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800Y1 -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800Y1
KR200438800Y1 KR2020060028378U KR20060028378U KR200438800Y1 KR 200438800 Y1 KR200438800 Y1 KR 200438800Y1 KR 2020060028378 U KR2020060028378 U KR 2020060028378U KR 20060028378 U KR20060028378 U KR 20060028378U KR 200438800 Y1 KR200438800 Y1 KR 200438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ipe
clamp members
circumferential surface
clam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20060028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8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6Sealing by means of a swivel nut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리브 내부를 통해 편심되게 삽입되는 배관을 슬리브의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중공 구조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내부를 통해 편심되게 삽입되는 배관을 슬리브의 내부에서 편심된 위치로 고정되게 잡아주는 클램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건축물, 배관, 고정장치

Description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A fixing device for pipe arrangem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배관 고정장치에 의한 배관 고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2a는 슬리브 내측 상부에 제1, 2클램프부재가 결합되되, 조임너트에 의해 조여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b는 조임너트가 제1, 2클램프부재에 체결되어 배관의 고정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배관 고정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횡단면도로서,
도 3a는 도 2a의 Ⅰ-Ⅰ선 단면도
도 3b는 도 2b의 Ⅱ-Ⅱ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배관 고정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도 3a의 Ⅲ-Ⅲ선 단면도
도 4b는 도 3b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조임너트의 다른 실시형상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클램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배관 고정장치에 의한 배관 고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7a는 슬리브 내측 상부에 제1, 2클램프부재가 결합되되, 조임너트에 의해 조여지지 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b는 조임너트가 제1, 2클램프부재에 체결되어 배관의 고정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배관 고정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횡단면도로서,
도 8a는 도 7a의 Ⅴ-Ⅴ선 단면도
도 8b는 도 7b의 Ⅵ-Ⅵ선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배관 고정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9a는 도 8a의 Ⅶ-Ⅶ선 단면도
도 9b는 도 8b의 Ⅷ-Ⅷ선 단면도
도 10은 슬리브 상, 하부에 제1, 2클램프부재가 결합된 모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슬리브 200:조임너트
300:제1클램프부재 500:제2클램프부재
50:고정링 60:패킹
CON:콘크리트 P:배관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리브 내부를 통해 편심되게 삽입되는 배관을 슬리브의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슬리브(Sleeve)는 "긴 축 등을 끼우는 쇠붙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통상 건축분야에서 상기 슬리브는 건물에 설치되는 오수관, 공기관, 배수관 및 급수관 등의 배관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통상적인 슬리브의 시공방법을 보면 건물 각각의 층에 건물 바닥면 형성을 위한 거푸집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거푸집의 바닥면에는 상기 슬리브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중심선(원형을 중심으로 십자선이 그어진 상태)을 만들게 된다. 한편 상기 거푸집의 바닥면에 만들어진 중심선에 상기 슬리브를 정렬하여 고정한 다음, 고정못으로 상기 슬리브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캡을 씌우게 되고, 상기 캡이 슬리브에 씌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거푸집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양생기간을 경과한 후,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탈거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에 매설된 슬리브 내부로 배관을 삽입한 다음 별도의 고정수단인 지지체를 슬리브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관을 고정, 마무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리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상기 슬리브 내측을 통해 설치되는 배관이 슬리브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놓일 경우 이를 잡아주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요컨대, 상기 슬리브 내측을 통해 설치되는 배관이 상기 슬리브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편심된 위치에 놓인 경우,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서 편심된 상기 배관을 고정되게 잡아주는 고정수단인 지지체가 없어 상기 슬리브 내부에서 편심된 상기 배관을 편심되게 잡아주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브 상부에 설치되어 슬리브 내부를 통해 삽입되는 편심된 배관이 편심된 상태로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되게 잡아주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공 구조의 슬리브 내부를 통해 편심되게 삽입되는 배관을 슬리브의 내부에서 편심된 위치로 고정되게 잡아주는 클램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배관 고정장치에 의한 배관 고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 며, 도 3a 및 도 3b는 배관 고정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횡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배관 고정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조임너트 다른 실시형상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중공 구조의 슬리브(100) 내부를 통해 편심되게 삽입되는 배관(P)을 상기 슬리브(100)의 내부에서 편심된 위치로 고정되게 잡아주는 클램프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클램프수단은 2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각각 분할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00) 내측과 배관(P)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하부는 상기 슬리브(100) 내측 상부에 결합되게 삽입부(310)(510)를 형성하고, 상부는 하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기에서 설명되는 조임너트(200)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330a)(530a)을 갖는 체결부(330)(5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10)(510)와 체결부(330)(530)의 경계부분인 중간 외주면에는 상기 슬리브(100)의 상단부에 걸쳐지게 하여 상기 삽입부(310)(510)만 상기 슬리브(10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플랜지(350)(5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350)(550)를 