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32Y1 -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 Google Patents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32Y1
KR200437232Y1 KR2020070007230U KR20070007230U KR200437232Y1 KR 200437232 Y1 KR200437232 Y1 KR 200437232Y1 KR 2020070007230 U KR2020070007230 U KR 2020070007230U KR 20070007230 U KR20070007230 U KR 20070007230U KR 200437232 Y1 KR200437232 Y1 KR 200437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case
lower case
coupled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이우범
엄성기
Original Assignee
혜성 테크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성 테크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혜성 테크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7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32Y1/ko
Priority to US11/969,369 priority patent/US20080272895A1/en
Priority to CNU2008200007176U priority patent/CN201166971Y/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electromagnetic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타원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음향 공명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판의 진동폭이 증가되어 높은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는 단자삽입홈을 갖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된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에 있어서, 상기 단자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면의 외측을 따라 일정높이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의 양측으로 인출홈이 형성되는 타원 또는 사각형상의 마그네트;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면 중심부에 자편이 결합되는 타원 또는 사각형상의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원형, 사각형, 음향 공명 체적, 마그네트, 진동판

Description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Magnetic Buzzer of Slim Typ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틱 부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 하부케이스 11,51 : 수용부
12,52 : 지지턱 13,53 : 요크삽입홈
14,54 : 납땜홈 15,55 : 단자삽입홈
17,57 : 단자 20,21 : 요크
22,23 : 베이스 24,25 : 돌출부
26,27 : 코일 30,31 : 마그네트
32,33 : 지지부 36,37 : 인출홈
38,39 : 진동판 38',39' : 자편
40,41 : 상부케이스 100 :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본 고안은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타원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음향 공명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판의 진동폭이 증가되어 높은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산업의 급격한 발전과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휴대전화, WAP 폰, PDA, 웹 패드 등과 같은 각종 통신용 단말기가 경량화와 소형화로 되어가는 추세이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 내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들 역시 경량화 및 소형화되고 있다.
통신용 단말기에는 착호의 발생을 신호음 또는 진동으로 경보하기 위한 부저가 채용된다.
그 휴대통신단말이 점차적으로 소형화되어짐에 따라 그 부저에 대해서도 경박소형화를 위한 설계가 진행되는 상황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틱 부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통상의 마그네틱 부저는 사각형상의 하부케이스(1)가 구비되고, 하부케이스(1)의 상면 중심부에 원형의 수용부(2)가 형성되며, 하부케이스(1)의 외부 양측에는 통신용 단말기의 PCB기판 상에 온-칩 납땜을 위한 두 쌍의 단자(3)가 결합되고, 하부케이스(1)의 수용부(2)의 중앙에는 요크(4)가 수용된다.
또한, 요크(4)의 외측에 코일(5)이 권취되고, 코일(5)의 외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환 형상 마그네트(6)가 수용부(2)에 수용되며, 마그네트(6)의 상면에는 외부적으로 전달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하는 진동판(7)이 안착된다. 하부케이스(1)의 상부에는 음향방출공(9)이 형성된 상부케이스(8)가 결합된다.
그런데, 통상의 마그네틱 부저는 원형으로 형성된 수용부에 요크와 코일 및 원형으로 형성된 마그네트 및 진동판이 수용되므로 음향 공명 체적을 확보할 수 없어 높은 음향을 낼 수 없다. 또한, 하부케이스의 양측으로 두 쌍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Surface Mount Technology) 실장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타원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음향 공명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판의 진동폭이 증가되어 높은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단자의 폭을 증가시켜 SMT(Surface Mount Technology) 실장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는 단자삽입홈을 갖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단자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면의 외측을 따라 일정높이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의 양측으로 인출홈이 형성되는 타원 또는 사각형상의 마그네트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면 중심부에 자편이 결합되는 타원 또는 사각형상의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상의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면 중심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삽입되도록 타원 또는 사각형상으로 함입 형성되되 상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가 지지되는 지지턱이 내주면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는 상기 요크가 삽입되는 요크삽입홈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으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납땜홈; 및
길이 방향의 하부 양측으로 상기 납땜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단자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100)는 하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0) 내에 수용되는 요크(20)와, 코일(26), 마그네트(30), 진동판(38)과 하부케이스(10)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단자(17) 및 하부케이스(10)와 결합되는 상부케이스(40)로 구성된다.
