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14Y1 -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 Google Patents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14Y1
KR200437214Y1 KR2020070000387U KR20070000387U KR200437214Y1 KR 200437214 Y1 KR200437214 Y1 KR 200437214Y1 KR 2020070000387 U KR2020070000387 U KR 2020070000387U KR 20070000387 U KR20070000387 U KR 20070000387U KR 200437214 Y1 KR200437214 Y1 KR 200437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push
outer cap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원순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70000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용기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취부환테를 갖는 내부캡을 구비하고, 그 내부캡의 외측에 삽입되어 푸쉬버튼과 함께 승강되는 외부캡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캡의 상측에는 별도의 푸쉬마감판을 각각 구비하여, 푸쉬버튼의 압압에 의해 상기 외부캡과 푸쉬마감판이 내부캡과 분리 상태로 상승되게 하여, 내부캡의 취부환테의 확장성에 의해 용기 선단과 분리되게 하고, 푸쉬마감판의 하향 압압에 의해 외부캡의 하강에 따른 상기 취부환테의 강제 복귀력에 의해 내부캡의 취부환테가 용기 선단의 고정환테와 서로 견고하게 취부 결합되게 함으로써,
비교적 단순한 구성만으로도 용기 선단의 밀폐 및 개방이 가능하면서도 푸쉬버튼의 압압에 의한 안전 캡의 분리 및 푸쉬마감판의 하향 압압에 의한 용기와의 긴밀한 체결상태가 이루어져 원터치 개폐구조를 실현하며, 비교적 단순한 사용법에 비하여 어린이들의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를 갖고 있어 그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면서도, 미려한 외관 및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부여하여 제품 이미지를 크게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에 대한 것이다.
용기, 안전 캡, 내부캡, 외부캡, 푸쉬버튼, 푸쉬마감판, 계지환테

Description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A safty cap of vessel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by one touch}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캡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캡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캡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캡의 결합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g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캡의 작동 및 사용예도로서,
도 5a는 용기 선단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푸쉬버튼을 가압한 상태의 단면도
도 5c는 푸쉬버튼의 가압에 의해 외부캡이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
도 5d는 용기 선단으로부터 안전 캡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5e는 용기 선단에 안전 캡을 체결하기 위한 거치 상태의 단면도
도 5f는 푸쉬마감판의 가압에 의하 외부캡이 하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g는 하향 가압에 의해 용기 선단에 안전 캡이 체결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캡 11 : 취부환테
12 : 절개부 13 : 제1언더컷
14 : 제1걸림대 15 : 제2언더컷
16 : 제2걸림대 17 : 탄성부
20 : 외부캡 21 : 내부캡수용부
22 : 확장내경부 23 : 제1삽입공
24 : 제2삽입공 25 : 스프링수용부
26 : 버튼안치부 27 : 계지편
28 : 결합언더컷 30 : 푸쉬버튼
31 : 걸림대수용홈 32 : 계지경사턱
33 : 탄성곡선대 40 : 푸쉬마감판
41 : 삽입안내부 42 : 체결돌출턱
43 : 버튼작동홈 50 : 스프링
100 : 용기 101 : 고정환테
102 : 개구부