경계로 형성된 상기 삽입부(310)(510)와 체결부(330)(530)는 상기 플랜지(350)(55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편심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100)의 회전방지홈(18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2 클램프부재(300)(500)가 상기 슬리브(100)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플랜지(350)(550) 저면과 상기 삽입부(310)(510) 외주면을 잇는 회전방지돌기(370)(57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10)(510) 외주면 상에 형성된 환형의 홈(310a)(510a)에 상기 슬리브(100)와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상호 마찰에 따른 소음과 밀폐를 위해 고정링(5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100) 상부면에는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플랜지(350)(550)의 상호 마찰에 따른 소음과 밀폐 및 상기 회전방지돌기(370)(570)에 간섭받지 않은 다수개의 간섭방지홈(60a)을 갖는 패킹(6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는 재료의 경감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의 빈 공간부(310b)(510b)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리브(100) 상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체결부(330)(530)를 조여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배관(P)에 밀착되게 조임너트(2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너트(200)의 외주면은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체결부(330)(530)를 조여 주거나, 풀어줄 때 미끌리지 않도록 거친 표면체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조임너트(200)의 전체 프로파일 단면형상을 다각형태로 해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작용설명은 다음과 같다.
건물 바닥면에 매설되어 고정된 상기 슬리브(100)에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100) 상부 내측에 서로 마주보게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삽입된다.(도 2a 및 도 4a 참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회전방지돌기(370)(570)는 상기 슬리브(100)의 회전방지홈(18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지만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도 3a 참조)
또한, 상기에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 내측으로 설치되는 배관(P)의 직경 보다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이루는 내측 직경이 큰 상태이므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에 간섭을 받지 않고 상기 배관(P)이 편심되게 설치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슬리브(100) 및 슬리브(100) 상부쪽에 삽입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편심된 배관(P)을 고정하게 된다.(도 2b 및 도 4b 참조)
즉, 상기 슬리브(100) 상부에 결합된 제1, 2클램프부재(300)(500)를 조여 상기 배관(P)이 편심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100)에 고정되게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체결부(330)(530)에 조임너트(200)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체결부(330)(530)에 상기 조임너트(200)를 체결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로 이격되었던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는 도 2b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심된 상기 배관(P)에 밀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부(330)(530)에 상기 조임너트(200)가 체결되면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 이격(ℓ) 거리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좁혀져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 직경을 상기 배관(P) 직경 보다 작게 만든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100)의 회전방지홈(180)에 삽입된 상기 회전방지돌기(370)(570)가 가이드되면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상기 슬리브(100) 중심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350)(550)를 중심으로 편심된 상기 삽입부(310)(510)와 체결부(330)(530)의 내주면이 편심된 상기 배관(P)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상기 배관(P)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고정된 상기 배관(P)을 잡아주고 있는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외주면과 상기 슬리브 내측면 사이에 도 2b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갭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력이 편심된 상기 배관(P)에 발생되면, 상기 배관(P)을 편심되게 잡고 있던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외력으로 인해 어느 한 쪽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슬리브(100)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310)(510)의 환형의 홈(310a)(510a)에 결합된 상기 고정링(50)이 상기 슬리브(100) 내측면과 상기 삽입부(310)(510) 외주면 사이에 생긴 틈을 밀폐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재(300)(50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환형의 빈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재료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고정된 상기 배관(P)을 탈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임너트(200)를 체결력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풀어주면 상기 조임너트(200)는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체결부(330)(530)로부터 탈거된다.
이로 인해, 편심된 상기 배관(P)에 밀착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밀착력이 해제되어 상기 배관(P)은 상기 슬리브(100) 내측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너트(200)를 도 5에 나타낸 조임너트(200)로 교체할 경우 전용의 공구(예:몽키 스패너, 파이프 렌치 등)를 이용 더욱 쉽게 풀어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는 본 고안의 클램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배관 고정장치에 의한 배관 고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배관 고정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횡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배관 고정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 중 삽입부(310)(510) 전체프로파일 단면 형상을 다각형태로 하고, 상기 슬리브(100) 상부 내주면 또한 상 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삽입부(310)(510)에 형합되는 다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리브(100) 내측 상부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를 삽입하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310)(510)의 외주면과 상기 슬리브(100)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형합된다.