하부케이스(10)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되며, 그 상면 중심부에 타원형상의 수용부(11)가 함입 형성된다. 수용부(11)의 내측면에는 지지턱(12)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수용부(11)의 내부 저면에는 요크삽입홈(13)이 형성되며, 수용부(11)의 양측에는 납땜홈(14)이 수용부(11)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케이스(10)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단자삽입홈(15)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삽입홈(15)은 납땜홈(14)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삽입홈(15)에는 전원 및 신호가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17)가 각각 삽입되는데 이러한 단자(17)는 납땜홈(14)까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자삽입홈(15)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0)의 양측면에는 단자삽입홈(15)에 삽입되는 단자(17)가 구부러져 결착되는 단자결착홈(19)이 형성될 수 있다.
요크(20)는 수용부(11)에 형성된 요크삽입홈(13)에 삽입되는 베이스(22)와 베이스(22)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원주형상의 돌출부(24)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요크(20)는 자성을 띠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요크(20)의 돌출부(24)에는 코일(26)이 권취된다. 이때, 코일(26)은 환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돌출부(24)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트(30)는 하부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다. 이때, 마그네트 (30)의 외주면은 수용부(11)와 같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타원 형상의 관통부(34)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부(34)의 내부에는 요크(20)의 돌출부(24)와 돌출부(24)에 권취되는 코일(26)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마그네트(30)의 상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높이로 지지부(32)가 돌출 형성되며, 하면에는 납땜홈(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출홈(3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코일(26)의 일단부가 인출홈(36)을 통하여 납땜홈(14)으로 인출되어 단자(17)와 연결된다.
진동판(38)은 음압을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박막으로 형성되며, 마그네트(3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부(32)에 결합된다. 이때, 진동판(38)은 마그네트(3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인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 또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판(38)의 상면 중심부에 자편(38')이 결합 고정된다. 이때, 자편(38')은 자성을 띠는 금속재질로서 원판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편(38')은 코일(26)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진동판(38')을 진동시킨다.
상부케이스(40)는 중심부에 음향방출공(42)이 관통 형성되고, 하부케이스(10)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케이스(40)는 그 외주면이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수용부(11)의 지지턱(1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케이스(40)의 외부면도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10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스(50)는 상면 중심부에 사각형상의 수용부(51)가 함입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부(51)의 내측에는 지지턱(52)과 요크삽입홈(53)이 형성되며, 수용부(51)의 양측에는 납땜홈(54)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케이스(50)의 하부 양측에는 단자삽입홈(55)이 형성되며, 이러한 단자삽입홈(55)에는 한 쌍의 단자(57)가 각각 삽입된다.
요크(21)는 수용부(51)에 형성된 요크삽입홈(53)에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23)와 베이스(23)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돌출부(25)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돌출부(25)에는 코일(27)이 권취된다.
마그네트(31)는 외부면이 수용부(51)와 같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사각형상의 관통부(35)가 형성된다. 또한, 마그네트(31)의 상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높이로 지지부(33)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납땜홈(54)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출홈(37)이 형성된다.
진동판(39)은 마그네트(31)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부(33)에 결합되며, 마그네트(31)의 외부면과 동일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판(39)의 상면 중심부에 자편(39')이 결합 고정된다. 이때, 자편(39')은 자성을 띠는 금속재질로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41)는 중심부에 음향방출공(42)이 관통 형성되며, 그 외주면이 하부케이스(50)에 형성된 지지턱(5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케이스(41)의 외부면도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의 작용 및 효과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측으로 단자(17)가 결합된 하부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요크(20)가 삽입된다. 이때, 요크(20)의 베이스(22)가 수용부(11)의 저면에 형성된 요크삽입홈(13)에 삽입된다.
이후, 마그네트(30)가 수용부(11)의 내부면을 따라 삽입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30)가 요크(20)의 베이스(22)를 지지하게 된다.
요크(20)의 돌출부(24)에 환 형상의 코일(26)을 끼운다. 이때, 코일(26)의 양단부는 인출홈(36)을 통하여 납땜홈(14)으로 인출되고, 납땜홈(14)의 내부에서 단자(17)와 납땜된다.
