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071B1 - 선형 진동기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071B1
KR102259071B1 KR1020140194078A KR20140194078A KR102259071B1 KR 102259071 B1 KR102259071 B1 KR 102259071B1 KR 1020140194078 A KR1020140194078 A KR 1020140194078A KR 20140194078 A KR20140194078 A KR 20140194078A KR 102259071 B1 KR102259071 B1 KR 10225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vibrator
attachment surface
pcb
hous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808A (ko
Inventor
양해준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9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0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기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측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기{LINEAR VIBRA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 타인에게 외부 음향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선형 진동장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선형 진동장치는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신호 발생장치로 이용되는데, 최근 휴대전화의 소형화, 슬림화되는 추세에서 그에 장착되는 선형 진동장치 또한 소형화, 고기능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휴대전화와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착신수단 중 하나인 선형 진동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써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 및 모바일폰의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부각되는 추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부품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선형 진동장치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나날이 그 성능 및 기술이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US 2005-018460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누설자속을 감소시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형 진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측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를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홀더 및 브라켓의 다른 예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코일 및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는 고정부(110)와, 진동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는 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선형 진동기(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부(110)는 하우징(111)과, 코일(113)과, 가이드축(114) 및 터미널(115)을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하우징(111)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진동부(120)가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113) 및 가이드축(114)이 내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은 내측면은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터미널(115)이 하우징(111)의 내,외측을 관통하도록 하우징(11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본체(111a) 및 브라켓(11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1a)는 일측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하는 수용부(111a-2)가 형성되고, 브라켓(111b)은 본체(111a)의 개구된 일측을 덮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브라켓(111b)은 예를 들어 터미널(115)이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111a)의 개구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체(111a)는 예를 들어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사각 모서리는 모따기 또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11a-2)는 예를 들어 원기둥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코일(113)은 하우징(111)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외부 기기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마그네트(121)와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코일(113)은 일례로 원통형 형태로 권취되어 하우징(111)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113)은 다른 예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하우징(111)의 내면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축(114)은 하우징(111)에 양단이 결합되어 진동부(12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가이드축(114)은 하우징(111)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진동부(120)가 수평왕복 운동하며 수평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의 운동방향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수직진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이드축(114)은 예를 들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가이드축(114) 형태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터미널(115)은 하우징(111)의 내,외측을 관통하도록 하우징(111)에 결합된다. 또한, 터미널(115)은 하우징(1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부(115a)에 코일(113)이 연결됨으로써, 코일(113)을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코일(113)의 단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미도시)는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6 참고)
아울러, 터미널(115)은 전체적으로 'ㄷ'형태의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의 터미널(115) 형태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터미널(115)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터미널(115) 중에서 어느 하나는 플러스(+)(VCC) 단자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마이너스(-)(GND;그라운드) 단자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터미널(115)은 각각 코일(113)의 양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터미널(115)은 일측에 하우징(1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코일(113)과 연결되는 내측부(115a)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우징(111)의 외부에 위치되어 피씨비(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115d)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부(115d)는 피씨비(10)에 접촉되는 일면에 제1 부착면(115d-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부착면(115d-1)은 피씨비(10)의 일면에 형성된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되고, 