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379Y1 - 장제용 차량 장식구 - Google Patents

장제용 차량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379Y1
KR200437379Y1 KR2020070010360U KR20070010360U KR200437379Y1 KR 200437379 Y1 KR200437379 Y1 KR 200437379Y1 KR 2020070010360 U KR2020070010360 U KR 2020070010360U KR 20070010360 U KR20070010360 U KR 20070010360U KR 200437379 Y1 KR200437379 Y1 KR 200437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 body
sewn
funeral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운
Original Assignee
홍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운 filed Critical 홍영운
Priority to KR2020070010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3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전을 모시고 장례행렬의 선두에서 출발하는 차량의 본넷트에 본체를 부착하고 양측 띠를 차량의 전후 범퍼에 고정시켜 장례 차량의 행렬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제용 차량을 장식하기 위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본넷트 중앙에 부착되며 전면 중앙 사각형 부분에는 종교에 따라 십자가나 만(卍)자와 같은 다양한 문자나 도형을 넣는 표시부를 이룬 직물지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과 양측에는 각각 매입하여 봉제한 고무자석과,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판재와 고무자석을 매입하여 봉제하고, 상기 본체의 하측 부분에 고정되게 양측의 띠를 각각 재봉한 봉제선을 이루며, 상기 양측 띠의 하측은 차량의 전방 범퍼에 양측 띠의 상측은 차량의 후방 범퍼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제용 차량 장식구, 고무자석, 판재, 띠,

Description

장제용 차량 장식구{DECORATIONS FOR A FUNERAL CAR}
도 1은 종래의 장제용 차량 장식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제용 차량 장식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차량장식구 101:본체
102:표시부 103:판재
104,105,106,107:고무자석 108,109:띠
110:봉제선 111:무늬
본 고안의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전을 모시고 장례행렬의 선두에서 출발하는 차량의 본넷트에 본체를 부착하고 양측 띠를 차량의 전후 범퍼에 고정시켜 장례 차량의 행렬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경사를 위해 차량을 장식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 후드의 전방 중앙에 위치되며 전면에 애경사 표시부를 형성하고, 상하에 철심을 매입 재봉한 직물지 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하부 전 길이 연단에 꽃술(13)을 부착하고 그 양측에는 차량의 전방 번호판에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한 쌍의 띠(20A,20B)와,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어 차량의 본닛을 지나 차량의 리어트렁크 또는 뒷번호판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띠(30A,30B)와,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짧은 밴드(40A,40B) 선단 각각에는 고무패드(41)를 개재한 클립(4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출원번호 20-2000-001370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애경사용 차량의 장식구는 집게가 장착된 장식구를 사용하였으며 클립에 길이조절장치가 없어 애경사용 장식 차량에 장식구를 설치할 경우 본넷트 길이에 따라서 장식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애경사용 차량 장식구는 클립의 내부에 고무패킹 또는 고무덮개가 없어 클립을 걸어서 장식차량의 본넷트에 고정하는 경우 본넷트 연단에 흠집이 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철심이 장착된 장식구 이면에 스폰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장식구를 설치할 경우 본넷트에 흠집이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본체의 상,하측에 철심이 장착되어 있어 장례 차량에 설치후 운전중 바람이 심하게 불면 본체가 펄럭거리며 본넷트와 철심이 부딪치며 소리가 나게 되어 운전에 방해가 되며 본넷트와 철심이 부딪쳐 본넷트에 흠집이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제용 차량 장식구를 손쉽게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장제용 차량장식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제용 차량 장식구를 차량의 본넷트에 설치시 클립과 철심을 사용하지 않고 고무자석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여 본넷트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제용 차량장식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철심이 없어 장제용 차량 장식구를 차량에 설치시 다루기 편리한 이점이 있는 장제용 차량장식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제용 차량 장식구의 본체 양측 띠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기도하는 손의 무늬 모양을 넣어 고인의 명복을 비는 장례 차량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장제용 차량장식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장제용 차량을 장식하기 위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본넷트 중앙에 부착되며 전면 중앙 사각형 부분에는 종교에 따라 십자가나 만(卍)자와 같은 다양한 문자나 도형을 넣는 표시부를 이룬 직물지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과 양측에는 각각 매입하여 봉제한 고무자석과,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판재와 고무자석을 매입하여 봉제하고, 상기 본체의 하측 부분에 고정되게 양측의 띠를 각각 재봉한 봉제선을 이루며, 상기 양측 띠의 하측은 차량의 전방 범퍼에 양측 띠의 상측은 차량의 후방 범퍼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도면중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장제용 차량 장식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과 도 6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영전을 모시고 장례행렬의 선두에서 출발하는 차량의 본넷트에 본체를 부착하고 양측 띠를 차량의 전후 범퍼에 고정시켜 장례 차량의 행렬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제용 차량을 장식하기 위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100)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본넷트 중앙에 부착되며 전면 중앙 사각형 부분에는 종교에 따라 십자가나 만(卍)자와 같은 다양한 문자나 도형을 넣는 표시부(102)를 이룬 직물지의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상측과 양측에는 각각 매입하여 봉제한 고무자석(105,106,107)과, 상기 본체(101)의 하측에는 판재(103)와 고무자석(104)을 매입하여 봉제하고, 상기 본체(101)의 하측 부분에 고정되게 양측의 띠(108,109)를 각각 재봉한 봉제선(110)을 이루며, 상기 양측 띠(108,109)의 하측은 차량의 전방 범퍼에 양측 띠의 상측은 차량의 후방 범퍼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1)의 하측에 매입하여 봉제한 판재(103)는 대나무판재 또는 나무판재로 된 것이다.
상기 본체(101)에 매입하여 봉제한 고무자석(104,105)은 두께가 1-2mm이고 폭이 15-20mm이며 길이가 450-500mm로 된 것이고, 고무자석(106,107)은 두께가 1-2mm이고 폭이 15-20mm이며 길이가 700-900mm로 된 것이다.
상기 본체(101)의 양측 띠(108,109)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기도하는 손의 무늬(111)를 넣어 고인의 명복을 비는 장례 차량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상에서 생략된 양측 띠(108,109)의 길이(h)는 2200-2500mm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장제용 선두 차량에 장식하기 먼저 종교에 따라 십자가나 만(卍)자와 같은 다양한 문자나 도형을 넣은 표시부(102)가 있는 본체(101)를 차량의 본넷트 중앙에 똑바로 올려 놓으면 본체(101)의 상,하 좌,우에 매입되어 봉제된 고무자석(104,105,106,107)이 본넷트에 밀착되게 부착된다.
이때, 본넷트에 부착된 본체(101)의 표시부(102)가 눈에 잘 띠게 드러난다. 이후 본체(101)의 하측 부분에 고정되게 양측의 띠(108,109)를 각각 재봉한 봉제선(110)을 이룬 양측의 띠(108,109)의 하측을 팽팽히 잡아당기면서 차량 전방의 범퍼에 묶어서 고정한다.
그리고 양측 띠(108,109)의 상측을 팽팽히 잡아당기면서 차량 지붕을 통해 후방의 범퍼에 묶어서 고정한다.
이때 양측 띠(108.109)는 사용자로 하여금 일자로 하여 묶을 수도 있고 대각선으로 하여 묶을 수도 있다.
이후, 본체(101)의 전면에 인쇄된 표시부(102)에 의해 다른 차량과 사람들이 쉽게 인식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본체(101)의 양측 띠(108,109)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기도하는 손의 무늬(111)에 의해 고인의 명복을 비는 장례 차량임을 인식하기가 용이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망자의 영전을 모시고 장례행렬의 선두에서 출발하는 차량을 외부에 설치되는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의해 외부에서 장례 차량 행렬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는 것입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제용 차량 장식구를 손쉽게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를 차량의 본넷트에 설치시 클립과 철심을 사용하지 않고 고무자석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여 차량의 본넷트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에 철심이 없어 장제용 차량 장식구를 차량에 설치시 다루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의 본체 양측 띠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기도하는 손의 무늬 모양을 넣어 고인의 명복을 비는 장례 차량임을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장제용 차량을 장식하기 위한 장제용 차량 장식구(100)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본넷트 중앙에 부착되며 전면 중앙 사각형 부분에는 종교에 따라 십자가나 만(卍)자와 같은 다양한 문자나 도형을 넣는 표시부(102)를 이룬 직물지의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상측과 양측에는 각각 매입하여 봉제한 고무자석(105,106,107)과, 상기 본체(101)의 하측에는 판재(103)와 고무자석(104)을 매입하여 봉제하고, 상기 본체(101)의 하측 부분에 고정되게 양측의 띠(108,109)를 각각 재봉한 봉제선(110)을 이루며, 상기 양측 띠(108,109)의 하측은 차량의 전방 범퍼에 양측 띠의 상측은 차량의 후방 범퍼에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기 본체(101)의 하측에 매입하여 봉제한 판재(103)는 대나무판재이며, 상기 본체(101)에 매입하여 봉제한 고무자석(104,105)은 두께가 1-2mm이고 폭이 15-20mm이며 길이가 450-500mm로 된 것이고, 상기 고무자석(106,107)은 두께가 1-2mm이고 폭이 15-20mm이며 길이가 700-900mm로 된 것이며, 상기 본체(101)의 양측 띠(108,109)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기도하는 손의 무늬(111)를 넣어 고인의 명복을 비는 장례 차량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제용 차량 장식구.
KR2020070010360U 2007-06-25 2007-06-25 장제용 차량 장식구 KR200437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360U KR200437379Y1 (ko) 2007-06-25 2007-06-25 장제용 차량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360U KR200437379Y1 (ko) 2007-06-25 2007-06-25 장제용 차량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379Y1 true KR200437379Y1 (ko) 2007-11-27

