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669Y1 -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 Google Patents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669Y1
KR200438669Y1 KR2020070019233U KR20070019233U KR200438669Y1 KR 200438669 Y1 KR200438669 Y1 KR 200438669Y1 KR 2020070019233 U KR2020070019233 U KR 2020070019233U KR 20070019233 U KR20070019233 U KR 20070019233U KR 200438669 Y1 KR200438669 Y1 KR 200438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thigh member
spherical
dol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충호
Original Assignee
조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충호 filed Critical 조충호
Priority to KR2020070019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6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체관절인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체관절인형의 경우 허벅지부재의 피수용체에는 탄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한 절곡 동작을 연출함에 있어 절개부가 장방형으로 전방을 향하는 일정범위 내로 제한되어 폭 넓은 절곡동작을 위한 각도조절이 쉽지 않았으며, 특히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으로의 절곡동작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회전 방향 및 각도만으로 절곡동작을 연출하여야 하므로 구체관절인형의 절곡동작이 한정된 범위 내에서 밖에 연출할 수 없어, 사용자들이 구체관절인형의 폭 넓은 절곡동작을 통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동작을 연출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으므로,
본 고안은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하여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으로 수평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도록 하여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의 절곡은 물론,
허벅지부재의 피수용체가 골반부재의 수용부를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범위를 가지고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구체관절인형이 직립한 상태에서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그대로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구성을 살펴보면,
인체의 동작과 유사하게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관절부위마다 구형 피수용체와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내부를 통과하는 텐션와이어에 의하여 각 관절부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체관절인형에 있어서,
수용부가 구비된 골반부재; 및 상기 골반부재의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피수용체를 갖는 허벅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상기 허벅지부재가 상기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텐션와이어, 골반부재, 허벅지부재, 피수용체, 절개부, 무릎부재, 종아리부재, 요철부, 삽입홈, 결합돌기

Description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BALL JOINT DOLL}
본 고안은 구체관절인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체관절인형의 경우 허벅지부재의 피수용체에는 탄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한 절곡동작을 연출함에 있어 절개부가 장방형으로 전방을 향하는 일정범위 내로 제한되어 폭 넓은 절곡동작을 위한 각도조절이 쉽지 않았으며,
특히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으로의 절곡동작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회전 방향 및 각도만으로 절곡 동작을 연출하여야 하므로 구체관절인형의 절곡동작이 한정된 범위 내에서 밖에 연출할 수 없어, 사용자들이 구체관절인형의 폭 넓은 절곡동작을 통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동작을 연출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으므로,
본 고안은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하여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으로 수평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도록 하여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의 절곡은 물론,
허벅지부재의 피수용체가 골반부재의 수용부를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범위 를 가지고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구체관절인형이 직립한 상태에서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그대로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체관절인형은 주로 개인의 취미를 위한 소장용 또는 인체의 모형을 구현하기 위한 전시용도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체관절인형은 1930년 독일의 초현실주의 미술가 한스벨머에 의해 구체로 관절인형을 만들어 인체를 표현한 것이 구체관절인형의 시초이며, 그 이후 일본의 인형작가들에 의해 현대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구체관절인형의 가장 큰 특징은 관절 부분을 둥글게 만들고, 이를 분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인체의 각 관절부위를 만들어 이 부위들을 서로 결합하면 하나의 인형이 완성되며, 종류에 따라 손가락 마디마디까지 구체관절로 연결되는 정교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그 제조방법으로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사출성형방식과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성형하면서 내부에 포즈고정용 철사나 연결링크 등을 매입하여 만드는 방식인 슬러시성형(SLUSH MOLDING)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체관절인형에 대한 국내동향은 90년대 말 해외업체에 의해 대중화되면서 매니아층이 형성되고 이들을 중심으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에 부응하여 2002~2003년에 이르러 구체관절인형을 제작하는 국내업체가 생기게 되었고, 현재에는 다수의 업체가 상호 경쟁에 있다.
그리고 현재 구체관절인형에 대한 관심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동호회 및 각 인형 타입별, 지역별, 연령별로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상호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온라인을 벗어나 소수의 인형매니아층은 상호 교류를 위해 오프라인 모임을 결성하여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교류를 통한 구체관절인형에 대한 관심이 수집을 위해 구입하여 단순히 놀고 즐기던 개념을 탈피하여 현재는 아이 내지 애완용 동물같은 존재로 키워지고 있고, 또 이러한 관심은 메이크업, 의상, 안구, 가발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다는 매력을 소유자 혼자 즐기기보다 직접 연출한 구체관절인형의 다양한 맵씨를 상기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상의 커뮤니티 등을 통해 자신이 연출한 인형을 소개하고 평가를 묻고 이에 평을 해주는 등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구체관절인형은 인체에 가까운 보다 정교한 모양을 조건으로 하고, 더 나아가 인체의 움직임과 유사한 동작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구체관절인형의 각 부분 즉, 머리, 허리, 골반, 팔, 팔금치, 손목, 무릎, 발목 등을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 되어 왔다.