본 고안은 각종 용기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 취부환테의 확장 및 강제 복귀에 의해 용기와의 체결 및 분리를 가능케 하는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의 확장된 취부환테를 규제하는 승강식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승강을 가능케 하는 푸쉬버튼으로 이루어진 원터치 안전 캡에 의해,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구조적인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켜며, 더욱 고급스럽고 미려한 심미감을 부여하는 특징을 갖는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안전 캡으로 사용되는 뚜껑은 주로 내캡과 외캡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상면에 걸림요홈이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외캡의 내저면에는 상기의 내캡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위치하여 내캡을 잠그거나 풀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전 캡은 용기로부터 안전 캡을 열고 닫을 때 외캡의 윗면을 눌러 상기 외캡의 내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내캡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돌려야만 개폐되는 구조이어서 아이들이 쉽게 안전 캡을 열 수 없고, 내용물의 훼손이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용기에 장착된 캡을 열 때 통상적으로 캡의 상면을 잡고 회전시키기 때문에 손아귀 힘이 있는 어린아이들은 캡을 손쉽게 열 수 있는 구조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안전 캡은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현재의 구조를 크게 벗어나지 못해 안전 캡의 고급화 실현이 불가능하였고 그로 인하여 안전 캡이 결합되는 제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일반적인 안전 캡은 대부분 나선 방식의 스크류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캡을 개방하거나 다시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노력이 요구되면서도 빠르게 열거나 닫을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며, 원터치 형식으로 된 안전 캡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원터치 안전 캡의 경우에는 과도한 구성 및 이들의 복잡한 조립 구조에 의해 고비용의 제조원가는 물론 생산성 역시 크게 떨어져 비효율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에 취부환테를 갖는 내부캡을 구비하고, 그 내부캡의 외측에 삽입되어 푸쉬버튼과 함께 승강되는 외부캡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캡의 상측에는 별도의 푸쉬마감판을 각각 구비하여, 푸쉬버튼의 압압에 의해 상기 외부캡과 푸쉬마감판이 내부캡과 분리 상태로 상승되게 하여, 내부캡의 취부환테의 확장성에 의해 용기 선단과 분리되게 하고, 푸쉬마감판의 하향 압압에 의해 외부캡의 하강에 따른 상기 취부환테의 강제 복귀력에 의해 용기 선단의 고정환테와 서로 취부 결합되게 함으로써,
비교적 단순한 구성만으로도 용기 선단의 밀폐 및 개방이 가능하면서도 푸쉬버튼의 압압에 의해 용이하게 안전 캡을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푸쉬마감판의 하향 압압만으로도 용기와의 긴밀한 체결상태가 이루어지며, 비교적 단순한 사용법에 비하여 어린이들의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를 갖고 있어 그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면서도, 미려한 외관 및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부여하여 제품 이미지를 크게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캡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캡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용기(100) 선단의 고정환테(101)와 직접 계지 및 해제되는 내측의 취부환테(11)를 갖는 내부캡(10)과;
상기 내부캡(10)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부 양측에 푸쉬버튼(30)이 결합된 외부캡(20)과;
상기 외부캡(20)의 상부에 체결되는 푸쉬마감판(40)으로 각각 구성되어,
내부캡(10)에 설치된 푸쉬버튼(30)의 압압에 의해 상기 외부캡(20)과 푸쉬마감판(40)이 스프링(50) 반력에 의해 내부캡(10)으로부터 분리 상승되게 구성하고,
상기 외부캡(20)의 상승에 의해 내부캡(10)의 취부환테(11)가 외측으로 전개 가능함에 따라 용기(100)와의 취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외부캡(20)과 그 내부캡(10)이 용기(100)의 선단으로부터 분리되게 구성하며,
푸쉬마감캡(40)의 하향 압압에 의해 외부캡(20)이 용기(100)를 향하여 하강되고, 외부캡(20)의 하강에 의한 내부 간섭에 의해 내부캡(10)의 취부환테(11)가 용기(100)의 고정환테(101)와 취부되어 서로 결속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기 내부캡(10)은, 수직의 절개부(12)에 의해 분할 형성된 취부환테(11)가 하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중심부로부터 외측에 위치한 방사상의 제1걸림대(14)와 그 내측에 위치한 방사상의 제2걸림대(16)가 형성되고,
외부캡(20)은, 하부에 내부캡수용부(21)와 하단의 확장내경부(22) 및 방사상으로 관통된 외측의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버튼안치부(26)와 상향 돌출된 스프링수용부(25)가 형성되며,
