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37Y1 - 카메라용 방수팩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방수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37Y1
KR200437737Y1 KR2020070000737U KR20070000737U KR200437737Y1 KR 200437737 Y1 KR200437737 Y1 KR 200437737Y1 KR 2020070000737 U KR2020070000737 U KR 2020070000737U KR 20070000737 U KR20070000737 U KR 20070000737U KR 200437737 Y1 KR200437737 Y1 KR 200437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se body
transparent
synthetic resin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장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호 filed Critical 장재호
Priority to KR2020070000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2Watertight containers for use while sw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8Camera cases, e.g. of ever-ready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10Beach-bags; Watertight beach-bags

Landscapes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용 방수팩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유연한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앞뒷면에 윈도우슬롯을 각각 가지며, 한쪽이 개구된 얇은 판상의 케이스몸체와; 유연한 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케이스몸체의 앞뒷면의 윈도우슬롯을 각각 차폐하도록 케이스몸체에 접합되며, 어느 하나에 렌즈구멍이 형성된 1쌍의 투명막과; 유연한 불투명 합성수지제의 벨로우즈 관으로 이루어져 투명막의 렌즈구멍을 차폐하도록 투명막에 접합되되,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며, 선단면에 단단한 투명판을 갖는 가변 경통실린더와; 케이스몸체의 개구를 개폐 가능한 수밀상태로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카메라를 수용한 상태에서도 왜곡 없이 원하는 장면만을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시 버튼조작도 매우 용이하고, 이중 밀봉구조의 완벽한 방수로 카메라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카메라, 디지털카메라, 방수팩, 방수, 벨로우즈

Description

카메라용 방수팩{Waterproof pac for camera}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용 방수팩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 방수팩의 밀봉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펼친 상태의 부분절단 평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5는 본 고안 방수팩에 디지털카메라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6a 내지 도6c는 본 고안 방수팩의 작용을 나타낸 발췌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몸체 11, 12: 몸체시트
11a, 12a: 윈도우슬롯 20: 투명막
21: 확장플랜지 30: 가변 경통실린더
31: 투명판 40: 밀봉수단
41: 지퍼락 42: 말림부
43: 커버 44: 벨크로
C: 카메라 L: 렌즈
본 고안은 카메라용 방수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름철 바닷가나 강가 및 우중(雨中) 또는 수중에서 카메라를 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간편하고 선명하게 촬영도 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용 방수팩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고정밀 광학기기로 물리적 충격이나 습기에 매우 민감하며, 특히 내부에 물이 들어갈 경우 치명적인 고장을 유발할 위험이 대단히 높다. 근래에는 반도체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카메라가 보급되어 급속히 확산되는 추세인데, 이러한 디지털카메라의 경우 그 메카니즘의 특성상 습기에 대단히 취약하다.
반면, 기존의 광학카메라에 비해 경박단소(輕薄短小)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영상의 기록보관이나 기타 이미지 수정 및 편집 등이 탁월한 여러 장점에 의해 기존의 광학카메라를 급속히 대체해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카메라는 그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칩(chip)과,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가 내장된 몸체와, 피사체를 포착하기 위한 렌즈 및 액정화면과 셔터를 포함한 각종 조작버튼으로 이루어져 모든 구성요소들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따라서, 디지털카메라의 경우 습기에 특히 취약한 약점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그 내부로 물이 들어가게 되면 잦은 고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시, 특히 여름철 바닷가나 강가 등지 및 우중에서 촬영할 때는 카메라를 물속에 빠뜨리거나 물기가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한편, 최근에는 수상스키와 스킨스쿠버 등 각종 수상레저활동도 크게 성행하고 있으며, 이때의 순간을 카메라에 담아 보관하고 싶어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물에 취약한 카메라의 특성상 쉽게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수중촬영의 경우에는 고가의 방수장비를 갖춘 특수 카메라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시도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카메라를 습기(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필요시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로 촬영도 가능하게 하는 이른 바 “카메라용 방수케이스”가 출현하고 있는데, 대부분 케이스의 앞뒷면에 투명창을 갖는 유연한 합성수지 또는 비닐을 포켓(pocket) 형태로 구성하고 케이스의 개구에 밀봉수단을 구비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수케이스는 앞뒷면이 동일하게 편평한 구성이기 때문에 디지털카메라의 작동시 줌렌즈의 돌출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보다 충분히 큰 사이즈를 가져야 하며, 이로 인해 카메라가 케이스 내에서 유동이 커 촬영이 용이하지 못하다.