이에 종래의 구체관절인형에 관한 출원인 이민수에 의한 공개특허 제0065834호(2004.07.23. 공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와,
실용신안권자 조일형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제0333709호(2003.11.07. 등록) "구체 관절 인형" 등 다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상기 공개특허 및 등록실용신안 등의 경우 구체관절인형을 여러 관절부분으로 분리 형성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각 관절의 구체(본 고안의 피수용체)가 각 수용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각 관절의 구체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텐션와이어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모든 관절부분이 텐션와이어의 탄성력을 통해 결합을 유지하며 접거나 구부리고 또는 펼칠 수 있는 가동성 즉 절곡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 및 등록실용신안 등의 경우 절개부가 장방형으로 전방을 향하는 일정범위 내로 제한되어 폭 넓은 절곡동작을 위한 각도조절이 쉽지 않았으며, 특히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으로의 절곡동작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회전 방향 및 각도만으로 절곡 동작을 연출하여야 하므로 구체관절인형의 절곡동작이 한정된 범위 내에서 밖에 연출할 수 없어, 사용자들이 구체관절인형의 폭 넓은 절곡동작을 통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동작을 연출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 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구체관절인형의 경우 허벅지부재의 피수용체에는 탄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한 절곡동작을 연출함에 있어 절개부가 장방형으로 전방을 향하는 일정범위 내로 제한되어 폭 넓은 절곡 동작을 위한 각도조절이 쉽지 않았으며,
특히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으로의 절곡동작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회전 방향 및 각도만으로 절곡 동작을 연출하여야 하므로 구체관절인형의 절곡 동작이 한정된 범위 내에서 밖에 연출할 수 없어, 사용자들이 구체관절인형의 폭 넓은 절곡동작을 통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동작을 연출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하여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도록 하여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의 절곡은 물론,
허벅지부재의 피수용체가 골반부재의 수용부를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범위를 가지고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구체관절인형이 직립한 상태에서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그대로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무릎부재가 허벅부재 및 종아리부재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종아리부재의 후방 젖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인체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연출할 수 있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며 이를 위해 골반부재에 구비된 자석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꼬리가 더 구비되며, 더 나아가 꼬리는 회전변위가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동물 형상을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들로부터 재미와 기호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구체관절인형의 하체 움직임을 보다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유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제1 부재의 피수용체 하부에 구비된 방사상형태의 요철부와 이에 맞물리는 대응 요철부를 갖는 제2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구체관절인형의 하체의 움직임을 보다 자연스럽게 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고,
특히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되는 것을 더욱 보강하게 되고, 서로 대응하는 요철부가 맞물리게 되어 연출된 형상이 틀어지거나 유동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골반부재의 수용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허벅지부재에 형성되어 허벅지부재의 절곡 위치를 보강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의 움직임을 연출하기 위해 허벅지부재를 굽힐 때 삽입홈에 결합돌기가 안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체의 동작과 유사하게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관절부위마다 구형 피수용체와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내부를 통과하는 텐션와이어에 의하여 각 관절부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체관절인형에 있어서,
수용부가 구비된 골반부재; 및 상기 골반부재의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피수용체를 갖는 허벅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상기 허벅지부재가 상기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전방에서 측방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허벅지부재 하부에는 무릎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무릎부재에는 종아리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종아리부재의 후방 젖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골반부재는 자석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꼬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허벅지부재는 상기 피수용체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종아리부재와 연결된 제2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호 맞물리는 방사상 형태의 요철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골반부재 수용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허 벅지부재의 피수용체에는 대응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허벅지부재의 절곡 위치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과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허벅지부재를 굽혔을 때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인 허벅지부재의 절곡동작이 자유로운 구체관절인형에 의하여
우선 본 고안은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하여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도록 하여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의 절곡은 물론,