푸쉬버튼(30)은, 하부의 걸림대수용홈(31)과 일측의 탄성곡선대(33)가 형성되고,
푸쉬마감판(40)은, 하향 돌출된 삽입안내부(41)와 체결돌출턱(4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외부캡(20)의 하부 내측에 스프링(50)을 갖는 내부캡(10)이 삽입되고 제1걸림대(14)와 제2걸림대(16)는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어 체결되며, 외부캡(20)의 상부 양측에는 푸쉬버튼(30)의 걸림대수용홈(31) 내측으로 제1걸림대(14)의 선단이 삽입 계지되며, 푸쉬마감판(40)은 체결돌출턱(42)에 의해 상기 외부캡(20)의 상부에 체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내부캡(10)의 상부에는 제1걸림대(14)와 제2걸림대(16)를 각각 상향 돌출 형성하되,
상기 제1걸림대(14) 선단에 형성된 제1언더컷(13)은 푸쉬버튼(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대수용홈(31) 일측의 계지경사턱(32) 상에 계지되게 하고, 제2걸림대(16) 선단에 형성된 제2언더컷(15)은 외부캡(20)의 상승에 따라 그 외부캡(20)의 상부면이 계지되게 하여,
상기 푸쉬버튼(30)의 압압에 의해 제1언터컷(13)과 계지경사턱(32)이 이격되어 상기 외부캡(20)과 그 푸쉬버튼(30)이 내부캡(10)으로부터 승강되게 하고,
상승하는 외부캡(20)은 상기 제2걸림대(16)의 제2언더컷(15)에 의한 상부면에 간섭되어 그 상승폭이 제한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내부캡(1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취부환테(11)의 상측에는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탄성부(17)를 형성하여, 그 탄성부(17)에 의해 상기 취부환테(11)가 자유롭게 내,외로 탄력 절곡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외부캡(20)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언더컷(28)을 형성하고, 상기 푸쉬마감판(40)의 하부에는 그 결합언더컷(28)과 대응의 체결돌출턱(42)을 형성하여, 이들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외부캡(20)과 푸쉬마감판(40)이 상호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푸쉬버튼(3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곡선대(33)는 그 양단이 상기한 외부캡(20)의 상부면에 상향 돌출 형성된 계지편(27)에 의해 탄력 계지되어, 푸쉬버튼(30)이 버튼안치부(26) 내에서 탄력적으로 왕복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푸쉬마감판(40)의 양측에는 요홈상의 버튼작동홈(43)을 형성하여 그 푸쉬버튼(30)의 압압에 의한 내부 함몰시 그 버튼작동홈(43)에 의해 손가락의 간섭이 방지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안전 캡은 내부캡(10)과 외부캡(20) 및 푸쉬버튼(30), 푸쉬마감판(40)으로 각각 구분 형성되어 이들의 상호 결합을 통해 용기(100) 선단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내부캡(10)은 외부캡(20)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용기의 선단과 계지 결합되거나 분리되고 그 외부캡(20)의 상면에 위치한 푸쉬버튼(30)은 상기한 내부캡(10)의 걸림부를 계지하거나 해제하게 되며, 상기한 푸쉬마감판(40)은 상기 외부캡(20)의 상부에 체결되어 그 상측을 마감하면서도 사용자에 의한 하향 압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캡(10)은 하부 내측으로 취부환테(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취부환테(11)가 형성된 내부캡(10)의 하부는 수직의 절개부(12)에 의해 다수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분할된 하부는 내,외측을 향하여 비교적 자유로운 탄성 절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내부캡(10)의 상부면에는 그 중심부로부터 외측에 위치한 다수의 제1걸림대(14)가 수직 형성되어 있고 그 제1걸림대(14)의 선단에는 내부캡(10)의 중심부를 향하는 제1언더컷(13)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한 내부캡(10)의 상부면에는 상기한 제1걸림대(14) 보다 중심부를 향해 내측에 위치하는 수직의 제2걸림대(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제2걸림대(16)의 선단에는 역시 그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2언더컷(15)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내부캡(10)의 하부 내측에는 그 취부환테(11)의 상측에 형성되는 탄성부(17)를 형성한 것인데, 그 탄성부(17)는 내부캡(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성형된 것으로서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탄성부(17)에 의해 그 하측에 위치하는 취부환테(11)가 보다 용이하게 내,외방향으로의 탄성 절곡이 가능하게 된 다.