특히, 투명창이 돌출된 줌렌즈 앞에서 구부러지고, 또한 PE계열로 투명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빛의 굴절반사 등으로 화면이 흐려져서 선명한 화질의 사진을 얻기 어려웠다.
한편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상술한 방수케이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92346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기술의 방수케이스는 유연 합성수지 케이스의 앞면에 구비된 투명창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경통수용부를 돌출되게 구비시켜 디지털카메라의 작동시 돌출되는 줌렌즈가 경통수용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를 수용될 카메라의 크기에 맞게 제작할 수 있어 안정된 촬영이 가능하고 렌즈 앞부분의 왜곡을 해소하여 보다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기술은 경통수용부가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케이스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에 애로가 있고, 특히 돌출길이가 카메라 렌즈의 최대 돌출길이에 맞도록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줌 조작시 렌즈의 돌출길이가 작아지면 렌즈와 경통수용부 선단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게 되어 화면의 주변이 경통수용부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경통수용부를 제외하고 케이스의 앞뒷면이 여타의 케이스와 마찬가지 로 평활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를 수용한 상태에서는 케이스의 앞뒷면이 볼록하게 당겨져 촬영할 시 각종 버튼을 조작하기도 쉽지 않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 몸체에 카메라의 동작시 돌출되는 렌즈를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경통수용부를 구비하되, 경통수용부의 돌출길이가 카메라 렌즈의 줌 동작에 따라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줌 길이에 관계없이 항상 원하는 장면만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비촬영 시 경통수용부의 돌출길이를 최소화하여 취급 및 보관의 용이성도 제고할 수 있는 카메라용 방수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 몸체의 앞뒷면이 수용되는 카메라의 외형에 대응하여 가변적으로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수용상태에서의 촬영 시에도 각종 버튼을 비교적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카메라용 방수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용 방수팩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유연한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앞뒷면에 윈도우슬롯(window slot)을 각각 가지며, 한쪽이 개구된 얇은 판상의 케이스몸체; 유연한 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케이스몸체의 앞뒷면의 윈도우슬롯을 각각 차폐하도 록 케이스몸체에 접합되며, 어느 하나에 렌즈구멍이 형성된 1쌍의 투명막; 유연한 불투명 합성수지제의 벨로우즈(bellows) 관으로 이루어져 투명막의 렌즈구멍을 차폐하도록 투명막에 접합되되,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 되며, 선단면에 단단한 투명판을 갖는 가변 경통실린더; 케이스몸체의 개구를 개폐 가능한 수밀상태로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가변 경통실린더의 투명판이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지고, 그 안쪽 면은 김서림 방지 처리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투명막이 벨로우즈 형태로 이루어져 촬영시 버튼조작의 용이성을 높여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케이스 몸체에 카메라의 동작시 돌출되는 렌즈가 벨로우즈 관으로 이루어진 가변 경통실린더에 안정적으로 끼워짐은 물론, 줌 동작시 렌즈의 선단이 가변 경통실린더의 투명판 안쪽 면에 접촉한 상태로 함께 움직이게 됨으로써 줌 길이에 관계없이 항상 원하는 장면만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비촬영 시에는 경통수용실린더의 돌출길이가 최소로 축소되므로 취급 및 보관도 매우 용이하다.
