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825B1 -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825B1
KR102007825B1 KR1020180092124A KR20180092124A KR102007825B1 KR 102007825 B1 KR102007825 B1 KR 102007825B1 KR 1020180092124 A KR1020180092124 A KR 1020180092124A KR 20180092124 A KR20180092124 A KR 20180092124A KR 102007825 B1 KR102007825 B1 KR 10200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ressing
container
operating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석
Original Assignee
(주)장업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업시스템 filed Critical (주)장업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9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825B1/ko
Priority to PCT/KR2018/009242 priority patent/WO2020032310A1/ko
Priority to CN201810965961.4A priority patent/CN11081111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3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latc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4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snap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뚜껑의 내측 상부에 누름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에 누름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작동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에 작동부재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 작동부재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누름부재와 작동가이드부재에 각각 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에 제1, 2체결돌륜을 형성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부재를 누르면 작동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이 누름부재의 가이드홈 중 제2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고정되고, 누름부재를 다시 한번 누르면 작동부재가 탄력적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용기본체와 작동부재가 체결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이 누름부재의 가이드홈 중 제1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용기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편리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제1체결돌기(15)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를 개폐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뚜껑(2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홈(32)이 형성된 누름부재(30)와; 상기 누름부재(30)에 의해 눌려져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제1체결돌기(15)와 결합되는 제2체결돌기(45)가 형성된 작동부재(40)와; 상기 작동부재(40)와 결합되어 작동부재(4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홈(32)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2)이 구비된 작동가이드부재(50) 및 상기 작동부재(40)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one-touch type open or close structure}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뚜껑의 내측 상부에 누름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에 누름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작동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에 작동부재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 작동부재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누름부재와 작동가이드부재에 각각 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에 제1, 2체결돌륜을 형성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부재를 누르면 작동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이 누름부재의 가이드홈 중 제2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고정되고, 누름부재를 다시 한번 누르면 작동부재가 탄력적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용기본체와 작동부재가 체결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이 누름부재의 가이드홈 중 제1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용기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편리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더욱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화장품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아름다운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화장품들이 개발됨에 따라 화장료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화장품 중 젤(gel) 또는 크림(cream) 같이 점도가 높은 크림타입 내용물은 개구부가 넓고,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뚜껑이 나사식으로 개폐되는 용기에 담겨져 생산 판매되어 진다.
특히, 기초화장품으로 많이 사용되는 크림화장품들은 사용의 편리성을 감안하거나 화장품을 편리하게 또는 낭비 없이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개구부가 넓고, 비교적 높이가 낮은 화장품 용기에 담겨져 뚜껑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이러한 크림화장품 용기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구부가 넓은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부를 나사식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한 뚜껑의 개폐 구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저장용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뚜껑을 잡아 회전시키면서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한 용기뚜껑의 회전 조작에 따른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미끄럼 방지 구조가 구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크림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더욱 미끄러지기가 쉬어 용기뚜껑을 열고 닫는 동작이 어려울 수 있으며, 용기뚜껑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화장품이 용기뚜껑에 묻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7455호로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부의 외주면에 걸림 테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에 대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은 탄성부재로 탄력 지지되고, 승강 유도 캡 및 승강 유도 캡의 내부에 설치된 노크부재에 의해 승강 작동이 규제되며, 누름 캡을 터치함에 따라 일 측이 힌지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개폐 조작구가 개폐 조작되면서 상기 개폐 조작구와 용기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어 상기 캡이 용기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용기로부터 캡을 분리하기 위해 누름 캡을 가압하면, 상기 누름 캡과 승강 유도캡과 노크부재 및 탄성부재의 연계 작용에 의해 누름 캡이 상부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누름 캡에 의해 개폐 조작구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용기와 캡의 체결이 해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캡의 개폐 구조가 복잡하고 필요한 부품들이 많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캡의 개방 시, 누름 캡의 걸림리브가 외부 캡에 힌지 결합된 개폐 조작구의 개폐날개를 강제로 끌어올려 외측으로 벌리면서 용기와 캡의 체결을 해제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누름 캡의 걸림리브가 개폐 조작구의 개폐날개를 강제로 벌리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 조작구가 파손되거나 외부 캡과 분리되어 캡의 개폐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뚜껑의 내측 상부에 누름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에 누름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작동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에 작동부재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 작동부재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누름부재와 작동가이드부재에 각각 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에 제1, 2체결돌륜을 형성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부재를 누르면 작동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이 