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88Y1 - A iron frame chair - Google Patents

A iron frame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88Y1
KR200437788Y1 KR2020070000230U KR20070000230U KR200437788Y1 KR 200437788 Y1 KR200437788 Y1 KR 200437788Y1 KR 2020070000230 U KR2020070000230 U KR 2020070000230U KR 20070000230 U KR20070000230 U KR 20070000230U KR 200437788 Y1 KR200437788 Y1 KR 200437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frame
chair
rear vert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23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주운
Original Assignee
박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운 filed Critical 박주운
Priority to KR2020070000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8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8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Abstract

본 고안은 철재 프레임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전방 수직프레임(10)과, 후방 수직프레임(20)을 좌판 프레임(30)으로 결합 구성하여, 좌판(35)과 등받이판(25)을 각각 결합 설치하되;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10)은 후방 수직프레임(20)모다 큰 단면을 갖는 프레임(100)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20)은 사각 파이프(21)의 배면 상하부를 가압 성형한 가압부(22)(23)에 의해 상부 등받이 지지부(210)와 하부 지지다리부(220)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부(211)(221)를 형성하며, 상기 등받이 지지부(210)에는 경사부(211)에 대응되는 만곡 형상의 등받이판(25)이 밀착 설치하므로서, 의자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젖혀져 넘어가는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게 되면서 안전성, 안락감을 우수하게 제공함하고, 상기 프레임 제작에 따른 생산성,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using a steel frame, more specifically, the front vertical frame 10 and the rear vertical frame 20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seat frame 30, the seat plate 35 and the back plate 25 Install each combination; The front vertical frame 10 is formed of a frame 100 having a large cross-section of the rear vertical frame 20, and the rear vertical frame 20 is a pressing part formed by pressing and forming the upper and lower back portions of the rectangular pipe 21. 22 and 23, the upper back support 210 and the lower support leg 220 are formed to each of the inclined portions 211, 221 that are opened outwards, the back support 210, the inclined portion 211 As the curved backrest plate 25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hair prevents the safety accident from being flipped forward or rearward as well as comfortably supporting the user's waist while providing excellent safety and comfort. In order to provide excellent productivity and economy according to the frame fabrication, its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철재, 프레임, 의자, 경사, 안전성, 사각, 철재 프레임 Steel, frame, chair, tilt, safety, square, steel frame

Description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A iron frame chair}Chair using iron frame {A iron frame chair}

도 1은 종래 의자의 일 례를 보여주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hair.

도 2는 본 고안 의자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의자의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chair.

도 4는 본 고안 의자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chair.

도 5는 본 고안의 후방 수직프레임 제작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도.5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rear vertical fram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전방 수직프레임 20: 후방 수직프레임10: front vertical frame 20: rear vertical frame

22,23: 가압부 21: 사각 파이프22,23: pressurization portion 21: square pipe

30: 좌판 프레임 35: 좌판30: seat frame 35: seat

25: 등받이판 100: 프레임25: back plate 100: frame

210: 등받이 지지부 220: 지지다리부210: back support portion 220: support leg portion

211,221: 경사부211,221: slope

본 고안은 철재 프레임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전,후방 수직 프레임, 등받이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전성, 안락감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생산성,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using a steel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 the back plate, the chair using a steel frame that provides excellent safety and comfort as well as excellent productivity and econom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의자는 목재, 철재, 합성수지재 또는 상기한 소재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다.In general, the chair is manufactured using a combination of wood, iron, synthetic resin or the above materials.

특히, 상기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의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수직프레임(2)과 후방 수직프레임(3)을 좌판 프레임(4)으로 연결 구성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chair using the steel frame, the front vertical frame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3 are connected to the seat plate frame 4 as shown in FIG. 1.

이때, 각 프레임은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At this time, each frame is coupl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or bolting.

또한,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3)은 하부 지지다리부(3')와 상부 등받이지지부(3")를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vertical frame 3 separates or integrally forms the lower support leg 3 'and the upper back support 3 ".

그리고 상기 좌판 프레임(4) 상부에는 좌판(5),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3)의 상부에는 등받이판(6)을 결합 설치하여 제조 완료하게 된다.And the upper plate of the seat plate frame 4, the seat plate 5, the upper back of the vertical frame 3 is coupled to the back plate 6 is installed to complete the manufacture.