허벅지부재의 피수용체가 골반부재의 수용부를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범위를 가지고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구체관절인형이 직립한 상태에서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그대로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어 구체관절인형의 절곡동작을 위한 절곡각도를 더욱 확대하여 다양한 절곡동작을 연출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무릎부재가 허벅부재 및 종아리부재와 물리적으로 분리 되어 있어 종아리부재의 후방 젖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인체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며 이를 위해 골반부재에 구비된 자석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꼬리가 더 구비되며, 더 나아가 꼬리는 회전변위가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동물 형상을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들로부터 재미와 기호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본 고안은 구체관절인형의 하체 움직임을 보다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유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제1 부재의 피수용체 하부에 구비된 방사상형태의 요철부와 이에 맞물리는 대응 요철부를 갖는 제2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구체관절인형의 하체의 움직임을 보다 자연스럽게 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고,
특히 허벅지부재가 골반부재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되는 것을 더욱 보강하게 되고, 서로 대응하는 요철부가 맞물리게 되어 연출된 형상이 틀어지거나 유동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골반부재의 수용부에 형성된 삽입홈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허벅지부재에 형성되어 허벅지부재의 절곡 위치를 보강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의 움직임을 연출하기 위해 허벅지부재를 굽힐 때 삽입홈에 결합돌 기가 안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인형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부가 전방에서 측방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벅지부재, 무릎부재 및 종아리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종아리부재의 후방 젖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골반부재와 꼬리의 탈부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허벅지부재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형성된 요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부재 수용부의 삽입홈과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결합돌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그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체의 동작과 유사하게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관절부위마다 구형 피수용체와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내부를 통과하는 텐션와이어(7)에 의하여 각 관절부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체관절인형(A)에 있어서,
수용부(10a)가 구비된 골반부재(10); 및 상기 골반부재(10)의 수용부(10a)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7)가 삽입되는 절개부(24)가 형성된 피수용체(22)를 갖는 허벅지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허벅지부재(20)가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구체관절인형'이라 함은 인체의 모형이나 의인화된(또는 소위 캐릭터화된) 동물의 모형, 관절로 연결된 동물의 모형, 그리고 신화나 전설, 판타지소설, 또는 기타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생물이나 신을 형성화한 모형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상기 허벅지부재가 상기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함은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직립된 구체관절인형에서 중력방향과 직교하는 형태로 정확하게 절곡되는 정도의 엄밀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10 ~ 15도 정도의 오차를 허용하는 것이며,
특히 무릎을 꿇고 앉되 양발이 외측을 향하는 자세처럼 여아들이 주로 앉는 자세를 구체관절이 취할 수 있는 정도의 절곡각도를 의미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구체관절인형(A)의 대략적인 구성 및 각 구성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구체관절인형(A)는 인체의 동작과 유사하게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몸통(1), 머리, 팔 부분(5), 다리 부분(6)의 관절부위마다 구형 피수용체와 수용부를 구비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텐션와이어(7)의 탄성력에 의하여 각 관절부가 연결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이는 상기 몸통(1)의 상반을 이루는 가슴부재(2)가 상기 머리가 연결되는 목 부분(3)과, 상기 팔 부분(5)이 연결되는 어깨 부분(4)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몸통의 하반을 이루는 골반부재(10)는 상기 가슴부재(2)의 하부에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에서, 상기 골반부재(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반부재(10) 상부에는 상기 가슴부재(2)가 연결되고, 상기 골반부재(10) 하부에는 대략 전방을 향해 홈 형상으로 형성된 두개의 수용부(10a)가 형성되며,
상기 골반부재(10)의 각 수용부(10a)에는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가 각각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상기 골반부재(10)의 각 수용부(10a) 대응하는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0a)를 설명함에 있어 좌측 및 우측의 형상 및 동작이 동일하고 대칭되므로 좌측 및 우측을 구별하지 않고 어느 일측에 대하여만 설명하되 동일한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에서, 상기 허벅지부재(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반부재(10)의 각 수용부(10a)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7)가 삽입되는 절개부(24)가 형성된 피수용체(22)를 가지되,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는 대략 반원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골반부재(10)의 각 수용부(10a)에 결합되며,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 상부 일지점에서 형성되어 상기 허벅지부재(20)가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의 연속된 형성범위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형태 즉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 상부 일지점에서 양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피수용체(22) 하부 일지점에서 대편에 위치한 지점까지 즉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반원구형상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략 반으로 등분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에 의하여 상기 허벅지부재(20)가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의 