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521Y1 - 프로브 - Google Patents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521Y1
KR200437521Y1 KR2020060031734U KR20060031734U KR200437521Y1 KR 200437521 Y1 KR200437521 Y1 KR 200437521Y1 KR 2020060031734 U KR2020060031734 U KR 2020060031734U KR 20060031734 U KR20060031734 U KR 20060031734U KR 200437521 Y1 KR200437521 Y1 KR 200437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ver
movable contact
levers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헌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1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5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5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정대상물의 저항을 측정하는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중심부(23)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제1 및 제2레버(21,22)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21,22)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레버(21,22) 사이의 상대 회전을 위한 힘을 제공받는 손잡이부(25)와, 상기 손잡이부(25)가 구비된 반대쪽에 해당되는 제1 및 제2 레버(21,22)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접촉부(27,28)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27,28)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측정공간(29)에 탄성부재(32)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사이에 측정대상물이 삽입될 수 있는 한쌍의 이동접촉구(30)와, 상기 회전중심부(23)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부(25)의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27,28)가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제1레버 및 제2레버(21,22)에 힘을 제공하는 복원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항, 측정, 프로브, 접촉면적

Description

프로브{Prob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브의 구성을 보인 개략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커넥터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프로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개략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커넥터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제1레버 22: 제2레버
23: 회전중심부 25: 손잡이부
26: 복원부재 27: 제1접촉부
28: 제2접촉부 30: 이동접촉구
32: 탄성부재 33: 스톱단
35: 안착스토퍼 37: 라운드부
39: 연결선
본 고안은 저항측정용 프로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저항측정용 프로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서 도체의 특정 구간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와이어가 터미널의 바렐에 의해 압착된다. 이와 같이 압착된 부분에서는 압착저항이 발생하는데, 상기 압착저항을 측정하여 바렐이 와이어를 압착하는 정도를 정확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의 바렐이 와이어와 압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일정 구간의 저항을 측정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도체들의 저항을 빼면 압착저항을 측정할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브의 구성이 개략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1레버(1)와 제2레버(2)가 회전중심부(3)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레버(1)와 제2레버(2)의 각각 후단에는 손잡이부(5)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5)는 절연을 위해 절연체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제1레버(1)와 제2레버(2)의 선단에는 각각 접촉편(7)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편(7)은 각각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편(7)의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0)이 위치되어 상기 접촉편(7)에 밀착됨에 의해 접촉편(7)과 터미널(10)사이에서 전류가 흐르고 저항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레버(1)와 제2레버(2)가 그 사이에 터미널(10)을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레버(1)와 제2레버(2)중 상기 회전중심부(3)와 접촉편(7)의 사이에는 복원부재(8)가 구비된다. 상기 복원부재(8)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제1레버(1)와 제2레버(2)를 둘러 감싸서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접촉편(7)이 서로 밀착되게 한다.
상기 제1레버(1)의 손잡부(5) 내부를 통해서는 연결선(9)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선(9)은 각각 상기 제1레버(1) 및 제2레버(2)의 접촉편(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항측정을 위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손잡이부(5)에 해당되는 제1 및 제2레버(1,2)가 서로 인접하게 작업자가 힘을 가하면, 상기 접촉편(7)이 서로 벌어지고, 그 사이에 터미널(10)을 삽입한 후에 손잡이부(5)에 가하던 힘을 제거한다. 상기 손잡이부(5)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복원부재(8)에 의해 상기 접촉편(7)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0)이 상기 접촉편(7)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를 보내면, 상기 터미널(10)중 상기 접촉편(7)에 접촉된 부분에서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접촉편(7)의 사이에 터미널(10))이 위치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접촉편(7)의 표면이 평평해서 터미널(10)이 접촉편(7)의 사이에 위치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접촉편(7)과 터미널(10) 사이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면, 이들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원활하지 않아, 즉 접촉저항이 커져 전류가 제대로 흐르지 못하므로 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브와 측정대상물인 터미널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터미널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제1 및 제2레버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레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위한 힘을 제공받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구비된 반대쪽에 해당되는 제1 및 제2 레버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측정공간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사이에 측정대상물이 삽입될 수 있는 한쌍의 이동접촉구와, 상기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제1레버 및 제2레버에 힘을 제공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정공간에는 상기 이동접촉구의 돌출정도를 규제하고 측정대상물이 안 착되는 안착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동접촉구는 상기 측정공간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구동쳄버내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측정공간으로 돌출되게 지지되고, 상기 측정공간의 안착스토퍼에 의해 그 돌출정도가 규제된다.