누름부재의 가이드홈 중 제2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고정되고, 누름부재를 다시 한번 누르면 작동부재가 탄력적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용기본체와 작동부재가 체결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이 누름부재의 가이드홈 중 제1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용기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편리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누름부재에 누름사선면을 갖는 누름부를 형성하고, 작동부재에 눌림사선면을 갖는 눌림부를 형성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누름부재에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작동가이드부재에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누름부재가 작동부재를 직접 누르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가 작동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용기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제1체결돌기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뚜껑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누름사선면을 갖는 누름부가 형성된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져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제1체결돌기와 결합되는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눌림사선면을 갖는 눌림부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되어 작동부재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핀이 구비된 작동가이드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의 가이드홈은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 및 상기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 사이에 형성된 제1, 2이동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사선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작동부재의 눌림사선면는 상측으로 갈수록 바깥쪽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제1작동부재와 제2작동부재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의 제2체결돌기는 작동부재의 하부 내주연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작동가이드부재의 체결돌기삽입홀을 통해 작동가이드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는 탄성부재보호벽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통공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 측면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 측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관통공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는 탄성부재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는 탄성부재지지축이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양측 단부가 탄성부재끼움돌기와 탄성부재지지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은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뚜껑의 내측 상부에 누름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에 누름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작동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에 작동부재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 작동부재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누름부재와 작동가이드부재에 각각 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에 제1, 2체결돌륜을 형성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부재를 누르면 작동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용기본체와 작동부재의 체결이 해제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이 누름부재의 가이드홈 중 제2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고정되고, 누름부재를 다시 한번 누르면 작동부재가 탄력적으로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용기본체와 작동부재가 체결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이 누름부재의 가이드홈 중 제1고정홈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용기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편리하게 개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누름부재에 누름사선면을 갖는 누름부를 형성하고, 작동부재에 눌림사선면을 갖는 눌림부를 형성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누름부재에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작동가이드부재에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누름부재가 작동부재를 직접 누르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가 작동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용기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누름부재가 가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 위에 용기뚜껑을 올려놓은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와 용기뚜껑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제1체결돌기(15)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를 개폐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뚜껑(2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누름사선면(342)을 갖는 누름부(34)가 형성된 누름부재(30)와; 상기 누름부재(30)에 의해 눌려져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제1체결돌기(15)와 결합되는 제2체결돌기(45)가 형성되고, 눌림사선면(442)을 갖는 눌림부(44)가 형성된 작동부재(40)와; 상기 작동부재(40)와 결합되어 작동부재(4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홈(32)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2)이 구비된 작동가이드부재(50) 및 상기 작동부재(40)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는 입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12)의 외주연에는 제1체결돌기(15)가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돌기(15)의 상부에는 제1장착돌기(1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안착턱(18)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에는 내용물이 직접 충전되거나,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된 내용물용기(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은 젤(gel) 또는 크림(cream) 같이 점도가 높은 크림타입 화장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물용기(70)의 상부에는 제2장착돌기(76)가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제1장착돌기(16)와 언더컷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용기본체(10)와 내용물용기(70)가 언더컷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 결합, 강제 끼움 결합 등 내용물용기(70)를 용기본체(10)의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방식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용물용기(70)는 내용물용기뚜껑(8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내용물용기뚜껑(8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용기(70)의 상부에 일부분이 삽입되면서 끼워지고, 상기 내용물용기뚜껑(8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82)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뚜껑(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용기본체(10)를 개폐하며, 용기뚜껑(20)의 내측에는 누름부재(30)와 작동부재(40)와 작동가이드부재(50) 및 탄성부재(60)가 결합된다.
상기 용기뚜껑(2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벽(22)과 상기 외벽(22)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내벽(24)과 상기 내벽(24)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연장편(26) 및 상기 수평연장편(26)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연장편(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연장편(28)의 안쪽에는 누름부재(30)의 누름부(34)와 작동부재(40)의 눌림부(44)가 관통하는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장편(26)에는 누름부재(3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벽(23)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22)의 내주연에는 결합요홈(25)이 형성되어 작동가이드부재(50)가 결합된다.