이와 같이 성형된 내부캡(10)의 외측에는 그 상측으로부터 별도의 외부캡(20)이 삽입되는 것인데, 상기한 외부캡(20)은 하측에 상기한 내부캡(10)이 끼워지기 위한 내부캡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캡수용부(21)의 하단에는 보다 확장경을 갖는 확장내경부(22)가 형성되며, 내부캡수용부(21)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관통된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하측이 개방된 스프링수용부(25)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캡(2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버튼안치부(26)와 계지편(27)이 형성되며, 상부캡(20)의 선단에는 경사 걸림구의 형태로 된 결합언더컷(28)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내부캡(10)을 외부캡(20)과 결합하게 되면, 그 내부캡(10)은 외부캡(20)의 내부캡수용부(21)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걸림대(14)와 제2걸림대(16)가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을 관통하여 외부캡(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는 것이며, 내부캡(1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는 스프링(50)은 외부캡(20)의 스프링수용부(25)의 내측에 위치하여 결합상태의 내부캡(10)와 외부캡(20)이 서로 이격되게 하려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상기한 외부캡(2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버튼안치부(26)에 푸쉬버튼(30)을 각각 안치시키되, 푸쉬버튼(30)의 하부에는 요홈상의 걸림대수용홈(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내부캡(10)의 제1걸림대(14) 선단이 그 걸림대수용홈(3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제1걸림대(14)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언더컷(13)은 걸림대수용홈(31) 일측의 계지경사턱(32)을 탄력적으로 지나며 이들 제1언더컷(13)과 계지경사턱(32)은 그 하단 및 상단이 서로 계지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푸쉬버튼(30)의 일측에 곡면체로 된 탄성곡선대(33)는 그 양단이 외부캡(20)의 상부면에 상향 돌출된 계지편(2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탄성곡선대(33)에 의해 상기한 푸쉬버튼(30)은 항상 외부캡(20)의 외측으로 벗어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한 푸쉬버튼(30)을 외부캡(20)의 내측으로 압압하였다가 그 압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곡선대(33)의 복귀력에 의해 다시 외부캡(20)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이를 편리하게 눌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푸쉬버튼(30)의 누름동작에 의해 외부캡(20)의 중심을 향하여 푸쉬버튼(30)이 이동하게 되면 그 하부의 걸림대수용홈(31)이 이동함에 따라 대응 계지 상태의 계지경사턱(32)과 제1언더컷(13)의 계지력이 상실되므로 이때에는 내부의 스프링(50) 반력에 의해 상기한 외부캡(20)이 내부캡(10)과 이격되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내부캡(10)과 외부캡(20)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제2걸림대(16) 선단의 제2언더컷(15)에 의해 이격폭이 제한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푸쉬버튼(30)의 압압에 의해 제1걸림대(14)와의 계지력이 상실되어 내부 스프링(50)의 반력에 의해 상승하는 외부캡(20)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게 되면 상기한 제2걸림대(16)의 제2언더컷(15)에 의해 그 외부캡(20)의 상부면이 간섭을 받게 되어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승 상태는 푸쉬버튼(30) 의 걸림대수용홈(31)으로부터 제1걸림대(14)의 제1언더컷(13)이 완전히 하측으로 빠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의 외부캡(20)을 하강시키면 탄성곡선대(33)에 의해 후퇴된 상태의 푸쉬버튼(30) 하부 계지경사턱(32)이 제1걸림대(14)의 제1언더컷(13)과 서로 엇갈리며 탄력 계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계지경사턱(32)과 제1언더컷(13)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그 내부캡(10)과 외부캡(20)은 체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부캡(20)의 상부에는 별도의 푸쉬마감판(40)이 체결되는 것으로서, 푸쉬마감판(4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한 스프링수용부(25)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삽입안내부(41)가 돌출되어 있고, 하부 외측에는 다수개의 체결돌출턱(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삽입안내부(41)가 스프링수용부(25) 외측으로 안내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그 푸쉬마감판(40)을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하부의 체결돌출턱(42)이 외부캡(20) 선단의 결합언터컷(28)과 탄력 계지되면서 견고한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푸쉬마감판(40)은 외부캡(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푸쉬버튼(30)을 포함한 그 외부캡(20) 상부를 마감하면서도 푸쉬버튼(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안전 캡을 용기에 체결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압압력이 제공되게 하는 누름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푸쉬마감판(40)의 양측에는 푸쉬버튼(40)의 폭과 일치하는 요홈상의 버튼작동홈(43)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푸쉬버튼(40)을 압압함에 있어 그 푸쉬마감판(40)이 사용자의 손가락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한 사용을 가능케 함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체결구조 및 세부 작동구조를 통해 살펴본 본 고안 안전캡의 사용예를 기술하여 보면,
