939 Y1 KR200438939 Y1 KR 200438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ster
base
pedal
rota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173U (ko
Inventor
넹칭 첸
Original Assignee
넹칭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넹칭 첸 filed Critical 넹칭 첸
Priority to KR2020070003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939Y1/ko
Publication of KR20070001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9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 운동기구는 베이스, 트위스터기에 결합된 페달조립체 및 페달조립체의 크랭크드럼을 덮는 케이싱을 갖는다. 트위스터기는 중간판과 회전판으로 구성된다. 중간판은 베이스의 중심축에 삽입고정되면서 요홈부 안에 끼워지고 마찰감소 요소로 작용하는 회전볼 여러개가 중간판에 설치된다. 회전판은 베이스의 원형 측벽에 맞게 결합되어 중간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판에는 핀이 달려있어서 중간판에 결합되어 트위스터기를 정지시킨다. 트위스터기가 있어서, 페달형 운동기구는 페달운동과 동시에 트위스트 운동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PEDALING EXERCISER WITH A TWISTER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의 전방좌측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의 후방좌측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운동기구의 후방우측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페달 운동기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페달 운동기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케이싱을 덮은 트위스터기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트위스터기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 9a은 도 9의 핀의 확대단면도로서, 잠금해제상태;
도 9b는 도 9의 핀의 확대단면도로서, 잠금상태;
도 10은 도 8의 트위스터기의 전개사시도.
본 고안은 페달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트위스트 기능을 갖기도 하는 페달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운동기구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기존의 페달형 운동기구는 페달기능만을 갖기 때문에 페달에 의한 다리운동밖에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경우 지루한 페달동에 사용자가 곧 싫증을 내기 쉬워 운동효과를 충분히 얻기가 힘들었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트위스터기를 결합하여 페달을 밟으면서 다양하게 운동할 수 있는 페달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하는 동안 안정을 유지하는 페달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런 목적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는,
요홈부를 이루는 원형의 측벽이 윗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런 원형 측벽 내부에서 중심축이 윗면에 직립해 있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되고 중간판과 회전판을 갖되, 중간판은 베이스의 중심축에 삽입고정되면서 요홈부 안에 끼워지고 마찰감소 요소로 작용하는 회전볼 여러개가 중간판에 설치되며, 회전판은 베이스의 원형 측벽에 맞게 결합되어 중간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위스터기;
베이스의 중심축에 부착되고 회전판에 결합하여 회전판을 안정되게 회전시키는 베어링; 및
회전판을 회전시키도록 회전판에 설치된 페달조립체를 포함한다.
트위스터기를 페달조립체와 결합함으로써, 페달형 운동기구가 허리운동을 위한 트위스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된 트위스터기, 트위스터기에 결합된 페달조립체 및 크랭크드럼을 덮는 케이싱을 구비한다. 트위스터기는 중간판과 회전판으로 이루어진다. 중간판은 베이스의 중심축에 고정되고, 여러개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중간판에 설치된다. 회전판은 중간판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축에 베어링을 통해 설치되므로 회전운동이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 회전판에는 핀이 달려있고, 이 핀을 중간판과 맞물리면 트위스터기가 잠긴다. 트위스터기 때문에, 페달형 운동기구는 페달기능과 트위스트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1~3의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페달조립체(1), 회전판(2), 중간판(a), 베이스(3) 및 케이싱(4; 선택사항임)을 구비한다(도 8, 10 참조).
도 10을 보면, 베이스(3)는 정사각형 판이고, 베이스(3) 위에는 원형 요홈부가 형성되고 그 경계면을 이루는 측벽(31)이 있다. 요홈부의 중심에 직립한 중심축(32)과 2개의 원형궤도(311)가 원형의 측벽(31)과 동심을 이루면서 베이스(3)에 형성된다. 원형궤도(311) 각각의 윗면에는 얕은 오목홈(3111)이 형성된다. 또, 베 이스(3)의 원형 측벽(31) 내부에는 정위치용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트위스터기는 회전판(2)과 중간판(a)으로 구성되고, 베이스(3)와 페달조립체 사이에 설치된다(도 8, 9 참조). 중간판(a)은 베이스(3)의 요홈부 안에 끼워져 중심축(32)에 고정된다. 중간판(a)에 여러개의 볼(a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회전판(2)이 이들 볼을 타고 미끄러질 수 있고, 결국 트위스터기가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또, 여러개의 환형 돌기와 반경방형 돌기가 중간판(a)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중간판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고, 이들 환형돌기와 반경방향 돌기의 교차점에 볼(a1)이위치한다. 회전판(2)은 원형 측벽(31)에 일치하여 회전하도록 원형이다. 2개의 원형궤도(20)가 회전판(2) 바닥면에 형성되는데, 이들 궤도는 베이스(3)의 원형궤도(311)와 일치한다. 각각의 원형궤도(20) 윗면에도 얕게 오목홈(201)이 형성된다. 따라서, 핀(21)을 회전판(2)에 설치하되 베이스(3)와 맞물려 잠금기구 기능을 하도록 설치한다.
