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73Y1 -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73Y1
KR200438573Y1 KR2020070000316U KR20070000316U KR200438573Y1 KR 200438573 Y1 KR200438573 Y1 KR 200438573Y1 KR 2020070000316 U KR2020070000316 U KR 2020070000316U KR 20070000316 U KR20070000316 U KR 20070000316U KR 200438573 Y1 KR200438573 Y1 KR 200438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isplay shelf
back panel
display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콤
Priority to KR2020070000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진열선반에 의해 분리된 상품 진열 공간을 선택적으로 냉장과 온장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백판넬 어셈블리를 조립 유동성을 가진 구조로 구성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상품을 원하는 위치에 진열할 수 있도록 하며, 덕트 차단판을 선반에 구성하여 제품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복수개의 진열선반과, 상기 진열선반 후방에 설치되는 백판넬 어셈블리와, 상기 백판넬 어셈블리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냉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단열벽체와, 상기 냉기 유동로를 통해 진열선반의 진열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를 발생 및 공급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에 진열선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및 후퇴에 따라 냉기 유동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차단판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측에 설치되며 진열선반과 더불어 냉기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가 제공된다.
냉장, 온장, 개방형, 쇼케이스, 차단판, 백판넬, 조립 유동성

Description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Open-type cooling/heating show ca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쇼케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쇼케이스의 진열 공간의 냉온장 변화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2a는 쇼케이스 전체를 냉장용 또는 온장용으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b는 쇼케이스의 1단을 온장용으로 2,3,4단을 냉장용으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c는 쇼케이스의 1,2단을 온장용으로 3,4단을 냉장용으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d는 쇼케이스의 1,2,3단을 온장용으로 4단을 냉장용으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인 "A"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차단막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덕트커버의 평면도
도 6의 (가) 내지 (마)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쇼케이스의 백판넬 어셈블리의 판넬간 조립 위치 조합에 따른 진열 공간의 변화를 보여주는 작용 참고도로서,
(가)는 기본 진열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나) 내지 (마)는 진열 공간의 여러 가지 변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의 (ㄱ) 내지 (ㄹ)은 도 6의 외측 백판넬 및 내측 백판넬 나타낸 정면도
도 8의 (a) 내지 (c)는 도 1의 진열선반의 다른 실시예인 슬라이딩선반의 설치 각도 변화예와 상기 슬라이딩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와 후방으로 들어간 상태를 동시에 나타낸 참조도면
도 9는 슬라이딩 선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캐비닛 2:히터
3, 3a:진열선반 4:백판넬 어셈블리
41:외측 백판넬 410a:체결공
410b:고정공 42:내측 백판넬
420a:체결공 5:냉기 유동로
6:단열벽체 7:차단판
8:냉기통로 9:덕트커버
900:통공 910:안내장공
본 고안은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싸이클을 가지며, 선반에 의해 분리된 상품 진열 공간을 선택적으로 냉장과 온장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백판넬 어셈블리를 조립 유동성을 가진 구조로 구성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상품을 원하는 위치에 진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방형 쇼케이스는 편의점이나 백화점 등지에 설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내부에 다양한 상품을 수납하여 이를 냉각된 저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신선하게 냉장보관하는 한편 수납된 상품의 전시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개방형 쇼케이스는 개방된 전면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냉각공기를 토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시킨다. 이는 상품이 진열된 수납실로부터 냉기의 이탈을 막고 아울러 미세 불순물을 포함한 상온의 외기가 침입하는 것을 봉쇄하기 위함이다. 즉, 에어커튼은 위에서 아래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고 흡입구를 아래쪽에 설치하여 공기유막을 만들어 바깥쪽과 안쪽을 차단하는 설비이다. 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정한 공기의 분류(噴流)에 의해 다른 공기의 흐름을 차단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냉장 상품만이 진열되는 것이 아니라 온장 상품도 같이 진열될 필요성이 있어, 냉장 및 온장을 겸하는 개방형 쇼케이스도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냉장 및 온장을 겸하도록 하기 위해 선반에 히터를 내장하고 냉기가 유동하는 덕트의 관로 내부에 차단막을 구성하여 냉장 및 온장을 겸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냉장 및 온장을 겸하는 개방형 쇼케이스의 구조예는 한국등록실용 20-0395162호, 한국등록실용 20-0408115호, 한국등록실용 20-0422037호, 한국등록실용 20-0422038호, 한국등록실용 20-0422039호 등의 종래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어 이를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문헌들에 기재된 기존의 냉장 및 온장을 겸하는 개방형 쇼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한계 및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문헌들에 기재된 기존의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는 진열 공간을 냉장 공간과 온장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는 하나, 구조적으로 덕트 차단막이 제품의 덕트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 선반이 항상 같은 위치에 고정될 수밖에 없고, 또한 전체 냉장용으로 사용시 덕트 차단막이 제품의 덕트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 덕트 차단막이 개방이 되긴 하나 구조적으로 냉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에어커튼 형성이 불량해지고, 선반 간 온도편차가 심해지는 등의 제품의 성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선반에 진열되는 냉장 상품 및 온장 상품의 판매 비율이 계절별·지역별로 다름에도 동일한 진열 공간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다.