상기 누름부재(30)는 용기뚜껑(20)의 상부 내측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서 작동부재(40)를 외측으로 벌리게 된다.
도 3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30)에는 하부연장돌륜(31)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연장돌륜(31)의 내주연에 가이드홈(32)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누름부(3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2)은 가이드핀(52)이 끼워져 이동되는 홈으로, 상기 가이드핀(52)의 위치 변화에 따라 누름부재(30)가 고정된다. 도 4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32)은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제1고정홈(321)과 제2고정홈(322) 및 상기 제1고정홈(321)과 제2고정홈(322) 사이에 형성된 제1이동홈(323)과 제2이동홈(324)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누름부재(3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부재(30)가 작동부재(40)를 누르면서 하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홈(32)의 제1고정홈(321)에 위치되어 있던 가이드핀(52)이 제1이동홈(323)을 지나 제2고정홈(322)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52)에 의해 누름부재(30)가 눌려진 상태로 고정되고, 다시 누름부재(30)를 눌렀다 놓게 되면 상기 누름부재(30)가 작동부재(40)의 눌림부(44)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홈(32)의 제2고정홈(322)에 위치되어 있던 가이드핀(52)이 제2이동홈(324)을 지나 제1고정홈(321)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누름부재(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32)의 제1고정홈(321)과 인접하여 제1단턱(325)이 형성되고, 제2고정홈(322)과 인접하여 제2단턱(32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2단턱(324, 325)은 가이드핀(52)이 가이드홈(32) 내에서 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을 제한하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1단턱(325)은 가이드핀(52)이 제1고정홈(321)에서 제2이동홈(324)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제2단턱(326)은 가이드핀(52)이 제2고정홈(322)에서 제1이동홈(323)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핀(52)이 항상 가이드홈(32)의 제1고정홈(321)에서 제1이동홈(323)을 거쳐 제2고정홈(322)으로 이동되고, 다시 제2고정홈(322)에서 제2이동홈(324)을 거쳐 제1고정홈(321)으로 이동되게 한 것이다.
상기 누름부(34)는 누름부재(30)의 가압에 의해 작동부재(40)의 눌림부(44)를 누르게 되는데, 도 3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34)의 하부 외측에는 누름사선면(342)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사선면(342)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을 향해 기울어진 형상이며, 작동부재(40)의 눌림부(44)에 형성된 눌림사선면(442)에 밀착된다.
상기 누름부(34)의 외측에는 다수의 가이드편(33)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편(33)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뚜껑(20)의 내벽(24)과 가이드벽(23)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편(33)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33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용기뚜껑(20)의 내벽(24)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누름부재(30)의 상, 하 이동 시 상기 누름부재(30)가 흔들리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상, 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40)는 작동가이드부재(50)의 상부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누름부재(30)에 의해 눌려지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작동부재(41)와 제2작동부재(42)로 분할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제1작동부재(41)와 제2작동부재(42)는 형태가 동일하며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상기 작동부재(40)의 상부에는 누름부재(30)의 누름부(34)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44)가 형성되는데, 상기 눌림부(44)의 상부에는 눌림사선면(442)이 형성된다. 상기 눌림사선면(442)은 상측으로 갈수록 바깥쪽을 향해 기울어진 형상이며, 누름부재(30)의 누름부(34)에 형성된 누름사선면(342)과 밀착된다.
상기 작동부재(40)의 눌림부(44)의 외측에는 상부관통공(46)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관통공(46)에는 작동가이드부재(50)의 탄성부재보호벽(56)과 탄성부재지지축(58)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관통공(46)의 상부에 탄성부재끼움돌기(48)가 형성되어 탄성부재(60)의 일측이 끼워진다.