절곡은 물론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가 상기 골반부재(10) 수용부(10a)를 대략 180도 정도의 회전범위를 가지고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허벅지부재(20)가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허벅지부재(20)의 절곡 각도조절 폭을 확대하여 보다 안정되고 자연스러운 절곡동작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는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24)의 일지점에서 전방에서 측방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측방향 절개부(24)는 상기 허벅지부 재(20) 피수용체(22)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즉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전방 절개부(24)와 상기 측방 절개부(24)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허벅지부재(20)가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측방향 절개부(24)에 의하여 상기 허벅지부재(20)가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의 절곡은 물론
상기 구체관절인형(A)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허벅지부재(20)가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그대로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허벅지부재(20)의 절곡 각도조절 폭을 확대하여 보다 안정되고 자연스러운 절곡동작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에서, 상기 허벅지부재(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벅지부재(20)의 하부에는 무릎부재(40)가 연결되고,
상기 무릎부재(40)에는 종아리부재(50)가 연결되어,
상기 종아리부재(50)의 후방 젖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허벅지부재(20) 하부에는 상기 무릎부재(40)와 연결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종아리부재(50) 상부에도 역시 상기 무릎부재(40)와 연결되는 수용부를 갖고,
상기 무릎부재(40)는 상기 허벅지부재(20) 및 상기 종아리부재(5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또 상기 허벅지부재(20) 및 상기 종아리부재(50)의 각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종아리부재(50)의 후방 젖혀지는 동작이 가능해져 상기 구체관절인형(A)의 절곡동작을 다양하고도 균형 잡힌 동작으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에서, 상기 꼬리(30)는
상기 구체관절인형(A)의 보다 다양한 표현 방식의 구현을 위해 사람의 인체뿐만 아니라 동물의 형상 등으로의 변형 시 이를 보다 실질적인 형상에 근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반부재(10) 후방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꼬리(30) 단부에도 대응하는 자석이 구비됨으로써, 탈부착 및 상기 꼬리(30)의 회전변위가 가능하여 다양한 동작의 연출과 재미를 더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에서, 상기 허벅지부재(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수용체(22)를 갖는 제1 부재(20a)와, 상기 제1 부재(20a) 및 종아리부재(50)와 연결되는 제2 부재(2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부재(20a)의 피수용체(22) 하부에는 원판형상의 돌출부(2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7) 하면부에는 방사상형태의 다수의 요철부(29)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20b)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부재(20)의 피수용체(22) 하부에 형성된 원판형상의 상기 돌출부(27)에 대응하는 함몰부(28)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8) 내측 저면에는 상기 제1 부재(20a)의 피수용체(22) 하부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29)에 맞물리는 대응 요철부(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20a)의 피수용체(22) 하부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29)와, 상기 제2 부재(20b)의 요철부(29)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축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각 대응하는 요철부(29)가 맞물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텐션와이어(7)의 탄성력과 상호 맞물리는 상기 제1 부재(20a)의 피수용체(22) 및 상기 제2 부재(20b)의 각 요철부(29)에 의하여 한 번 연출된 포즈가 틀어지거나 변경되지 않고 확실하게 유지되며,
상기 구체관절인형(A)에 의상 등을 입히거나 의상 등을 착용 후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포즈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인체에 대응하는 즉 유사한 동작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20a)의 피수용체(22) 및 상기 제2 부재(20b)의 각 요철부(29)가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절개부(24)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수용체(20)가 상기 골반부재(10)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되는 경우에는
상기 요철부(29)가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특히 측방으로의 절곡동작시 어느 방향으로의 회전에 상관없이 상기 허벅지부재(20)를 올바른 방향으로 바로 잡을 수 있게 되어 측방으로의 절곡동작을 더욱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에서, 상기 허벅지부재(20)의 절곡 위치의 보강을 위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반부재(10)의 수용부(10a)에는 삽입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허벅지부재(20)의 피수용체(22)에는 대응 결합돌기(2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허벅지부재(20)의 절곡 위치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되되,
상기 골반부재(10) 수용부(10a)의 삽입홈(12)은 상기 골반부재(10)에 홈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수용부(10a)의 내측면 후방에 다수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에 대응하여 상기 허벅지부재(20)의 피수용체(22)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돌기(25)는 상기 허벅지부재(20)에 반원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피수 용체(22)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허벅지부재(20)의 절곡운동시 텐션와이어(7)가 안내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움직움을 갖게 하는 장방형의 중공부(8)를 사이에 두고 상기 허벅지부재(20) 피수용체(22)의 상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홈(12)과 상기 결합돌기(25)는 상기 허벅지부재(20)를 굽혔을 때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2)과 상기 결합돌기(25)가 상기 허벅지부재(20)를 굽혔을 때 상호 결합되어 상기 구체관절인형(A)의 절곡운동시 텐션와이어(7)의 탄성력에 의한 형상 유지뿐 아니라