즉, 냉장 상품과 온장 상품의 판매 비율 및, 이들 상품의 사이즈, 수량등 이 계절별, 지역별로 다름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진열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더라도, 기존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진열선반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변경시킬 수 없어 다양한 높이의 상품을 원하는 위치에 진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언컨대, 큰 사이즈(즉, 높이)의 제품을 진열할 경우, 진열선반 사이의 간격을 넓히고 작은 사이즈의 제품을 진열할 경우에는 진열선반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등 제품 사이즈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함에도 그렇지 못하여 불편함을 겪게 되며 진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문헌에 기재된 기존의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는 제품의 기능상, 특히 여름철 같은 경우에는 제품의 선반 전체를 냉장용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의 구조적인 문제(즉, 덕트 차단막이 개방이 되긴 하나 실질적으로 완전한 개방이 되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냉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에어커튼의 형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며, 선반 상·하간의 과도한 온도편차 등이 발생되어 제품이 온전한 성능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품 진열 공간을 선택적으로 냉장과 온장 공간으로 분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냉장 및 온장 제품의 계절별, 지역별 판매량에 대응하여 진열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백판넬 어셈블리를 조립 유동성을 가진 구조로 구성하여 진열 공간의 사이즈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상품을 원하는 위치에 진열할 수 있도록 하여 진열 공간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덕트 차단판을 선반에 구성하여 제품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냉장·온장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를 제 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복수개의 진열선반과, 상기 진열선반 후방에 설치되는 백판넬 어셈블리와, 상기 백판넬 어셈블리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냉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단열벽체와, 상기 냉기 유동로를 통해 진열선반의 진열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를 발생 및 공급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에 진열선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및 후퇴에 따라 냉기 유동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차단판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측에 설치되며 진열선반과 더불어 냉기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쇼케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쇼케이스의 진열 공간의 변화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인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단막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덕트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백판넬 어셈블리의 구조가 간략화되어 있으며, 그 구 체적 구조는 도 6 및 도 7 및 그에 따른 설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1)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히터(2)가 내장되는 복수개의 진열선반(3)과, 상기 진열선반(3) 후방에 설치되는 백판넬 어셈블리(4)와, 상기 백판넬 어셈블리(4)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냉기 유동로(5)를 형성하는 단열벽체(6)와, 상기 냉기 유동로(5)를 통해 진열선반(3)의 진열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를 발생 및 공급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냉기 유동로(5)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진열선반(3) 하부에 상기 진열선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및 후퇴(여기서, 전진은 진열선반(3) 전방쪽으로의 이동, 후퇴는 진열선반(3) 후방쪽으로의 이동으로 정의한다)에 따라 냉기 유동로(5)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차단판(7)과, 상기 진열선반(3)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7)의 후퇴시 진열선반(3)과 더불어 냉기를 냉기통로(8)를 형성하며 냉기를 진열선반(3) 전방으로 안내하는 덕트커버(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차단판(7)과 덕트커버(9)는, 진열선반(3)에 대하여 하부측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진열선반(3) 중 설치를 원하는 단(段)에만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9) 면상에는 냉기를 진열선반(3)의 상품 진열 공간으로 보내기 위해 적정 직경을 갖는 많은 수의 통공(900)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900)들은 매트릭스 타입으로 일정한 배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덕트커버(9)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덕트커버에 대한 차단판(7)의 결합 위치 조정을 위한 안내장공(910)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7)의 양측 가장자리 전방에는 덕트커버(9)에 대한 차단판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70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커버(9)의 안내장공(910)에는 차단판(7)을 덕트커버(9)에 고정시키기 위한 핸드스크류(12)등의 고정부재가 관통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열선반(3)은 단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열선반(3)에는 상기 진열선반(3) 상부공간을 온장 공간으로 만들어 주기 위한 히터(2)가 진열선반 상면에 가까운 위치에 내장된다.