또한, 케이스 몸체의 앞뒷면에 부착되는 투명막이 벨로우즈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케이스가 수용되는 카메라의 외형에 대응하여 가변적으로 확장될 수 있어 카메라를 매우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용상태에서의 촬영시에도 각종 버튼을 비교적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카메라 방수팩의 안전성과 신뢰성 및 사용의 편의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5에서,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용 방수팩,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얇은 판상의 케이스몸체(10)와, 이 케이스몸체(10)의 앞뒷면에 각각 형성되어 케이스몸체(10)에 수용된 카메라(C)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해주는 1쌍의 투명막(20)과, 카메라(C)의 렌즈(L)를 수용하도록 어느 한 투명막(20)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줌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신축되는 가변 경통실린더(30) 및 케이스몸체(10)의 개구를 개폐 가능한 수밀상태로 밀봉시키는 밀봉수단(4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몸체(10)는 폴리에틸렌(PE) 등의 유연한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1쌍의 몸체시트(11)(12)를 맞댄 후 3변의 가장자리를 고주파 융착으로 서로 접합함으로써 한쪽 변에 개구(10a)를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케이스몸체(10)의 각 몸체시트(11)(12), 즉 케이스몸체(10)의 앞뒷면에는 외부에서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카메라(C)를 관찰할 수 있도록 윈도우슬롯(11a)(12a)이 각각 형성된다.
투명막(20)은 유연한 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케이스몸체(10)의 앞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윈도우슬롯(11a)(12a)를 각각 차폐하도록 케이스몸체(10)에 고주파융착으로 접합된다.
투명막(20)은 단순히 평판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몸체(10)가 카메라(C)를 보다 안정되게 수용하고, 수용된 상태에서의 촬영시 버튼조작이 용이하도록 벨로우즈 형태로 구성된다.
즉, 종래와 같이 투명막(20)이 판상으로 구성될 경우 케이스몸체(10) 내부에 카메라(C)를 넣기 위해 케이스몸체(10)를 카메라(C)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해야 될 뿐 아니라, 카메라(C)를 넣게 되면 투명막(20)이 카메라(C)의 두께에 의해 앞뒤로 볼록하게 변형되면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촬영시 조작버튼을 다루기가 쉽지 않은 바, 투명막(20)을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 형태로 구성하여 수용되는 카메라(C)의 두께에 대응하여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C)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면서 촬영시의 버튼조작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투명막(20)은 그 자체가 벨로우즈 형태를 가져도 좋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몸체(10)와 함께 전체적으로 벨로우즈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케이스몸체(10)와 함께 벨로우즈 형태를 구성하는 경우는, 투명막(20)의 한쪽 면 가장자리부에 적정 폭을 갖는 확장플랜지(21)를 중첩시켜 그 바깥쪽 가장자리를 고주파 융착으로 접합하고, 이 확장플랜지(21)의 안쪽 가장자리를 케이스몸체(10)의 윈도우슬롯(11a)(12a)의 가장자리에 고주파 융착으로 접합함으로써 도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몸체(10)와 함께 전체적으로 벨로우즈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2개의 투명막(20) 중 케이스몸체(10)의 앞면에 위치한 투명막(20)에는 카메라(C)의 렌즈(L)가 끼워질 수 있도록 렌즈구멍(22)이 형성된다.
가변 경통실린더(30)는 벨로우즈 관으로 구성되어 후단이 투명막(20)의 렌즈구멍(22)의 가장자리에 고주파 융착으로 접합된다. 이 가변 경통실린더(30)는 수축상태를 유지하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몸체(10) 내에 카메라(C)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변 경통실린더(30)가 최소의 돌출길이를 유지하여 취급과 보관의 편의를 제공하고, 카메라(C)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렌즈(L)를 수용하여 줌 동작시 그 선단이 렌즈(L)에 밀착한 채 신축된다.
이를 위해 가변 경통실린더(30)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유연한 불투명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그 선단에는 화질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변형되지 않는 단단한 투명판(31)을 갖는다. 투명판(31)은 여러 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지고, 그 안쪽 면에는 보다 선명한 화질을 위해 김서림 방지 처리된다.
