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248Y1 -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 Google Patents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248Y1
KR200374248Y1 KR20-2004-0031037U KR20040031037U KR200374248Y1 KR 200374248 Y1 KR200374248 Y1 KR 200374248Y1 KR 20040031037 U KR20040031037 U KR 20040031037U KR 200374248 Y1 KR200374248 Y1 KR 200374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hicle
decorative plate
decorativ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일 filed Critical 김광일
Priority to KR20-2004-0031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경사에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설치되는 애경사용 차량의 띠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면에 근조 또는 화혼 등의 문자를 표기하는 표식부를 가지며, 그 둘레에는 장식 문양을 가지며 그 내측으로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구멍이 복수 천공된 장식판;
상기 장식판의 상부에 양측으로 V자형으로 부착 설치된 일정 길이의 띠지;
상기 장식판의 하부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환형 고리를 부착 설치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바람직하게 장식판의 배면에는 상기 띠지와 고리를 간단히 설치하기 위한 각각의 절결공을 형성한 덧판을 부착해서 형성한다.

Description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Band decorating device for a sorrowful or happy event}
본 고안은 사람이 사망하여 장의 절차에서 장지로 망자의 시신을 옮길 때, 빈소에 모셨던 망자의 영전을 모시고 장례행렬의 선두에서 진행하는 차량 또는 그행렬에 동참하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애사나 또는 결혼식에서 신랑 신부가 타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사에 사용되는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망자 생전의 종교 또는 예의를 갖추는 표장이나 문양 등을 표현하거나 결혼식 등과 같은 경축 분위기를 표현하면서도 주변에서 장례 또는 신혼부부의 차량 행렬인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애경사용 차량의 띠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게 되면 사망한 장소에 빈소를 차리고 장례의 예를 갖추고, 통상 3일째 되는 날, 시신은 영구차량(통상 버스를 개조하여 형성됨)에 모시고 빈소에서 사용되었던 망자의 사진, 즉 영전은 승용차의 조수석에서 망자의 집안 사람이 모시게 된다. 이렇게 된 장례행렬은 장지로 가기 위해 통상 일렬의 행렬로 이동하게 되는데 영전을 모신 승용차가 선두 차량이 되고 그 뒤에 영구차량과 장지로 함께 가는 차량이 무리를 지어 행렬하게 된다.
이때 고인의 명복을 비는 의미에서 선두 차량에는 도 1a에서와 같이 검은색과 흰색의 조의 표시 띠지(200)를 선두 차량의 전방 번호 판에서 후드를 지나 윈드실드글라스와 루프를 지나 트렁크 리드의 안쪽에서 양쪽 띠를 매듭지어 트렁크 리드를 닫아서 고정시켜 준다. 즉, 평면적으로 볼 때 이 두 띠지는 차량의 정면 번호판에서 V형으로 설치된다.
또 도 1b에서와 같이 설치 할 수도 있는데, 검은색과 흰색의 조의 표시 띠지(200)를 선두 차량의 전방 본닛을 열어서 양쪽에 물려서 본 닛을 닫아 고정하고, 후드를 지나 윈드실드글라스와 루프를 지나 트렁크 리드의 안쪽에서 양쪽 띠지를 매듭지어 트렁크 리드를 닫아서 고정시켜 준다. 즉, 평면적으로 볼 때 이 두 띠지는 X 자형으로 교차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이는 두 띠가 윈드실드글라스에서는 각각 운전자와 조수석의 센타를 지나가기 때문에 영전을 모신 사람은 물론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안전운전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중요하게는 요즘에는 본닛의 후드 상면에도 표식을 하게 되는데, 개략 70mm 정도 되는 띠 폭에 의해 그 표식이 가려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외관에 장애로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선두 차량에 두 띠를 장착함에 따라 그 식별성이 부각되지 못하고, 그러면서 운전자와 영전을 든 조수석의 시계 장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혼한 신혼부부가 신혼여행지로 가기 위한 차량의 장식에 있어서 보통 신랑, 신부의 친구들이 급조하여 차량을 장식하므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중 장식물이 이탈되어 주변 차량의 운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애사에서 선두 차량의 망자에 대한 예의를 갖추기에 충분하면서 식별성이 양호한 장식구를 운전자는 물론 조수석의 영전을 모신 사람도 시계 장애없이 승용차의 종류와 후드에 설치되는 엠블렘 등과 같은 설치물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설치 사용되게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사에서도 깔끔한 장식처리를 이루어 주행중 장식물이 이탈되어 도로 교통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애경사를 위해 차량을 장식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전면에 근조 또는 화혼 등의 문자를 표기하는 표식부를 가지며, 그 둘레에는 장식 문양을 가지며 그 내측으로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구멍이 복수 천공된 장식판;
상기 장식판의 상부에 양측으로 V자형으로 부착 설치된 일정 길이의 띠지;
상기 장식판의 하부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환형 고리를 부착 설치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바람직하게 장식판의 배면에는 상기 띠지와 고리를 간단히 설치하기 위한 각각의 절결공을 형성한 덧판을 부착해서 형성한다.