그런데 상기한 의자의 경우에 후방 수직 프레임을 단순히 수직 형태로만 제작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체중을 뒤로 향하게 되는 경우에 의자가 뒤로 넘어가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h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the chair falling back when the weight of the user is seated backward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chair is simply produced in a vertical form. .

또한, 사용자가 등받이판 또한 단순 수직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몸을 지지하는 경우에 편안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user has a problem that the comfort is lowered when supporting the body because the back plate is also formed in a simple vertical form.

이러한 문제 때문에 종래 목재 등의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후방 수직프레임을 활처럼 상하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라운드 곡면을 형성하도록 제작하므로서 체 중을 뒤로 향하여도 뒤로 넘어감을 방지하는 안전성과 사용자의 몸을 라운드 곡면을 의해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하므로서 안락감을 높이도록 하였다.Due to this problem, when using a material such as wood, the rear vertical frame is formed to form a rounded curved surface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spreading outward like a bow,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backward even when the body is backward. It is to increase the comfort while supporting comfort.

그러나 철재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후방 수직프레임을 활처럼 상하가 외측으로 라운드 곡면을 형성하도록 가공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However, when using the steel frame it was very difficult to process the rear vertical frame to form a round curved surface to the outside up and down like a bow as described above.

물론 상기 철재 프레임의 상하가 외측으로 라운드 곡면을 형성하도록 가공한다 하더라도 의자의 좌우측에 구성되는 복수의 후방 수직프레임을 동일하게 일정한 곡률로 가공하는 것이 곤란하여 실제적인 제작 사용이 곤란하였다.Of course, even if the top and bottom of the steel frame is processed to form a round curved surface to the outside, it is difficult to process a plurality of rear vertical fram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with the same constant curvature, so that practical production and use is difficult.

따라서,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의 경우에 목재 소재의 경우보다 내구성, 경제성, 생산성 등이 매우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제 문제로 인해서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의 제작, 사용에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hair using the steel frame, although the durability, economical efficiency, productivity, etc. are much better than the case of the wood material,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was a limit to the manufacture and use of the chair using the steel frame.

또한, 상기한 종래의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는 전방 수직프레임을 후방 수직 프레임과 동일 형태로 동일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체중을 지지하는 의자가 앞,뒤로 넘어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hair using the conventional steel frame is formed so that the front vertical frame has the same diameter in the same shape as the rear vertical frame, so that the safety to support the chair to support the weight to prevent falling back and forth is reduced There was a problem.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후방 수직 프레임, 등받이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전성, 안락감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복수의 후방 수직프레임을 동일하면서도 간단하게 절곡 성형하여 생산성,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ront, rear vertical frame, back plate, providing excellent safety and comfort, as well as simply and multiple rear vertical frames The purpose is to provide excellent productivity and economy by bending molding.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전방 수직프레임과, 후방 수직프레임을 좌판 프레임으로 결합 구성하여, 좌판과 등받이판을 각각 결합 설치하되;Combining the front vertical frame and the rear vertical frame into the seat plate frame, the seat plate and the back plate respectively coupled to install;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은 후방 수직프레임모다 큰 단면을 갖는 프레임으로 형성하고,The front vertical frame is formed of a frame having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rear vertical frame,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은 사각 파이프의 배면 상하부를 가압 성형한 가압부에 의해 상부 등받이 지지부와 하부 지지다리부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부를 형성하며,The rear vertical frame forms an inclined portion that is spread outwardly to the upper back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leg portion by a pressing portion press-molded the rea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quare pipe,

상기 등받이 지지부에는 경사부에 대응되는 만곡 형상의 등받이판이 밀착 설치함에 의해 달성된다.The backrest support is achieved by close installation of the curved back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즉, 본 고안의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That is, the chair using the stee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지지다리 기능을 갖는 전방 수직프레임과, 상하로 등받이 지지부와 지지다리부를 일체로 갖는 후방 수직프레임을 좌판 프레임(30)으로 결합 구성하고, 상기 좌판 프레임에 좌판(35), 후방 수직프레임의 등받이 지지부 상에 등받이판을 결합 설 치하는 것에 있어서,A front vertical frame having a support leg function, and a rear vertical frame having a back support portion and a support leg up and down integrally constituted by a seat plate frame 30, and a seat plate 35 and a back support part of a rear vertical frame on the seat plate frame. In jointly installing the back plate on the table,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20)은 사각 파이프(21)의 배면 상부 위치와 하부의 좌판이 결합되는 하부 위치로 가압 성형한 가압부(22)(23)에 의해 상부 등받이 지지부(210)와 하부 지지다리부(220)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부(211)(221)를 형성하고,The rear vertical frame 20 is an upper back support 210 and a lower support leg by pressing parts 22 and 23 press-molded to a lower position where a rear upper position of the square pipe 21 and a lower seat plate are coupled. And forming inclined portions 211 and 221 which respectively open to the outside with portions 220,