밀봉수단(40)은 완벽한 방수를 위해 케이스몸체(10)의 개구(10a) 내면에 구비되는 지퍼락(41)과, 케이스몸체(10)의 개구(10a) 쪽이 적정 길이로 연장되어 수회 말아지는 말림부(42)와, 케이스몸체(10)의 말림부(42) 뒷면에 일단이 접합되어 말림부(42)를 감싸 지지해주는 커버(43) 및 케이스몸체(10)의 앞면과 커버(43)의 한쪽면 선단부에 부착되어 양자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켜주는 암수 쌍(44a)(44b)으로 이루어진 벨크로(velcro:44)로 구성되어 다중 밀봉구조를 갖는다.
지퍼락(41)은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긴 연질 합성수지제 소켓채널(socket channel:41a)과, 이 소켓채널(41a)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플러그바(plug bar:41b)로 이루어져 케이스몸체(10)의 내주 둘레를 양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부착된다.
말림부(42)는 그대로도 좋으나, 보다 용이하게 말아질 수 있도록 말림 시의 내면에 그 말리는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절곡선(42a)이 피팅(fitting)가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부호 50은 편리한 휴대를 위해 줄(도시하지 않음) 등을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탭(tab)이다.
이와 같이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용 방수팩은, 케이스 몸체(10)에 가변 경통실린더(30)가 구비되어 카메라(C)의 동작시 돌출된 렌즈(L)가 끼워지게 되므로, 케이스를 수용할 카메라(C)의 크기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고 촬영시의 줌 동작도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도6a 내지 도6c의 도시와 같이, 가변 경통실린더(30)가 벨로우즈 관으로 구성되어 수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고 그 선단에 매우 투명하고 단단한 PC로 이루어진 투명판을 가지기 때문에, 카메라(C)를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돌출길이가 최소화되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길게 돌출되어 있는 종래에 비해 취 급과 보관도 한결 용이하고, 가변 경통실린더(30)의 선단이 렌즈(L) 끝에 밀착된 상태로 줌 동작에 따라 신축되므로 카메라(C)를 케이스에 수용한 상태에서도 항상 왜곡 없이 원하는 장면만을 깨끗하고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케이스몸체(10)의 앞뒷면에 부착되는 투명막(20)이 케이스몸체(10)와 함께 벨로우즈 형태를 구성하므로 케이스가 수용되는 카메라의 외형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C)를 매우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수용상태에서의 촬영시에도 각종 버튼을 단순한 평판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몸체(10)의 개구(10a)도 지퍼락(41)을 채운 후 서로 맞물린 지퍼락(41)을 수회 말아서 커버(43)로 단단히 고정시키는 이중 밀봉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수중에서도 완벽하게 방수가 이루어져 특히 습기에 약한 디지털카메라 등을 매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 바닷가나 강가에서의 촬영 또는 스킨스쿠버 등의 수상레저활동 시에도 원하는 장면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용 방수팩에 의하면, 케이스 몸체에 카메라의 동작시 돌출되는 렌즈가 벨로우즈 관으로 이루어진 가변 경통실린더에 안정적으로 끼워짐은 물론, 줌 동작시 렌즈의 선단이 가변 경통실린더의 투명판 안쪽 면에 접촉한 상태로 함께 움직이게 됨으로써 줌 길이에 관계없이 항상 원하는 장면만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비촬영 시에는 경통수용실린더의 돌출길이가 최소로 축소되므로 취급 및 보관도 매우 용이하다.
또한, 케이스 몸체의 앞뒷면에 부착되는 투명막이 벨로우즈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케이스가 수용되는 카메라의 외형에 대응하여 가변적으로 확장될 수 있어 카메라를 매우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용상태에서의 촬영시에도 각종 버튼을 비교적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카메라용 방수팩의 신뢰성과 안전성 및 화질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유연한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앞뒷면에 윈도우슬롯을 각각 가지며, 한쪽이 개구된 얇은 판상의 케이스몸체;
    유연한 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앞뒷면의 윈도우슬롯을 각각 차폐하도록 케이스몸체에 접합되며, 어느 하나에 렌즈구멍이 형성된 1쌍의 투명막;
    유연한 불투명 합성수지제의 벨로우즈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투명막의 렌즈구멍을 차폐하도록 투명막에 접합되되,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며, 선단면에 단단한 투명판을 갖는 가변 경통실린더;
    상기 케이스몸체의 개구를 개폐 가능한 수밀상태로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방수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경통실린더의 투명판이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고, 그 안쪽 면은 김서림 방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방수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막이 벨로우즈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방수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이,
    상기 케이스몸체의 개구 쪽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말아지는 말림부와, 상기 말림부의 개구 안쪽 면에 구비되는 지퍼락과, 상기 케이스몸체의 말림부 뒷면에 일단이 접합되어 말림부를 덮어주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앞면과 커버의 한쪽 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부착되는 암수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방수팩.