물론 이 절결공은 장식판에 직접 형성하여 구성 할 수도 있으나, 외관의 미려함에 장애 요소가 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생산 단가의 저렴화를 위해서 실시 가능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띠 장식구가 설치 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배면도, 도 3c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장식판 11: 표식부
12: 문양 13: 구멍
14: 덧판 21, 31: 절결공
20: 띠지 30: 고리
이하에서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배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배면도, 도 3c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애경사를 위해 차량을 장식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전면에 근조 또는 화혼 등의 문자를 표기하는 표식부(11)를 가진다.
이 표식부는 근조 화혼의 문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종교 표식이나 고인의 사진 등이 표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표식부(11)의 둘레에는 예컨데 국화 꽃잎 등의 문양(12)을 가지며 그 내측으로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구멍(13)이 복수 천공된 장식판(10)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장식판(10)의 문양(12)은 미적인 상징의 표현 물로써 기능 하는 것으로, 꼭 국화 꽃잎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문양의 표현이 자유로울 것이다. 이때 이 장식판(10)은 경질의 종이 재로 형성 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 사출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이것이 목판 재로 형성된다 하여도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 날 수는 없을 것이다.
한편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S는 장식판(10)에 덧판(14)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이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장식판(10)의 상부에 양측으로 V자형으로 부착 설치된 일정 길이의 띠지(20)와, 상기 장식판(10)의 하부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환형 고리(30)를 부착 설치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띠지를 V 자형으로 부착한 이유는 설치되면서 차량의 양측으로 균형 있게 띠지를 두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환형 고리(30)는 장례식장에서 설치가 간편하게 하기 위해 환형의 고리롤 구성한 것이며, 바람직하게 이 고리는 투명재로 된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기존 와이어 중에서 투명 낙시줄이 적당하다.
한편 이 고리(30)는 투명의 탄력 있는 고무줄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다양한 종류로 인한 본닛부의 길이에도 적절히 설치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개략 이 고리(30)와 장식판(10) 및 띠지(20)의 전체 길이는 약 7m 내외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고리의 길이가 약 1m 내외이고, 따지가 약 6m 내외의 길이이며, 장식판은 직경 약 10cm 정도로 형성한다.
이는 바람의 저항에 의한 요동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더하여 구멍(13)을 갖는 것이다.
상기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장식판(10)의 배면에는 상기 띠지(20)와 고리(30)를 간단히 설치하기 위한 각각의 절결공(21,31)을 형성한 덧판(14)을 부착해서 형성한다.