핀(21)은 홀딩베이스(211), 축(212) 및 탄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베이스(211)는 관 모양으로서 회전판(2)에 설치되며, 홀딩베이스의 윗면에는 요홈부(2111)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스프링 홈(2112)이 형성된다. 핀의 축(212)은 홀딩베이스(211)의 상단 요홈부(2111) 안에 삽입되는 볼헤드를 가지며, 이런 삽입부의 외주면에 2개의 측면 정지구(21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홀딩베이스(211)의 윗면과 맞닿는다. 핀의 축(212)의 말단부에는 링(2122)이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213)과 같은 탄성요소는 핀 축(212)의 삽입부를 둘러싸고 홀딩베이스(211)의 스프링홈(2112) 내부에서 링(2122)의 지지를 받는다.
핀 축(212)을 올리면, 측면정지구(2121)가 홀딩베이스(211)의 상부 요홈부(2111)에서 분리된다. 핀 축(212)을 90도 돌리면, 삽입부과 상부 요홈부(2111)와 일치하지 않고 측면정지부(2121)가 홀딩베이스(211)의 윗면에 걸리므로 핀축(211)이 홀딩베이스(211) 위에 지지된다. 이 경우, 핀축(212)가 베이스(3)의 정위치 구멍(34)에서 빠지게 되므로 회전판(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판(2)을 고정하려면, 핀축(212)을 90도 돌려서 홀딩베이스(211)의 상부 요홈부(2111)와 다시 일치시킨다. 핀축(212)은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아래로 밀리면서 상부 요홈부(2111)에 삽입되고, 핀축(212)의 말단부가 중간판(a)의 관통공(a2)을 통과해 베이스(3)의 정위치 구멍(34)에 끼워진다. 이렇게 되면 회전판(2)이 정위치된다.
또, 중심축(32)에 베어링(33)을 설치하되 회전판(2)에 결합하면 회전판(2)의 안정된 회전운동이 보장된다.
도 4~5를 보면, 회전판(2)에 설치된 페달조립체(1)가 브래킷, 브래킷에 설치된 크랭크드럼, 크랭크드럼 밑으로 브래킷에 설치된 강도조절 드럼, 페달을 크랭크드럼 양쪽에 연결하고 브래킷을 관통하는 2개의 크랭크, 및 크랭크드럼에 직립해있는 안장기둥으로 이루어진다. 페달조립체(1)의 디자인은 어떤 것도 가능하되, 회전판(2)에 설치되었을 때도 제대로 기능해야만 한다. 드럼과 트위스터기를 덮어서 사용자가 이곳에 닿지 않도록 하는 케이싱(4)을 베이스(3)에 설치한다. 또, 크랭크드럼과 강도조절드럼에 벨트를 감아 페달을 밟았을 때 크랭크드럼이 강도조절드럼을 구동하도록 한다. 이상 페달조립체(1)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를 든 것일 뿐이고, 페달조립체는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7에 의하면,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가 작동될 때, 핀(21)을 누르거나 빼서 트위스터기를 고정하거나 가동시킨다. 트위스터기가 풀리면, 페달조립체(1)의 움지임에 맞춰 트위스터기가 회전한다. 도 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측발로 우측페달을 누르면, 트위스터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우측 발을 올려야만 하므로 사용자의 신체가 약간 좌측으로 회전한다.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발로 좌측페달을 밟으면, 트위스터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좌측발을 올려야만 하므로 사용자의 신체가 반대로 우측으로 약간 회전한다. 이렇게 사용자는 페달조립체(1)를 작동시킬 때 동시에 허리운동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페달형 운동기구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1. 트위스터기를 결합함으로써, 허리 부위를 운동시키는 트위스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2. 회전판(2)에 베어링(33)을 설치함으로써, 트위스터기의 회전 안정성이 개선된다.
3. 핀(21)을 중간판(a)에서 풀면 트위스트 기능 없이 페달운동만 할 수 있다.