상기에서 냉동사이클은 캐비닛(1)의 진열공간 하부에 구비되는 압축기(100)와 응축기(110) 및 응축기팬(120)과, 냉기 유동로(5)의 아래쪽 순환공기 입구측에 구비되는 증발기(130) 및 증발기 팬(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6의 (가) 내지 (마)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쇼케이스의 백판넬 어셈블리에 의한 진열 공간의 변화 작용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7의 (ㄱ) 내지 (ㄹ)은 도 6의 백판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외측백 판넬 및 내측 백판넬의 정면도로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백판넬 어셈블리(4)는, 판넬 면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 다수개의 체결공(410a)이 형성되는 외측 백판넬(41)들과, 상기 각 외측 백판넬(41)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외측 백판넬(41)과 마찬가지로 판넬 면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 다수개의 체결공(420a)이 형성되는 내측 백판넬(42)들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공들(410a)(420a)을 이용한 외측 백판넬(41)과 내측 백판넬(42)의 조립 위 치의 조합에 따라 진열선반(3)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외측 백판넬(41) 상에는, 태핑(tapping) 작업을 통해 복수개의 암나사가 형성된 상기 외측 백판넬 안쪽에 설치된 부재(미도시)에 대해 외측 백판넬(41)을 핸드스크류(12)등의 체결부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410b)이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의 백판넬 어셈블리(4)는, 외측 백판넬(41)과 내측 백판넬(42)의 조립위치의 조합에 따라 진열선반(3)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진열선반(3) 하부측에 위치하고 있던 차단판(7)이 상기 진열선반(3) 후방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단열벽체(6) 내면에 맞닿도록 이동함에 따라 냉기 유동로(5)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냉기 유동로(5)를 차단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함에 따라 냉기 유동로(5)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진열선반(3) 하부측에 설치되는 덕트커버(9)는, 차단판(7)의 냉기 유동로(5) 차단시 해당 진열선반(3) 하부면과 더불어 냉기통로(8)를 형성하게 되며, 차단판(7)에 막혀 냉기통로(8)로 유입된 냉기를 상품 진열 공간 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덕트커버(9) 및 차단판(7)이 쇼 케이스의 진열선반(3) 중 맨 하부측 선반을 제외한 모든 선반 하부에 각각 설치됨으로 인해, 쇼케이스의 진열 공간을 원하는 바에 따라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쇼케이스내의 진열선반들 중, 맨 상부측 진열선반을 1단 진열선반(3-1), 그 아래로 차례로 2단, 3단, 4단 진열선반(3-2)(3-3)(3-4)이라고 할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케이스의 진열 공간 전체를 냉장 또는 온장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1단 진열선반(3-1) 위의 상품 진열 공간만을 온장 공간으로 활용하고 그 이하의 상품 진열 공간을 냉장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2단 진열선반(3-2) 위의 상품 진열 공간을 온장공간으로 활용하고 그 이하의 상품 진열 공간을 냉장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3단 진열선반 (3-3)위의 상품 진열 공간을 온장 공간으로 활용하고, 그 밑의 마지막 진열 공간만을 냉장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 및 온장 공간을 반반씩 동일하게 설정할 경우, 전체 4단의 진열선반들(3) 중 2단의 진열선반(3-2)에 구비된 차단판(7)을 후퇴시켜 냉기 유동로(5)를 차단하여 상기 2단 진열선반(3-2) 상부측 및 하부측의 온도를 저온 및 고온으로 각기 다르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온도특성에 적합한 상품을 분리하여 최적의 상태로 진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장 공간은 해당 진열선반(3)에 내장된 히터(2)를 온(on) 시킴에 따라 형성됨은 물론이며, 냉장 및 온장 공간의 변화에 따른 냉기의 주된 흐름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화살표의 흐름을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는 냉장 및 온장 제품의 계절별, 지역별, 판매량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냉장 및 온장 제품의 진열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냉기 유동로(5)의 개방 위치 또는 차단 위치로 차단판(7)을 이동시킨 다음에는 차단판(7)의 유동을 막기 위해 차단판(7)을 덕트커버(9)에 고정시켜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차단판(7)의 양측 가장자리 전방에 형성된 체결공(700) 및 덕트커버(9)의 안내장공(910)을 관통하도록 핸드스크류(12)를 체결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선반(3)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상품을 원하는 위치에 진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백판넬 어셈블리(4)를 구성하는 외측 백판넬(41)과 내측 백판넬(42)간의 조립시, 조립 위치를 여러 가지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예컨대, 도 6의 (가)를 진열선반(3)의 기본 위치라 할 때, 도 6의 (나) 내지 (마)는 맨 위의 제1 외측 백판넬(41-1)과 맨 밑의 제4 외측 백판넬(41-4)을 그대로 둔 채, 제2 외측 백판넬(41-2) 또는 제3 외측 백판넬(41-3)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위치를 변경하거나, 상기 제1 외측 백판넬 내지 제4 외측 백판넬(41-1)(41-2)(41-3)(41-4)에 대한 제1 내측 백판넬 내지 제4 내측 백판넬(42-1)(42-2)(42-3)(4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립위치를 변경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여러 가지 조합에 의해 진열선반(3) 사이의 간격(즉, 높이)을 여러 가지 다양한 사이즈의 상품에 맞춰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서 확대된 부분은 외측 백판넬 및 내측 백판넬의 체결공 위치 및 이를 관통하는 핸드스크류의 체결 상태를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캐비닛(1) 양측에 설치된 수직프레임(15; 도 9참조) 상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 걸림홈(150; 도 9참조)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진열선반(3)은 상기 백패널 어셈블리의 조립위치의 변경 상태에 맞춰서 