상기 등받이 지지부(210)에는 경사부(211)에 대응되는 만곡부(26)를 형성하는 등받이판(25)이 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다.The back support plate 210 is provided with a back plate 25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urved portion 26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211.

이때, 상기 가압부(22)(23)의 성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에 의해 일정한 가압력으로 가압 가공하므로 복수의 프레임에 각각 일정한 각도의 경사부(211)(221)를 갖도록 절곡되어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haping of the pressing portion 22, 23, as shown in Figure 5, pressurized by a constant pressing force by a press, so as to be bent to have inclined portions 211, 221 of a predetermined angl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rames. Will be produced.

또한,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10)은 후방 수직프레임(20) 보다 지지력을 크게 형성하도록 큰 단면을 갖는 프레임(100)으로 형성하여 이룬다.In addition, the front vertical frame 10 is formed by forming a frame 100 having a larger cross section to form a larger support force than the rear vertical frame 20.

이때,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10)은 도면상에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사각형태로 변형 실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 형상의 변경 정도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front vertical frame 10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on the drawing, but it can be modifi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degree of change of such a simple shape is reveale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미설명부호로서, 40은 좌우측 후방 수직프레임(20)(20)을 연결하는 연결간, 45는 후방 수직프레임(20)와 등받이판(25)을 상호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connec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ar vertical frames 20 and 20, and 45 represents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rear vertical frame 20 and the back plate 25 to each other.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 다.Next, look at 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본 고안은 철재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후방 수직프레임(20)의 상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일체 형성하므로서 의자가 뒤로 넘어짐을 방지하는 안전성과 함께 안락성을 극대화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using an iron frame, bu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ar vertical frame 20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unfolded to the outside, thereby maximizing comfort with safety preventing the chair from falling backward.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In more detail,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20)은 사각 파이프(21)의 배면 상부 위치와 하부의 좌판이 결합되는 하부 위치로 프레스 등으로 가압 성형한 가압부(22)(23)에 의해 상부 등받이 지지부(210)와 하부 지지다리부(220)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부(211)(221)를 형성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The rear vertical frame 20 is an upper back support part 210 by pressing parts 22 and 23 press-molded by a press or the like to a lower position where the upper posi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square pipe 21 and the lower plate are coupled. The inclined portions 211 and 221 are formed to be form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support leg 220, respectively.

특히 상기 프레임의 가압부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 성형하게 되기 때문에 복수의 프레임을 가공함에 있어 상기 경사부(211)(221)의 경사를 일정하게 이루도록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pressing portion of the frame is press-molded with a constant force,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portions 211 and 221 is made to be uniform in processing a plurality of frames.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후방 수직프레임(20)의 상하로 경사부(211)(221)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제조하므로서 생산성 향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by integrally manufacturing to form the inclined portions 211 and 221 up and down the rear vertical frame 20.

이와 같은 후방 수직프레임(20)을 적용한 본 고안의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체중을 뒤로 향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다리부(220)의 경사부(221)가 외측으로 벌어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여 의자가 뒤로 넘어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rear vertical frame 20 is applied, the inclined portion 221 of the support leg 220 is opened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faces the weight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itting on the chair. B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chair will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back.