4. 중간판(a)에 설치된 볼(a1)에 의해 페달운동중에 생기는 트위스터기의 회전이 촉진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지만, 이상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예를 든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어디까지나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을 알아야 한다.

Claims (7)

  1. 요홈부를 이루는 원형의 측벽이 윗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런 원형 측벽 내부에서 중심축이 윗면에 직립해 있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되고 중간판과 회전판을 갖되, 중간판은 베이스의 중심축에 삽입고정되면서 요홈부 안에 끼워지고 마찰감소 요소로 작용하는 회전볼 여러개가 중간판에 설치되며, 회전판은 베이스의 원형 측벽에 맞게 결합되어 중간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위스터기;
    베이스의 중심축에 부착되고 회전판에 결합하여 회전판을 안정되게 회전시키는 베어링; 및
    회전판을 회전시키도록 회전판에 설치된 페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터기가 36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베이스에 결합하도록 움직일 수 있는 핀이 달려있어 트위스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의 바닥면에 원형궤도가 형성되고, 이런 원형궤도의 단부면에 오목홈이 얕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판의 원형궤도와 일치하는 원형궤도가 베이스 윗면에 형성되고, 이런 원형궤도의 단부면에도 오목홈이 얕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페달조립체와 트위스터기를 덮도록 베이스에 케이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이,
    윗면, 바닥면, 윗면에 형성된 요홈부, 및 바닥면에 형성된 스프링홈을 갖고, 회전판에 설치되는 홀딩베이스; 및
    홀딩베이스의 상부 요홈부 안에 삽입되며 볼헤드를 갖고, 이런 삽입부의 외주면에 2개의 측면 정지구가 형성되어 있는 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축의 말단부에 링이 형성되어 있고, 핀축의 삽입부 둘레에 탄성요소를 설치하되, 홀딩베이스의 스프링홈 내부의 링에 탄성요소가 탄성요소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터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KR2020070003852U 2006-05-04 2007-03-08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KR200438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852U KR200438939Y1 (ko) 2006-05-04 2007-03-08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81,635 2006-05-04
KR2020070003852U KR200438939Y1 (ko) 2006-05-04 2007-03-08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173U KR20070001173U (ko) 2007-11-08
KR200438939Y1 true KR200438939Y1 (ko) 2008-03-11

Family

ID=4155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852U KR200438939Y1 (ko) 2006-05-04 2007-03-08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9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11A1 (ko) * 2017-01-05 2018-07-12 (주)레봇 피봇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
KR20180002937U (ko) 2017-04-04 2018-10-12 임정수 크랭크 운동기의 핸들 체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11A1 (ko) * 2017-01-05 2018-07-12 (주)레봇 피봇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
KR20180080819A (ko) * 2017-01-05 2018-07-13 (주)레봇 피봇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
KR101902981B1 (ko) * 2017-01-05 2018-10-02 (주)레봇 피봇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
KR20180002937U (ko) 2017-04-04 2018-10-12 임정수 크랭크 운동기의 핸들 체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173U (ko)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956B1 (en) Pedaling exerciser with a twister device
US1118573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e pedal crank
AU2010202246B2 (en) Gyroscopic exerciser
US7468025B2 (en) Push-up exercise unit and device
US20020156404A1 (en) Massage device
US20040053748A1 (en) Hand support controlling device for an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TW201707753A (zh) 用於運動器材的具有磁性煞車之緊急停止
KR200438939Y1 (ko) 트위스트기가 달린 페달형 운동기구
US20030153436A1 (en) Electrical drive assembly for an exercise machine
KR100653822B1 (ko) 자전거의 요동장치
US20050011305A1 (en) Quick entry clipless bicycle pedal
TWI646951B (zh) wheelchair
TW202021829A (zh) 腳輪裝置
KR200385439Y1 (ko) 복합 자전거 운동 장치
TWI351356B (ko)
CN215781262U (zh) 一种健身器械的两用脚蹬结构
KR200266853Y1 (ko) 조합형 스케이트보드 스쿠터/운동기구
TW202028052A (zh) 人力車之可增力踩踏曲柄裝置
JP3138334U (ja) 筋引延用二回転盤式健康器
CN215232023U (zh) 一种用于健身器械的脚蹬结构
KR102554462B1 (ko) 실내용 자전거
JP2006230441A (ja) パチンコ機
WO2002055372A1 (en) Kick board with driving force
JP3123821U (ja) 腰部のひねり運動ができる自転車運動装置
KR200194790Y1 (ko) 허리 비틀림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