상기 이동접촉구의 선단에는 상기 이동접촉구가 설치되는 반대쪽 접촉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라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접촉구가 구비되는 반대쪽 접촉부에는 상기 이동접촉구에 의해 고정된 터미널을 눌러주는 누름대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브에 의하면 측정대상물인 터미널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접촉저항이 줄어들면서 전류가 원활하게 흘러 보다 정확한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고, 이동접촉구가 터미널의 직경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터미널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프로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단면 개략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레버(21)와 제2 레버(22)는 회전중심부(23)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레버(21,22)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레버(21)와 제2 레버(22)는 상기 회전중심부(23)를 중심으로 선단부에 비해 후단부쪽이 상대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제1레버(21)와 제2레버(22)가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된 후단부는 손잡이부(25)이다. 상기 손잡이부(25)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감전되지 않도록 절연재질의 부재가 둘러싼다.
상기 회전중심부(23)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25)의 반대쪽에는 복원부재(26)가 설치된다. 상기 복원부재(26)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복원부재(26)는 상기 손잡이부(25)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부(25)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제1 및 제2 레버(21,22)의 선단에는 제1 및 제2 접촉부(27,28)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27,28)는 서로 밀착되게 접촉된다. 상기 접촉부(27,28)는 길쭉한 육면체 형상 또는 판상으로 된다.
상기 제1접촉부(27)의 표면에는 누름대(27')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대(27')는 상기 제2접촉부(28)에 대해 터미널(10)을 눌러주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대(27')는 상기 제1접촉부(27)의 표면중 상기 제2접촉부(28)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접촉부(28)에는 측정대상물인 터미널(1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접촉부(28)에는 측정공간(29)이 상기 제1접촉부(27)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측정공간(29)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제2접촉부(28)의 길이방향으로 구동쳄버(29')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쳄버(29')는 각각 상기 측정공간(29)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구동쳄버(29')의 내외부로 이동되게 이동접촉구(30)가 각각 상기 측정공간(29)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동접촉구(30)는 대략 사각기둥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원기둥이나 5각기둥 등 기둥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접촉구(30)는 상기 구동쳄버(29')의 내부에서 탄성부재(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32)는 상기 이동접촉구(30)를 상기 측정공간(29)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접촉구(30)의 선단 하부에는 스톱단(33)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스톱단(33)은 상기 이동접촉구(30)가 상기 구동쳄버(29')의 내부에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공간(29)에는 안착스토퍼(35)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안착스토퍼(35)는 측정대상물이 얹어지는 것과 동시에 상기 이동접촉구(30)의 스톱단(33)과 협력하여 이동접촉구(30)가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이동접촉구(30)의 스톱단(33)이 상기 안착스토퍼(35)에 걸어짐에 의해 더 이상 구동쳄버(29')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이동접촉구(30)의 선단중 상기 스톱단(33)과 반대쪽, 즉 상기 제1접촉부(27)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라운드부(37)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37)는 측정대상물인 터미널(10)을 상기 이동접촉구(30)의 사이로 집어넣어 상기 안착스토퍼(35)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쉽게 한다.