상기 허벅지부재(20)를 굽혔을 때 상기 삽입홈(12)에 상기 결합돌기(25)가 안착되어 절곡된 형상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구체관절인형(A)의 하체의 움직임을 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유사성을 갖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인형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부가 전방에서 측방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벅지부재, 무릎부재 및 종아리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종아리부재의 후방 젖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부재와 꼬리의 탈부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허벅지부재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형성된 요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골반부재 수용부의 삽입홈과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결합돌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그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몸체 2 : 가슴부재
3 : 목 부분 4 : 어깨 부분
5 : 팔 부분 6 : 다리 부분
7 : 텐션와이어 8 : 중공부
10 : 골반부재 10a : 수용부
12 : 삽입홈 20 : 허벅지부재
20a : 제1 부재 20b : 제2 부재
22 : 피수용체 24 : 절개부
25 : 결합돌기 27 : 돌출부
28 : 함몰부 29 : 요철부
30 : 꼬리 32 : 자석
40 : 무릎부재 50 : 종아리부재
A : 구체관절인형

Claims (9)

  1. 인체의 동작과 유사하게 절곡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관절부위마다 구형 피수용체와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내부를 통과하는 텐션와이어에 의하여 각 관절부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체관절인형에 있어서,
    수용부가 구비된 골반부재; 및
    상기 골반부재의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와이어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피수용체를 갖는 허벅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상기 허벅지부재가 상기 골반부재에 대하여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될 수 있는 연속된 형성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부재에서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부재에서
    상기 허벅지부재 피수용체의 절개부는 전방에서 측방으로 90도 각도를 이루 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부재 하부에는 무릎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무릎부재에는 종아리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종아리부재의 후방 젖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부재는 자석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꼬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부재는
    상기 피수용체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종아리부재와 연결된 제2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호 맞물리는 방사상 형태의 요철부를 갖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부재 수용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허벅지부재의 피수용체에는 대응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허벅지부재의 절곡 위치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허벅지부재를 굽혔을 때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KR2020070019233U 2007-11-30 2007-11-30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KR200438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33U KR200438669Y1 (ko) 2007-11-30 2007-11-30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33U KR200438669Y1 (ko) 2007-11-30 2007-11-30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669Y1 true KR200438669Y1 (ko) 2008-02-29

Family

ID=4162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233U KR200438669Y1 (ko) 2007-11-30 2007-11-30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6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53B1 (ko) 2008-05-14 2009-02-23 조충호 허벅지부재의 상방향 동작을 자유롭게 하는 고관절부재가구비된 구체관절인형
KR200460821Y1 (ko) * 2011-11-15 2012-06-13 이인철 구체 관절 인형
CH715817A1 (de) * 2019-02-05 2020-08-14 Straintec Ag Gelenk und Spielgerät mit mindestens einem solchen Gelen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53B1 (ko) 2008-05-14 2009-02-23 조충호 허벅지부재의 상방향 동작을 자유롭게 하는 고관절부재가구비된 구체관절인형
KR200460821Y1 (ko) * 2011-11-15 2012-06-13 이인철 구체 관절 인형
CH715817A1 (de) * 2019-02-05 2020-08-14 Straintec Ag Gelenk und Spielgerät mit mindestens einem solchen Gele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6917C (en) Reversible toy
KR101834085B1 (ko) 인형체의 관절 구조
JP3008383B2 (ja) 連続的外皮を有する姿勢づけ可能形像
US6494763B1 (en) Life-like doll
KR101339585B1 (ko) 구체 관절 인형
US20110097969A1 (en) Pectoral shoulder joint toy figure
JP6774540B1 (ja) 関節構造及び人形体
JP6303051B1 (ja) 人形玩具
CN108290073A (zh) 人形玩具
KR200438669Y1 (ko) 각도조절 폭이 확대된 허벅지부재를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US3952449A (en) Articulated figure toy
JP2019005542A (ja) 人形玩具
KR100992530B1 (ko) 구체 관절 및 이를 이용한 구체 관절 인형
KR200437519Y1 (ko) 허벅지부재 관절 동작상태 고정수단을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JP5221790B2 (ja) 人体模型の腕部構造
KR100890263B1 (ko) 구체관절인형
KR200438421Y1 (ko) 구체 관절 인형용 관절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체 관절인형
JP6692318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EP1200164B1 (en) Doll having realistic twisting midriff
KR200460821Y1 (ko) 구체 관절 인형
CN214019174U (zh) 关节可动的人体娃娃
KR20120020727A (ko) 구체관절이 형성된 인형
JP2021023830A (ja) 関節構造及び人形体
KR100884653B1 (ko) 허벅지부재의 상방향 동작을 자유롭게 하는 고관절부재가구비된 구체관절인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103

Effective date: 2011042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1215

Effective date: 201105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