피씨비(10)와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부착면(115d-1)은 피씨비(10)의 피씨비 부착면(11)에 위치된 전원공급단자(11a)와 직접접촉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본체(111a)는 일면에 피씨비(10)에 부착되는 제2 부착면(111a-1)이 형성되어 제1 부착면(115d-1)과 제2 부착면(111a-1)이 피씨비(10)의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은 진동부(120)의 진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은 상기 피씨비(10)의 피씨비 부착면(11)에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예로,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은 평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로,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에서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의 형성 방향이 상기의 예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은 솔더(sloder)를 통해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착면(111a-1)은 일부 또는 전체가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제2 부착면(111a-1)은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착 영역(P)이 상기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은 에스엠티(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통해 피씨비(10)의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의 하우징(111')은 내측면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측에 코일(113)의 부착이 용이하고, 외측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SMD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의 두께가 증가하면서 코일(113)로 발생하는 자속의 흐름이 용이해지며, 누설자속을 감소된다. 결국 이로 인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는 피씨비(10)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에 표면실장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11) 및 터미널(115)의 일측에 실장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115)의 실장면은 상기 터미널(115)의 단부면에 형성된 제1 부착면(115d-1)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11)의 실장면은 하우징(111)의 일면에 형성된 제2 부착면(111a-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이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결국, 터미널(115)과 하우징(111)이 평면형태의 접촉부를 가진 피씨비(10)에 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어, 터미널(115)과 하우징(111)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선형 진동기(100)는 SMD(surface-mount devices) 타입의 구조에 적용 및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터미널(115)은 내측부(115a)에 코일(113)의 일측이 권취되는 권취홈(11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권취홈(115b)은 예를 들어 측면으로 개구된 'ㄷ'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권취홈(115b)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들 들어 터미널(115)의 내측부(115a)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진동부(120)는 마그네트(121)와, 중량체(124) 및 가이드 부재(125)를 포함한다. 또한, 진동부(120)는 베어링(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121)는 코일(113)과 전자기력이 작용되도록 대향 배치되도록 가이드축(114)에 장착된다.
한편, 마그네트(121)의 중앙부에 마그네트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가이드축(114)이 삽입될 수 있다.여기서, 가이드축(114)의 길이방향으로 마그네트(121)의 자기극성이 형성된다.
중량체(124)는 마그네트(121)의 측면에 위치되고, 가이드축(114)에 결합된다.
한편, 중량체(124)의 중앙부에 중량체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가이드축(114)이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5)는 가이드축(114)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25)는 예를 들어 원통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 부재(125)는 가이드축(114)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25)의 외면에 마그네트(121) 및 중량체(124)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121)에 형성된 마그네트 홀 및 중량체(124)에 형성된 홀 중량체 홀이 가이드 부재(125)에 삽입되어 가이드축(114)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의 진동부(120)는 가이드축(114)에 삽입되는 베어링(126)을 더 포함하여 진동부(120)가 가이드축(114)을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126)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진동부(120)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베어링(126)은 가이드 부재(125)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되, 중량체(124) 및 마그네트(121)의 측면과 각각 밀착되어 중량체(124) 및 마그네트(1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베어링(126)의 중앙부에 베어링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가이드축(114)이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진동부(120)의 양단에 배치되어 진동부(120)가 고정부(110)와 충돌되지 않도록 진동부(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서, 탄성부재(130)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축(114)에 삽입되어 한 쌍의 베어링(126)의 양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는 하우징(111)의 두께 증가로 자속밀도의 흐름이 원할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는 진동방향인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Force)을 측정시 25.86mNm으로 종래의 선형 진동기의 22.99mNm 보다 Force값이 12% 크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100)는 누설 자속의 감소로 성능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코일 및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형 진동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형 진동기(100)에서 하우징(111') 및 터미널(115)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하우징(111')의 본체(111a') 및 브라켓(111b')은 내부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터미널(115')의 일부를 제외한 내부 부품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111a')의 일면에 제2 부착면(111a-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부착면(115d-1') 및 제2 부착면(111a-1')은 솔더(sloder)를 통해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다.(도 5 참조) 여기서, 제2 부착면(111a-1')은 일부 또는 전체가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제2 부착면(111a-1')은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착 영역(P')이 피씨비 부착면(11)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기에서, 터미널(115')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터미널(115') 중에서 어느 하나는 플러스(+)(VCC) 단자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마이너스(-)(GND;그라운드) 단자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터미널(115')은 각각 코일(113)의 양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코일(113)은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선(113a,113b)이 연장형성되어 한 쌍의 터미널(11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코일(113)의 연결선(113a,113b)은 한 쌍의 터미널(115')에 각각 솔더를 통해 부착 및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선형 진동기 110 : 고정부