그리고, 상기 등받이 지지부(210)의 경사부(211)에는 경사부(211)에 대응되는 경사의 만곡부(26)를 갖는 등받이판(25)을 밀착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판 의 만곡부(26)에 의해 사용자가 허리, 등을 뒤로 젖힌 상태로 앉을 수 있어 안락감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backrest plate 25 having the inclined curved portion 26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211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clined portion 211 of the backrest support portion 210, the bent portion 26 of the backrest plate is provided. As a result, the user can sit with his back and back bent to increase comfort.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10)을 후방 수직프레임(20) 보다 지지력을 크게 형성하도록 큰 단면에 갖는 프레임(100)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자에 않은 상태에서 체중을 전방이나 뒤로 향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력을 우수하게 제공하여 안전성을 더욱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front vertical frame 10 is formed as a frame 100 having a larger cross-section to form a larger support force than the rear vertical frame 20, so that the user is not in the chair in front of or behind the weight In case of heading to provide excellent support to prevent flow by the frame 100 is to maximize the safety even more.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원형이나 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frame 100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cours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는 후방 수직프레임의 상,하단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함과,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의 단면이 후방 수직프레임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하는 개선 구조에 의해 의자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젖혀져 넘어가는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게 되면서 안전성, 안락감을 우수하게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 제작에 따른 생산성,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ar vertical frame to the outside, and by improving the structur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front vertical frame is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rear vertical frame, It prevents the safety accident to be flipped backwards, as well as comfortably supporting the user's waist, providing excellent safety and comfort, and has an effect of providing excellent product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according to the frame production.

Claims (2)

지지다리 기능을 갖는 전방 수직프레임과, 상하로 등받이 지지부와 지지다리부를 일체로 갖는 후방 수직프레임을 좌판 프레임(30)으로 결합 구성하고, 상기 좌판 프레임에 좌판(35), 후방 수직프레임의 등받이 지지부 상에 등받이판을 결합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A front vertical frame having a support leg function, and a rear vertical frame having a back support portion and a support leg up and down integrally constituted by a seat plate frame 30, and a seat plate 35 and a back support part of a rear vertical frame on the seat plate frame. In attaching and mounting the back plate on the top,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20)은 사각 파이프(21)의 배면 상부 위치와 하부의 좌판이 결합되는 하부 위치로 가압 성형한 가압부(22)(23)에 의해 상부 등받이 지지부(210)와 하부 지지다리부(220)로 각각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부(211)(221)를 형성하고,The rear vertical frame 20 is an upper back support 210 and a lower support leg by pressing parts 22 and 23 press-molded to a lower position where a rear upper position of the square pipe 21 and a lower seat plate are coupled. And forming inclined portions 211 and 221 which respectively open to the outside with portions 220, 상기 등받이 지지부(210)에는 경사부(211)에 대응되는 만곡부(26)를 형성하는 등받이판(25)이 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Chair back using a steel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support plate 210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plate 25 to form a curved portion 26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21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10)은 후방 수직프레임(20) 보다 지지력을 크게 형성하도록 큰 단면을 갖는 프레임(100)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의자.The front vertical frame 10 is a chair using a steel fram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a frame 100 having a larger cross-section so as to form a larger support force than the rear vertical frame (20).
KR2020070000230U 2007-01-05 2007-01-05 A iron frame chair KR2004377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230U KR200437788Y1 (en) 2007-01-05 2007-01-05 A iron frame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230U KR200437788Y1 (en) 2007-01-05 2007-01-05 A iron frame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88Y1 true KR200437788Y1 (en) 2008-01-02

Family

ID=4134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230U KR200437788Y1 (en) 2007-01-05 2007-01-05 A iron frame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8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0604A (en) * 2019-03-07 2019-05-21 南京林业大学 A kind of detachable seat backr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0604A (en) * 2019-03-07 2019-05-21 南京林业大学 A kind of detachable seat backr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5352B (en) Backrest device for chair
CA2629774C (en) Base plate for a chair
US8251454B2 (en) Backrest of the chair and adaptation device for the same
US20120133193A1 (en) Vehicle seat
CN106659302B (en) Chair backrest and chair
US8002351B2 (en) Support member
JP2006271622A (en) Chair
JP4791066B2 (en) Chair
JP5259995B2 (en) Chair
JP5078450B2 (en) Chair
KR200437788Y1 (en) A iron frame chair
JP2008302082A (en) Rocking chair
JP6549370B2 (en) Load support member for chair and chair
JP5243566B2 (en) Chair
KR200395763Y1 (en) Back division type chair
JP5096869B2 (en) Chair
US7144084B2 (en) Chair with rod frame back assembly
JP2011173450A (en) Pad supporting device for ride seat
JP6695219B2 (en) Chair load support member and chair
JP6059505B2 (en) Lumber support device and chair provided with the same
JP6433055B2 (en) Chair
JP5767010B2 (en) Chair
CN211092851U (en) Chair (Ref. TM. chair)
JP4872573B2 (en) Chair backrest device
JP6176916B2 (en) Chair with back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