상기 수직프레임(15) 상의 걸림홈(150)들 중에서 알맞은 높이에 위치한 걸림홈을 선정하여 해당 걸림홈에 걸어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는 냉장 및 온장 제품의 계절별, 지역별, 판매량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냉장 및 온장 제품의 진열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냉장 및 온장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 및 온장 제품의 진열시 제품 사이즈를 고려하여 진열선반(3) 사이의 간격 변화를 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을 원하는 위치에 진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는 냉장 및 온장 제품의 계절별, 지역별, 판매량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냉장 및 온장 제품의 진열 공간을 원하는 대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냉장 및 온장 제품의 진열시 제품 사이즈를 고려하여 진열선반(3) 사이의 간격 변화를 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을 원하는 위치에 진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진열선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도 1의 진열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슬라이딩선반의 설치 각도 변화예와 상기 슬라이딩선반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와 후방으로 들어간 상태를 동시에 보여주는 참조도면이고, 도 9는 슬라이딩 선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의 진열선반(3a)은, 캐비닛(1)의 수직프레임(15) 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0)과, 상기 고정브라켓(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선반(31)과, 상기 슬라이딩선반(31)이 상기 고정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고정브라켓(30)의 내측면과 상기 슬라이딩선반(31)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슬라이딩선반(31)을 슬라이딩 가능케 하는 슬라이드레일로 구성된다. 도 8에 예시된 슬라이드레일은 가이드레일부(33)와 이동레일부(34)로 이루어진 2단 슬라이드레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3단 슬라이드레일 혹은 3단 더블 슬라이드레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기성품 형태로 제작 및 판매되는 구성품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선반(31)은 단열재질로서 그 내부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히터(도시는 생략함; 도 3 참조)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선반(31)은 상품을 진열선반에 진열할 때 슬라이 딩선반을 캐비닛 전방으로 하나씩 돌출시킨 후 적재할 수 있어, 상부측에 구비된 선반과의 간섭이 배제됨으로 작업이 더욱 편리해진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 및 수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진열선반을 몇 단(段)으로 구성하는가 하는 것은 선택사항이며, 외측 백판넬(41) 상에는 냉기의 균일분배를 통해 각 진열공간의 온도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세한 통공들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전술한 구성과는 달리 고정브라켓(30) 양측에 가이드레일(미도시)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선반(31) 양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타고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가동롤러(미도시)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외측 백판넬(41)과 내측 백판넬(42)의 각 면상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체결공(410a)(420a)이 형성되는 대신, 내측 백판넬(42)에 상하방향으로 장공(미도시)이나 "ㅌ" 형상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백판넬(41)에는 하나의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 백판넬(41)의 체결공 및 내측 백판넬(42)의 장공을 관통하는 핸드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 백판넬(41)과 내측 백판넬(42) 상호간의 체결 위치를 조절 및 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는 진열 공간을 선택적으로 냉장과 온장 공간으로 분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장 및 온장 제품의 계절별, 지역별 판매량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진열 공간의 변화를 기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은 백판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외측 백판넬 및 내측 백판넬을 조립 유동성을 가진 구조로 구성하여 진열 공간을 다양한 사이즈로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상품을 원하는 위치에 진열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진열 공간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차단판을 선반에 구성하여 전체 냉장선반 사용시 제품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Claims (5)

  1.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복수개의 진열선반과;
    상기 진열선반 후방에 설치되는 백판넬 어셈블리와;
    상기 백판넬 어셈블리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냉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단열벽체와;
    상기 냉기 유동로를 통해 진열선반의 진열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를 발생 및 공급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에 진열선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및 후퇴에 따라 냉기 유동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차단판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측에 설치되며 진열선반과 더불어 냉기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백판넬 어셈블리는, 판넬 면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외측 백판넬과, 상기 각 외측 백판넬에 결합되며 상기 외측 백판넬과 마찬가지로 판넬 면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내측 백판넬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 백판넬과 내측 백판넬의 조립위치의 조합에 따라 진열선반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2.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복수개의 진열선반과;