진동판(38)의 상면 중심부에 자편(38')을 고정 결합하고, 진동판(38)을 마그네트(30)의 지지부(32)에 결합한 후 상부케이스(40)를 하부케이스(10)에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된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PMP, DMB 등과 같은 휴대 디지털 기기의 내부에 실장되는 PCB(인쇄회로기판)(50)에 결합된다. 이때, 단자(17)는 각각 상부케이스(40)를 향하여 구부려져 단자결착홈(19)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100)가 PCB(50)에 결합될 때 납땜의 면적이 증가되어 전원 및 신호의 전달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결합력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PCB(50)에 결합된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100)는 단자(17)를 통하여 코일(26)에 전원이 인가되고, 코일(26)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요크(20)가 순간적으로 전자석이 된다. 이에 따라, 진동판(38)의 상면에 결합된 자편(38')이 요크(20)에서 발생된 자성에 의해 요크(20) 쪽으로 당겨지고, 코일(26)에 전원이 차단되면 진동판(38)의 탄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진동판(38)의 진동으로 인해 음향이 발생되고, 상부케이스(40)의 음향방출공(41)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마그네트(30) 및 진동판(38)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음향 공명 체적을 증가되고, 이에 따라 진동판(38)의 진동폭이 증가되어 고음향을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은 고안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실시되는 설계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타원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음향 공명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판의 진동폭이 증가되어 높은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단자의 폭을 증가시켜 SMT 실장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단자삽입홈을 갖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단자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면의 외측을 따라 일정높이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의 양측으로 인출홈이 형성되는 타원 또는 사각형상의 마그네트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면 중심부에 자편이 결합되는 타원 또는 사각형상의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상의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면 중심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삽입되도록 타원 또는 사각형상으로 함입 형성되되 상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가 지지되는 지지턱이 내주면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는 상기 요크가 삽입되는 요크삽입홈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으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납땜홈; 및
    길이 방향의 하부 양측으로 상기 납땜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단자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KR2020070007230U 2007-05-02 2007-05-02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KR200437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30U KR200437232Y1 (ko) 2007-05-02 2007-05-02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US11/969,369 US20080272895A1 (en) 2007-05-02 2008-01-04 Slim-Type Magnetic Buzzer
CNU2008200007176U CN201166971Y (zh) 2007-05-02 2008-01-18 轻巧型电磁蜂鸣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30U KR200437232Y1 (ko) 2007-05-02 2007-05-02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32Y1 true KR200437232Y1 (ko) 2007-11-15

Family

ID=3993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230U KR200437232Y1 (ko) 2007-05-02 2007-05-02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72895A1 (ko)
KR (1) KR200437232Y1 (ko)
CN (1) CN201166971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9220B2 (en) 2012-07-10 2015-11-03 Google Inc. Life safety device with folded resonant cavity for low frequency alarm tones
US8810426B1 (en) * 2013-04-28 2014-08-19 Gary Jay Morris Life safety device with compact circumferential acoustic resonator
CN103236843B (zh) * 2013-05-08 2015-09-02 杭州百事特电子有限公司 一种脉冲波形驱动器及电磁式蜂鸣器
CN104505082A (zh) * 2014-11-28 2015-04-08 常州超音电子有限公司 用于蜂鸣器的防虫外壳
CN104505083A (zh) * 2014-11-28 2015-04-08 常州超音电子有限公司 用于蜂鸣器的发光外壳
CN107621875A (zh) * 2017-09-04 2018-01-23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151B2 (ja) * 1998-04-24 2003-02-04 株式会社シチズン電子 電磁型発音体
TW550873B (en) * 1999-05-17 2003-09-01 Nec Tokin Corp Electrodynamic type of vibration actua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850138B1 (en) * 1999-12-02 2005-02-01 Nec Tokin Corporation Vibration actuator having an elastic member between a suspension plate and a magnetic circuit device
JP4251515B2 (ja) * 2000-04-24 2009-04-0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電磁型発音体
AU2003297613A1 (en) * 2002-12-06 2004-06-30 Roger Adelman Improved efficiency audible al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166971Y (zh) 2008-12-17
US20080272895A1 (en)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232Y1 (ko) 슬림형 마그네틱 부저
US20140035397A1 (en) Vibration actuator
US10341779B2 (en) Miniature sounding device
JP2007174234A (ja) スピーカー装置用振動板及びスピーカー装置並びに携帯電話機
CN110220587B (zh) 四角垂直振动受感器
JP2005260561A (ja) スピーカー
US6023518A (en)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or
US10764686B2 (en) Speaker
KR100417015B1 (ko) 전자 장치용 스피커
KR101812112B1 (ko) 스피커 유닛
KR100417018B1 (ko) 전자석 음향 발생기
US6845168B2 (en) Speaker for an electronic instrument
KR20130031528A (ko) 선형 진동모터
KR101821579B1 (ko) 스피커 유닛
JP2004177624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0432615B1 (ko) 타원형 스피커
KR101727428B1 (ko)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KR100711298B1 (ko) 초박형 마이크로스피커
JP2002263573A (ja)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電話等を含む携帯用情報機器
KR10045392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플랫패널 스피커
KR200276560Y1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2259071B1 (ko) 선형 진동기
KR20130042758A (ko) 보이스 코일 모터
CN201282550Y (zh) 微型发声器件
KR200290556Y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전자제품과 다목적 부저와의 전기적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