111,111' : 하우징 111a: 본체
111a-1,111a-1': 제2 부착면 111a-2: 수용부
111b,111b': 브라켓 113 : 코일
113a,113b : 연결선 114 : 가이드축
115,115': 터미널 115a: 내측부
115b: 권취홈 115d,115d': 단자부
115d-1,115d-1': 제1 부착면 120 : 진동부
121 : 마그네트 124 : 중량체
125 : 가이드 부재 126 : 베어링
130 : 탄성부재 10 : 피씨비(PCB)
11 : 피씨비 부착면 11a: 전원공급단자

Claims (19)

  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어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은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표면실장이 가능한 터미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외부 기기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코일을 상기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외부 기기는 피씨비(PCB)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일측이 상기 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피씨비에 부착 및 직접 접촉되는 제1 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일면에 상기 피씨비에 부착되는 제2 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의 일면에 상기 제1 부착면 및 상기 제2 부착면이 부착되는 피씨비 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착면 및 상기 제2 부착면은 상기 피씨비 부착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일측이 상기 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씨비에 직접 접촉되도록 굴곡부가 형성되는 선형 진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ㄷ'형태로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는 선형 진동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면은 상기 진동부의 진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선형 진동기.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으로 개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을 덮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선형 진동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각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선형 진동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진동부에 배치되는 선형 진동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배치되는 선형 진동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이드축을 더 포함하여,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되는 선형 진동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가이드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는 선형 진동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선형 진동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부가 상기 고정부와 충돌되지 않도록 상기 진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형 진동기.
KR1020140194078A 2014-12-30 2014-12-30 선형 진동기 KR10225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078A KR102259071B1 (ko) 2014-12-30 2014-12-30 선형 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078A KR102259071B1 (ko) 2014-12-30 2014-12-30 선형 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08A KR20160080808A (ko) 2016-07-08
KR102259071B1 true KR102259071B1 (ko) 2021-06-02

Family

ID=5650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078A KR102259071B1 (ko) 2014-12-30 2014-12-30 선형 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0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3725A (ja) 2004-05-19 2005-12-02 Thk Co Ltd リニア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07318859A (ja) * 2006-05-24 2007-12-06 Shinko Electric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11172428A (ja) * 2010-02-22 2011-09-01 Brother Industries Ltd 振動発電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8633B2 (en) 2004-02-23 2008-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ce frequency
WO2012002329A1 (ja) * 2010-06-30 2012-01-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3725A (ja) 2004-05-19 2005-12-02 Thk Co Ltd リニア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07318859A (ja) * 2006-05-24 2007-12-06 Shinko Electric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11172428A (ja) * 2010-02-22 2011-09-01 Brother Industries Ltd 振動発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08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9630B2 (en) Vibrating motor
KR101101506B1 (ko) 수평 진동자
US8624449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8987951B2 (en) Linear vibrator
US10170965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880337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20170012516A1 (en) Vibrating motor
US10069394B2 (en) Vibration motor
US10110106B2 (en) Vibration motor with coil and two sets of magnets for improving vibration intensity
US20140054983A1 (en) Linear vibrator
US20150214822A1 (en) Linear vibration motor
US9071909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CN209390352U (zh) 发声器件
US8742634B2 (en) Linear vibration motor
WO2021035828A1 (zh) 一种线圈内嵌套铁芯的线性马达
US20120146433A1 (en) Linear vibrator
CN107102495B (zh) 相机模组及应用该相机模组的电子装置
US10432075B2 (en) Linear motor
US11309780B2 (en) Vibration motor
US11025147B2 (en) Vibration motor
KR101022899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1078597B1 (ko) 수평 진동형 리니어 모터
KR102259071B1 (ko) 선형 진동기
KR101095155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20160028134A (ko) 컨틸레버형 진동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