    상기 진열선반 후방에 설치되는 백판넬 어셈블리와;
    상기 백판넬 어셈블리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냉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단열벽체와;
    상기 냉기 유동로를 통해 진열선반의 진열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를 발생 및 공급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에 진열선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및 후퇴에 따라 냉기 유동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차단판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측에 설치되며 진열선반과 더불어 냉기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단판과 덕트커버는 각 진열선반에 대해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백판넬 어셈블리는, 판넬 면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외측 백판넬과, 상기 각 외측 백판넬에 결합되며 상기 외측 백판넬과 마찬가지로 판넬 면상의 서로 다른 높이에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내측 백판넬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 백판넬과 내측 백판넬의 조립위치의 조합에 따라 진열선반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3. 삭제
  4.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설치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복수개의 진열선반과;
    상기 진열선반 후방에 설치되는 백판넬 어셈블리와;
    상기 백판넬 어셈블리 후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냉기 유동로를 형성하는 단열벽체와;
    상기 냉기 유동로를 통해 진열선반의 진열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를 발생 및 공급하는 냉동사이클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에 진열선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및 후퇴에 따라 냉기 유동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는 차단판과;
    상기 진열선반 하부측에 설치되며 진열선반과 더불어 냉기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진열선반은, 캐비닛의 수직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단열재질의 슬라이딩선반과, 상기 슬라이딩선반이 상기 고정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면과 상기 슬라이딩선반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레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KR2020070000316U 2007-01-08 2007-01-08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KR200438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16U KR200438573Y1 (ko) 2007-01-08 2007-01-08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16U KR200438573Y1 (ko) 2007-01-08 2007-01-08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73Y1 true KR200438573Y1 (ko) 2008-02-27

Family

ID=4162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316U KR200438573Y1 (ko) 2007-01-08 2007-01-08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5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982A (ko) * 2016-10-19 2018-04-27 주식회사 크리콤 냉온 전환을 위한 로터리식 캠스위치를 구비한 냉장 및 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KR101935425B1 (ko) * 2016-08-03 2019-01-04 주식회사 크리콤 덕트 차단판의 중앙 핸들링 앤 슬라이딩 구조를 구비한 냉장 및 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425B1 (ko) * 2016-08-03 2019-01-04 주식회사 크리콤 덕트 차단판의 중앙 핸들링 앤 슬라이딩 구조를 구비한 냉장 및 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KR20180042982A (ko) * 2016-10-19 2018-04-27 주식회사 크리콤 냉온 전환을 위한 로터리식 캠스위치를 구비한 냉장 및 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KR101892600B1 (ko) * 2016-10-19 2018-08-28 주식회사 크리콤 냉온 전환을 위한 로터리식 캠스위치를 구비한 냉장 및 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80892B2 (en) Zone cooling in a refrigerated merchandiser
RU25819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хлаждения
KR20190020386A (ko) 냉장고
US3370439A (en) Refrigerators
JP4672506B2 (ja) 冷蔵庫
KR200438573Y1 (ko) 냉장·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WO201112128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JP3227924B2 (ja) 冷気循環形冷蔵ショーケース
US20060107676A1 (en) Cabinet for the storage of goods requiring refrigeration
JP5118924B2 (ja) ショーケース
US20190281997A1 (en) An open-front refrigerator and a method of cooling items therein
JP5919514B2 (ja) ショーケース
JP2009072282A (ja) ショーケース
KR200395162Y1 (ko) 냉장·온장 겸용 쇼케이스
JP4637079B2 (ja) ショーケース
JPH07103643A (ja) ショーケース
JP5340587B2 (ja) ショーケース
JP5493672B2 (ja) ショーケース
JP5143162B2 (ja) 冷凍冷蔵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20188844A (ja) 冷蔵ショーケース
EP3393305B1 (en) Refrigerated sales furniture
JP2008000535A (ja) ショーケース
JP6801262B2 (ja) ショーケース
KR20010083556A (ko) 냉온장 겸용 쇼케이스
KR101892600B1 (ko) 냉온 전환을 위한 로터리식 캠스위치를 구비한 냉장 및 온장 겸용 개방형 쇼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