물론 이 절결공(21,31)은 장식판(10)에 직접 형성하여 구성 할 수도 있으나, 외관의 미려함에 장애 요소가 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생산 단가의 저렴화를 위해서 실시 가능 할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치 순서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아의 띠지(20)는 두루말이 형태로 말아져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무밴드나 테이프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고리(30)를 차량의 전면 번호판의 하부에 걸어서 위로 당겨 올린 후, 각각의 띠지(20) 두루마리 풀면서 차량의 상부와 후방으로 설치하면 되는것으로, 고리(30)가 차량의 전면 번호판에서 부터 차량의 본닛 전방 일부에 닿은 상태에서 후방에는 본 닛으로 부터 떨어져서 장식판(20)이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고 그로 부터 연장되는 띠지(20)가 프론트실드의 상부 및 루프와 리어글라스를 지나고, 트렁크 리드 상면을 지나 차량의 뒷번호판의 고정부위를 이용하여 묶어서 고정하거나 종래의 경우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 리드를 열어서 양 쪽 띠지(20)를 매듭지어 묶은 후 트렁크 리드를 닫음으로써 설치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식판(10)은 허공에 매달린 상태로 그 장식 효과를 배가하며 그 크기가 비교적 작으며 바람 저항을 감쇄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13)에 의해 운행 중 바람의 저항을 받지 않으며, 특히 고리(30)는 투명으로 형성되어 눈에 띄지 않아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의 시야에 장애가 전혀 없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본닛에 장식천(100)을 씌우는 경우에 있어서도 고리(30)가 투명의 가는 줄이어서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띠지(200)가 장식천(100)을 가림은 물론 차량의 전방 윈드실드의 상당 부분도 가리게 되어 시야를 방해하는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사람이 사망했을 때 장례절차에서 장지로 망자의 시신을 옮길 때 빈소에 모셨던 망자의 영전을 모시고 장례행렬의 선두에서 진행하는 차량 또는 이를 따르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장식구를 제공함으로써 망자 생전의 종교 또는 예의를 갖추는 표장이나 문양 등을 표현하면서도 외부에서 장례 차량 행렬인 것을 쉽게 알 수 있게 함에 있어서 띠지에 의한 시계 장애는 물론 본 닛에 설치되는 장식천의 가림 현상이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애경사를 위해 차량을 장식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전면에 근조 또는 화혼 등의 문자를 표기하는 표식부(11)를 가지며, 그 둘레에는 장식 문양(12)을 가지며 그 내측으로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구멍(13)이 복수 천공된 장식판(10);
    상기 장식판의 상부에 양측으로 V자형으로 부착 설치된 일정 길이의 띠지(20);
    상기 장식판의 하부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환형 고리(30)를 부착 설치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에 상기 띠지와 고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각의 띠지와 고리가 결합될 절결공(21,31)을 형성한 덧판(14)을 상기 장식판(10)의 배면에 부착 고정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고리는 투명의 탄성 고무줄인 것을 특징으로 한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KR20-2004-0031037U 2004-11-03 2004-11-03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KR200374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037U KR200374248Y1 (ko) 2004-11-03 2004-11-03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037U KR200374248Y1 (ko) 2004-11-03 2004-11-03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248Y1 true KR200374248Y1 (ko) 2005-01-27

Family

ID=4944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037U KR200374248Y1 (ko) 2004-11-03 2004-11-03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2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7245A1 (en) Headband with reversible cover
US20090241241A1 (en) Configurable headgear
KR200374248Y1 (ko) 애경사용 띠지 장식구
US4916584A (en) Display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brake light in the rear window of an automobile
JP3227826U (ja) 装飾付きマスク
KR200206201Y1 (ko) 애경사용 차량의 장식구
KR200377812Y1 (ko) 애경사용 차량 장식구
US20190059492A1 (en) Convertible cap band
KR200401550Y1 (ko) 애경사용 차량의 장식구
KR200181568Y1 (ko) 장제용 차량의 장식구
KR20080001045U (ko) 장례 선두 차량용 장식띠
US20050073168A1 (en) Visor gap shade
KR100907838B1 (ko) 애경사 차량 장식구용 고정클립의 구조
KR100829703B1 (ko) 장례 선두차용 장식용품
KR200275116Y1 (ko) 경조사 차량용 장식
US20090266855A1 (en) Vehicle Visor Band
KR19990033662U (ko) 장제용선두차량의장식커버
KR200219345Y1 (ko) 장제용 선두차량의 장식 커버
KR200288275Y1 (ko) 영구차용 장식구
US20100084844A1 (en) Windshield washer nozzle cover
KR200201501Y1 (ko) 장식구가 구비되는 모자
KR200496672Y1 (ko) 스카프 일체형 기능성 모자
JP3083626U (ja) 封印カバー
CN106418925B (zh) 陪葬用装饰品
KR200437379Y1 (ko) 장제용 차량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