Family

ID=4163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360U KR200437379Y1 (ko) 2007-06-25 2007-06-25 장제용 차량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3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802A (en) Table cover system
US7264299B2 (en) Vehicle hood cover
US20070051285A1 (en) Semi-Custom Table Covering
US6669233B2 (en) Bodily-injury protective system of pillows located within a vehicle
KR200437379Y1 (ko) 장제용 차량 장식구
US8084115B2 (en) Removable sheat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38178Y1 (ko) 장제용 차량 장식구
US20100239791A1 (en) Protective and decorative ornament for a vehicle
US20060000135A1 (en) Decorative assembly for decorating a thin panel display screen
US6412150B1 (en) Fastening device
EP1217913A1 (en) Concealed attaching clip for headwear
KR20180035558A (ko)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핸드백
KR200424183Y1 (ko) 휴대폰 액정클렌져
US20140087096A1 (en) Novel Covering for a Swan Hood Ornament
WO2008064609A1 (fr) Habillement de véhicule
JP3877715B2 (ja) バンパー傷付き防止カバー
JP3069576U (ja) ペット用首部装飾具
KR950007259Y1 (ko) 핸드백
JPS60197429A (ja) ボンネツトカバ−
KR200401550Y1 (ko) 애경사용 차량의 장식구
KR20140004771U (ko) 선택적으로 탈, 부착이 가능한 장례식 영구차용 장식구
JP3136111U (ja) 装身具
KR20090002851U (ko) 장의차량용 꽃장식 커버
KR200393131Y1 (ko) 장례식용 영구차의 장식장치
KR200374248Y1 (ko)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110

Effective date: 2009113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