도면부호 39는 연결선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브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터미널(10)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25)를 잡고 제1레버(21)와 제2레버(22)가 상기 회전중심부(23)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게 한다. 상기 제1레버(21)와 제2레버(22)가 상대회전하면 상기 제1접촉부(27)와 제2접촉부(28)가 서로 이격된다. 즉, 상기 복원부재(2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레버(21,22)가 동작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접촉부(28)의 측정공간(29) 내부로 터미널(10)을 삽입한다. 즉, 상기 터미널(10)을 상기 이동접촉구(30)의 라운드부(37)에 대고 누른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이동접촉구(30)가 상기 터미널(10)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구동쳄버(29')의 내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0)은 상기 이동접촉구(30)가 후퇴되어 노출된 상기 안착스토퍼(35)상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25)에 가해지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27,28)가 서로 인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접촉부(27)의 누름대(27')가 상기 안착스토퍼(35)상에 안착된 터미널(10)을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10)은 상기 이동접촉구(30), 안착스토퍼(35) 및 누름대(27')에 각각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선(39)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면 원하는 부분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터미널(10)에 대한 저항 측정이 끝나게 되면, 다시 상기 손잡이(25)를 잡아 상기 제1접촉부(27)와 제2접촉부(28)가 서로 이격되게 하고, 상기 이동접촉구(30)의 사이에서 상기 안착스토퍼(35)상에 안착된 터미널(10)을 분리하면 된다.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이동접촉구(30)의 사이에서 빠져나오면 상기 탄성부재(3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접촉구(30)는 양단의 것이 서로 인접하게 된다. 즉, 상기 안착스토퍼(35)에 상기 이동접촉구(30)의 스톱단(33)이 걸어지면서 이동접촉구(30)가 측정공간(29)내에 정지하여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제1접촉부(27)와 제2접촉부(28)에 구비되는 구성이 서로 반대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접촉부(27)의 누름대(27')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상기 이동접촉구(30)가 측정대상물인 터미널(10)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접촉면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안착스토퍼(35) 역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안착스토퍼(35)가 없으면 이동접촉구(30)는 서로 밀착됨에 의해 그 돌출정도가 규제될 수 있고, 측정대상물은 측정공간(29'}의 바닥면에 직접 안착되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프로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측정대상물의 하면 뿐아니라 양측면에도 이동접촉구가 접촉되므로 측정대상물과 프로브가 접촉되는 면적이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접촉저항이 줄어들면서 전류가 원활하게 흘러 보다 정확한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이동접촉구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가능하여 이동접촉구 사이에 위치되는 측정대상물이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것이라도 저항의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프로브로 많은 규격의 터미널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제1 및 제2레버와,
    상기 제1 및 제2 레버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레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위한 힘을 제공받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구비된 반대쪽에 해당되는 제1 및 제2 레버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측정공간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사이에 측정대상물이 삽입될 수 있는 한쌍의 이동접촉구와,
    상기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쪽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가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제1레버 및 제2레버에 힘을 제공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공간에는 상기 이동접촉구의 돌출정도를 규제하고 측정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스토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접촉구는 상기 측정공간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구동쳄버내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측정공간으로 돌출되게 지지되고, 상기 측정공간의 안착스토퍼에 의해 그 돌출정도가 규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접촉구의 선단에는 상기 이동접촉구가 설치되는 반대쪽 접촉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라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접촉구가 구비되는 반대쪽 접촉부에는 상기 이동접촉구에 의해 고정된 터미널을 눌러주는 누름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KR2020060031734U 2006-12-14 2006-12-14 프로브 KR200437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734U KR200437521Y1 (ko) 2006-12-14 2006-12-14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734U KR200437521Y1 (ko) 2006-12-14 2006-12-14 프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521Y1 true KR200437521Y1 (ko) 2007-12-07

Family

ID=4162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734U KR200437521Y1 (ko) 2006-12-14 2006-12-14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5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0237B2 (en) Spring-force clamping element with pivoting lever
CN108028472B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端子
US4340270A (en) Electrical terminal unit
US9553387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with spring connection element and compact actuator and multi-pole plug conn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said spring contacts
US710483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ease means
US6254438B1 (en) Battery side-terminal adapter and Kelvin connector
TWI449281B (zh) Electronic connector
EP3633795B1 (en) Connection device
US4386461A (en) Ribbon cable connector tool
JP2014154556A (ja) 小型のアクチュエータを有するバネ接続部材を備えた電気的な接続デバイス、および複数の当該バネのコンタクトを備えた多極コネクタ
US7909664B2 (en) Wir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4103115A (ja) バネ接点を備えた改良型多極電気コネクタ
KR20090048471A (ko) 절연 변위 커넥터
JP200233474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9417253B (zh) 电导体连接元件
JPH11295376A (ja) コネクタ検査具
US20080038964A1 (en) Terminal contact for electric conductors
EP2757641B1 (en) Plug structure of a power device
JP2010145419A (ja) 通電用クリップを用いた給放電試験装置
JPH08306265A (ja) ブレーカスイッチ
KR200437521Y1 (ko) 프로브
US20170125938A1 (en) Protective Element for Conductors
US20050136730A1 (en) Electric terminal connector block and tooling ensuring terminal insertion
JP2009229345A (ja) 検査治具
JP2002170609A (ja) 通電用クリップ及びこの通電用クリップを用いた給放電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