한편,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의 체결부(330)(530)에 상기 조임너트(200)를 체결하여 조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330)(530)(도1 내지 도4 참조)에 상기 조임너트(200)를 체결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슬리브(100) 내주면과 상기 체결부(330)(530) 외주면이 다각형상이어서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회전되지 않는다.
대신,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는 상기 슬리브(100) 내주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리브(100) 중심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350)(550)를 중심으로 편심된 상기 삽입부(310)(510)와 체결부(330)(530)의 내주면이 편심된 상기 배관(P)에 밀착되어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상기 배관(P)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고정된 상기 배관(P)을 탈거하고자 할 경우, 조임력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조임너트(200)를 풀어주면 된다.
한편, 이하 에서는 본 고안의 슬리브 상, 하부에 중심을 벗어난 위치로 제1, 2클램프부재가 결합되는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100) 상부에 삽입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에 상기 조임너트(200)를 체결하여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고정된 상기 배관(P)의 고정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슬리브(100) 하부 내측면과 상기 배관(100)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조임너트(200)를 체결하여 편심된 상기 배관(P)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슬리브(100)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편심되게 고정된 상기 배관(P)을 상기 슬리브(100) 상, 하부에서 상기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편심되게 고정하고 있으므로 편심된 상기 배관(P)의 고정력은 더욱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슬리브(100) 상부에 제1, 2클램프부재(300)(500)가 분할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100) 내부를 통해 편심되게 삽입되는 배관(P)을 편심되게 잡아줌으로 상기 슬리브(100)의 편심쪽에 배관(P)을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중공 구조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내부를 통해 편심되게 삽입되는 배관을 슬리브의 내부에서 편심된 위치로 고정되게 잡아주는 클램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은
    적어도 2개 이상이 한조를 이루도록 각각 분할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내측과 배관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며,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재를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부재의 상단부를 조임으로써 상기 클램프부재들의 내주면이 클램프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배관에 밀착되게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의 외주면 상에는 상호 마찰에 따른 소음과 밀폐를 위해 고 정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는 재료의 경감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의 빈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는
    상기 클램프부재의 상단부로부터 미끌리지 않은 상태에서, 조여 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조임너트의 외주면에 거친 표면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클램프부재의 전체 프로파일 단면형상이 다각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KR2020060028378U 2006-10-24 2006-10-24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KR200438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378U KR200438800Y1 (ko) 2006-10-24 2006-10-24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378U KR200438800Y1 (ko) 2006-10-24 2006-10-24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800Y1 true KR200438800Y1 (ko) 2008-03-06

Family

ID=4162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378U KR200438800Y1 (ko) 2006-10-24 2006-10-24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8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58Y1 (ko) 2011-06-15 2013-07-26 지종연 거푸집 인상용 유압장치
KR102123188B1 (ko) * 2019-11-12 2020-06-15 (주)워터풀 원터치 쐐기형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58Y1 (ko) 2011-06-15 2013-07-26 지종연 거푸집 인상용 유압장치
KR102123188B1 (ko) * 2019-11-12 2020-06-15 (주)워터풀 원터치 쐐기형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3601C1 (ru) Анкерная система опалубки для бетонной стены
KR101828502B1 (ko) 그루브 조인트 어댑터
US20150233506A1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EP2696124B1 (en) System for embedding a sealable conduit for ducting a tube or cable in a wall or floor which is to be produced by a casting process and method for embedding such a conduit
KR101076084B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EA02942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оправки на трубчатом элементе
KR200438800Y1 (ko) 건축물의 배관 고정장치
KR200441371Y1 (ko)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100777788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JP2015178850A (ja)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RU2436903C2 (ru) Система монтажа и регулировки крана по высоте
KR100748678B1 (ko)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19382B1 (ko)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KR20180016865A (ko)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JP2008115911A (ja) 管継手におけるパッキング締め付け装置
KR200486267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20170002262A (ko) 고정안정성 증대용 결합면을 갖는 고정구 세트
JP5674335B2 (ja) 支持手段
KR100943942B1 (ko) 밀봉소켓 조립체
KR101638312B1 (ko) 관이음용 어댑터
JPH09203093A (ja) 配管継手構造
KR20030084381A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