도 5a의 도시와 같이 용기(100) 선단의 개구부(102) 외측에 형성된 고정환테(101)에는 내부캡(10)의 취부환테(11)가 서로 계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안전 캡이 체결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체결 상태에서 그 안전 캡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5b의 도시와 같이 양측의 푸쉬버튼(30)을 내측으로 압압하게 되는 것이며, 푸쉬버튼(30)이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캡(10)의 제1걸림대(14)와의 계지력이 해제되어 스프링(50)의 반력에 의해 상기 외부캡(20)은 도 5c의 도시와 같이 제2걸림대(16)의 제2언더컷(15) 하단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캡(20)이 상승하게 되면 외부캡(20)에 형성된 내부캡수용부(21) 하단의 확장내경부(22)가 취부환테(1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한 취부환테(11)는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그 내부캡(10)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도 5d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취부환테(11)가 탄성부(17)를 통해 손쉽게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그 용기(100)의 개구부(102)로부터 전체가 동시에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리된 상태의 안전 캡을 다시 용기(100) 선단의 개구부(102)에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푸쉬버튼(40)의 사용 없이 그 푸쉬마감판(40)을 하향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도 5e의 도시와 같이 내부캡(10)의 하측이 용기(100)의 개구부(102)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푸쉬마감판(40)을 하향 가압하게 되면 내부캡(10)으로부터 상승되어 있던 외부캡(20)이 하강하게 되며 외부캡(20)의 하강에 따라 도 5f의 도시와 같이 푸쉬버튼(3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대수용홈(31)의 내부에 제1걸림대(14)가 삽입되는 것이며, 일측의 계지경사턱(32)과 제1언더컷(13)이 탄력적으로 계지되며 이격된 상태의 외부캡(20)이 내부캡(10)과 밀착된 상태의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한 외부캡(20)의 하강에 따라 외측으로 전개되어 있던 취부환테(11)는 외부캡(20) 하측의 내부캡수용부(21) 내면과의 간섭을 일으켜 그 취부환테(11)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복귀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취부환테(11)가 중심부를 향하여 복귀됨에 따라 도 5g의 도시와 같이 용기(100) 선단의 개구부(102)에 형성된 고정환테(101)와 긴밀한 계지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안전 캡을 사용함에 있어 푸쉬버튼의 압압에 의한 손쉬운 개방은 물론 안전 캡의 상부를 하측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견고한 체결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어 원터치 안전 캡의 뛰어난 작용이 실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은, 비교적 단순한 구성만으로도 용기 선단의 밀폐 및 개방이 가능하면서도 푸쉬버튼의 압압에 의해 용이하게 안전 캡을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푸쉬마감판의 하향 압압만으로도 용 기와의 긴밀한 체결상태가 이루어지며, 비교적 단순한 사용법에 비하여 어린이들의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를 갖고 있어 그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면서도, 미려한 외관 및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부여하여 제품 이미지를 크게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용기(100) 선단의 고정환테(101)와 직접 계지 및 해제되는 내측의 취부환테(11)를 갖는 내부캡(10)과;
    상기 내부캡(10)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부 양측에 푸쉬버튼(30)이 결합된 외부캡(20)과;
    상기 외부캡(20)의 상부에 체결되는 푸쉬마감판(40)으로 각각 구성되어,
    내부캡(10)에 설치된 푸쉬버튼(30)의 압압에 의해 상기 외부캡(20)이 스프링(50) 반력에 의해 내부캡(10)으로부터 상승되게 구성하고,
    상기 외부캡(30)의 상승에 의해 내부캡(10)의 취부환테(11)가 외측으로 전개 가능함에 따라 용기(100)와의 취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외부캡(20)과 그 내부캡(10)이 용기(100)의 선단으로부터 분리되게 구성하며,
    푸쉬마감캡(40)의 하향 압압에 의해 외부캡(20)이 용기(100)를 향하여 하강되고, 외부캡(20)의 하강에 의한 내부 간섭에 의해 내부캡(10)의 취부환테(11)가 용기(100)의 고정환테(101)와 취부되어 서로 결속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캡(10)은, 수직의 절개부(12)에 의해 분할 형성된 취부환테(11)가 하부 내측에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중심부로부터 외측에 위치한 제1걸림대(14)와 그 내 측에 위치한 제2걸림대(16)가 형성되고,
    외부캡(20)은, 하부에 내부캡수용부(21)와 하단의 확장내경부(22) 및 관통된 외측의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버튼안치부(26)와 상향 돌출된 스프링수용부(25)가 형성되며,
    푸쉬버튼(30)은, 하부의 걸림대수용홈(31)과 일측의 탄성곡선대(33)가 형성되고,