KR2020070000737U 2007-01-15 2007-01-15 카메라용 방수팩 KR200437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737U KR200437737Y1 (ko) 2007-01-15 2007-01-15 카메라용 방수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737U KR200437737Y1 (ko) 2007-01-15 2007-01-15 카메라용 방수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37Y1 true KR200437737Y1 (ko) 2007-12-26

Family

ID=4162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737U KR200437737Y1 (ko) 2007-01-15 2007-01-15 카메라용 방수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3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861A2 (ko) * 2009-06-05 2010-12-09 Lee Ral Ra 방수팩
KR101065886B1 (ko) * 2009-06-05 2011-09-19 이랄라 방수팩
KR200464978Y1 (ko) 2011-09-09 2013-01-28 이랄라 방수팩
KR200468429Y1 (ko) 2012-05-11 2013-08-16 손상열 방수팩
KR20220058372A (ko) * 2020-10-30 2022-05-09 최병삼 생존튜브 기능을 구비한 방수가방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861A2 (ko) * 2009-06-05 2010-12-09 Lee Ral Ra 방수팩
WO2010140861A3 (ko) * 2009-06-05 2011-04-21 Lee Ral Ra 방수팩
KR101065886B1 (ko) * 2009-06-05 2011-09-19 이랄라 방수팩
KR101068344B1 (ko) 2009-06-05 2011-09-28 이랄라 방수팩
KR101068349B1 (ko) 2009-06-05 2011-09-28 이랄라 방수팩
KR101068284B1 (ko) 2009-06-05 2011-09-28 이랄라 방수팩
KR200464978Y1 (ko) 2011-09-09 2013-01-28 이랄라 방수팩
KR200468429Y1 (ko) 2012-05-11 2013-08-16 손상열 방수팩
KR20220058372A (ko) * 2020-10-30 2022-05-09 최병삼 생존튜브 기능을 구비한 방수가방
KR102439927B1 (ko) * 2020-10-30 2022-09-06 최병삼 생존튜브 기능을 구비한 방수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0542B2 (en) Camera housing
US7537399B2 (en) Digital camera having camera body
KR200437737Y1 (ko) 카메라용 방수팩
US6419367B1 (en) Glare shield attachmen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JPH10254041A (ja) カメラ用防水ハウジング
US9213218B1 (en) Humidity prevention system within a camera housing
US7991274B2 (en) Waterproof cover for camera
CN100418007C (zh) 按键组安装构造、防水外盒及带防水外盒摄像装置
KR200392346Y1 (ko) 디지털카메라용 방수케이스
US20100321553A1 (en) Glare blocking camcorder/camera stabilizing eye level viewfinder device and method
US20050099514A1 (en) Automated zoom control
JP2001144459A (ja) 防水型電子機器
US20170010520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Camcorders for Air, Land and Underwater Use
KR200365091Y1 (ko) 카메라 방수케이스
KR200444118Y1 (ko) 카메라용 방수팩
JP4584443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5687747B2 (ja) 携帯機器
JP2009109754A (ja) 防水ケース
KR20050075893A (ko) 영상 촬영장치
KR200403433Y1 (ko) 디지털 카메라용 표면 보호커버
JP2006053330A (ja) カメラ用防水ケース
JP4332727B2 (ja) 撮像装置
JP2005191824A (ja) 防水カバー
JP2010109943A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0275449Y1 (ko) 롤렌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