    푸쉬마감판(40)은, 체결돌출턱(42)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캡(20)의 하부 내측에 스프링(50)을 갖는 내부캡(10)이 삽입되고 제1걸림대(14)와 제2걸림대(16)는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외부캡(20)의 상부 양측에는 푸쉬버튼(30)의 걸림대수용홈(31) 내측으로 제1걸림대(14)의 선단이 삽입 계지되며, 푸쉬마감판(40)은 체결돌출턱(42)에 의해 상기 외부캡(20)의 상부에 체결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3.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캡(10)의 상부에는 제1걸림대(14)와 제2걸림대(16)를 각각 상향 돌출 형성하되,
    상기 제1걸림대(14) 선단에 형성된 제1언더컷(13)은 푸쉬버튼(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대수용홈(31) 일측의 계지경사턱(32) 상에 계지되게 하고, 제2걸림대(16) 선단에 형성된 제2언더컷(15)은 외부캡(20)의 상승에 따라 그 외부캡(20)의 상부면이 계지되게 하여,
    상기 푸쉬버튼(30)의 압압에 의해 제1언터컷(13)과 계지경사턱(32)이 이격되어 상기 외부캡(20)과 그 푸쉬버튼(30)이 내부캡(10)으로부터 승강되게 하고,
    상승하는 외부캡(20)은 상기 제2걸림대(16)의 제2언더컷(15)에 의한 상부면에 간섭되어 그 상승폭이 제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4.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캡(10)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취부환테(11)의 상측에는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탄성부(17)를 형성하여, 그 탄성부(17)에 의해 상기 취부환테(11)가 자유롭게 내,외로 탄력 절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KR2020070000387U 2007-01-09 2007-01-09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KR200437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87U KR200437214Y1 (ko) 2007-01-09 2007-01-09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87U KR200437214Y1 (ko) 2007-01-09 2007-01-09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14Y1 true KR200437214Y1 (ko) 2007-11-13

Family

ID=4163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387U KR200437214Y1 (ko) 2007-01-09 2007-01-09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55B1 (ko) 2016-11-11 2017-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07825B1 (ko) * 2018-08-08 2019-08-06 (주)장업시스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WO2020158987A1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KR102498612B1 (ko) 2022-07-06 2023-02-10 주식회사 씨티케이 용기의 캡 개폐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55B1 (ko) 2016-11-11 2017-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WO2018088617A1 (ko) 2016-11-11 2018-05-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US20180132592A1 (en) * 2016-11-11 2018-05-17 Ctk Co., Ltd. Cosmetic container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operation of cap in one-touch manner
CN108307618A (zh) * 2016-11-11 2018-07-20 株式会社Ctk 以单触方式进行盖的开闭操作的化妆品容器
JP2019501675A (ja) * 2016-11-11 2019-01-24 シーティーケ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ワンタッチ方式でキャップが開閉操作される化粧品容器
KR102007825B1 (ko) * 2018-08-08 2019-08-06 (주)장업시스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WO2020032310A1 (ko) * 2018-08-08 2020-02-13 (주)장업시스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WO2020158987A1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KR102498612B1 (ko) 2022-07-06 2023-02-10 주식회사 씨티케이 용기의 캡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237B1 (ko) 압력밥솥 뚜껑 개폐장치
KR101707455B1 (ko)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JP4762635B2 (ja) 気密コンパクト容器
KR200437214Y1 (ko)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US8220636B2 (en) Child-resistant multi-blister card case
KR20030096845A (ko) 분리 가능한 가압 냄비 손잡이
WO2020035814A1 (zh) 具有盖子的储存容器
KR101803794B1 (ko)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20228Y1 (ko) 용기 안전 캡
KR200445185Y1 (ko)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JP2006345959A (ja) 化粧料容器
KR20030013789A (ko) 분리가능한 조리 용기 손잡이 및 그 조리 용기
CN209421821U (zh) 一种马桶盖板的快拆结构及一种马桶
CN218942881U (zh) 一种电热水瓶
JP3138928U (ja) 引きレバー防挟み安全構造
CN218127984U (zh) 杯具
KR200271660Y1 (ko) 분리가능한 조리 용기 손잡이 및 그 조리 용기
JPH0378751U (ko)
CN215604787U (zh) 利于单手操作的杯盖及具有该杯盖的水杯
CN219091357U (zh) 按钮式卡扣滤芯安装结构和应用其的净水器
CN214609099U (zh) 一种具有伸缩勺的盖体及容纳瓶
CN211582637U (zh) 一种内锅组件及压力锅
JP2024039339A (ja) 容器の開閉構造
CN217995368U (zh) 盒体锁扣结构
CN115444268A (zh) 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