상기 작동부재(40)의 측면에는 측면관통공(47)이 형성되어 작동가이드부재(50)의 측면돌출부(57)가 관통된다. 이에 따라, 작동부재(40)가 작동가이드부재(5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4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슬릿(49)이 형성되어 작동가이드부재(50)의 가이드부(59)가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슬릿(49)은 작동부재(40)가 누름부재(30)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라들 때, 상기 작동부재(4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관통공(46)과 가이드슬릿(49)은 나란히 즉,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재(40)의 하부 내주연에는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돌기(15)와 결합되는 제2체결돌기(45)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돌기(45)는 작동부재(40)의 하부 내주연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작동가이드부재(5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돌기삽입홀(55)을 통해 상기 작동가이드부(5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제1체결돌기(15)와 제2체결돌기(45)는 작동부재(40)가 누름부재(30)에 의해 벌려지거나 오므라들면서 서로 언더컷 체결 해제 또는 언더컷 체결된다.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는 용기뚜껑(20)의 내측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작동부재(4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는 테두리가 용기뚜껑(20)의 결합요홈(25)에 결합되고, 하단이 용기본체(10)의 안착턱(18)에 안착된다.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중앙에는 핀결합부(5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핀결합부(51)의 상단에는 핀결합축(512)이 형성되어 가이드핀(52)이 결합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핀(52)은 일측이 핀결합축(512)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누름부재(30)의 가이드홈(32) 내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부재(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핀(52)은 핀결합축(512)에 결합되는 결합부(521)와 상기 결합부(521)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522) 및 상기 연결부(522)로부터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누름부재(30)의 가이드홈(32)에 끼워지는 끼움부(5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핀(5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핀결합부(51) 외측에는 탄성부재보호벽(56)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작동부재(40)의 상부관통공(46)을 관통한다. 상기 탄성부재보호벽(56)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60)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보호벽(56)과 인접하여 탄성부재지지축(58)이 형성되어 탄성부재(60)의 일측이 끼워진다.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측면에는 측면돌출부(57)가 돌출 형성되어 작동부재(40)의 측면관통공(47)을 관통한다. 이에 따라, 작동부재(40)가 작동가이드부재(5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부(59)가 형성되어 가이드슬릿(49)에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59)는 작동부재(40)가 누름부재(30)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라들 때, 상기 작동부재(4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59)의 상부에는 이탈방지턱(592)이 형성되어 작동부재(40)의 상부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돌출부(57)와 함께 작동부재(40)가 작동가이드부재(5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하부면에는 밀폐판(9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폐판(90)은 용기본체(10)와 용기뚜껑(20)의 결합 시 내용물용기(70)와 내용물용기뚜껑(80)의 테두리 상단을 눌러 밀폐력을 보완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작동부재(40)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0)의 일측 단부는 탄성부재끼움돌기(48)에 끼워지고, 타측 단부는 탄성부재지지축(58)에 끼워진다. 즉, 상기 탄성부재(60)는 일측이 작동부재(40)에 결합되고, 타측이 작동가이드부재(50)에 결합되어 작동부재(40)를 작동가이드부재(50)로부터 탄력 지지함으로써, 상기 작동부재(40)가 탄력적으로 벌려졌다가 오므라들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누름부재(30)가 용기본체(10)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작동부재(40)를 직접 외측으로 벌리도록 하고, 상기 작동부재(40)가 작동가이드부재(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작동가이드부재(50)의 가이드핀(52)과 누름부재(30)의 가이드홈(32)에 의해 누름부재(30)가 눌려진 상태로 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화장품 용기를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개폐 구조를 위한 부품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용기본체(10)의 내측에 내용물용기(70)를 장착하되, 상기 용기본체(10)의 제1장착돌기(16)와 내용물용기(70)의 제2장착돌기(76)를 언더컷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용물용기(70)의 내측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상기 내용물용기(70)의 상부에 내용물용기뚜껑(80)을 덮는다.
다음으로, 용기뚜껑(20)의 내측에 누름부재(30)와 작동부재(40)와 작동가이드부재(50) 및 탄성부재(60)를 결합한다. 먼저, 작동가이드부재(50)의 하부에 밀폐판(90)을 결합하고, 상부에 제1작동부재(41)와 제2작동부재(42)를 각각 결합하는데,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탄성부재보호벽(56)과 탄성부재지지축(58)을 제1, 2작동부재(41, 42)의 상부관통공(46)에 관통시키는 동시에,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가이드부(59)를 제1, 2작동부재(41, 42)의 가이드슬릿(49)에 끼운 후, 탄성부재(60)의 일측을 작동부재(40)의 탄성부재끼움돌기(48)에 결합하고, 타측을 작동가이드부재(50)의 탄성부재지지축(58)에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핀결합축(512)에 가이드핀(52)을 결합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를 용기뚜껑(20)의 하측으로 결합하되, 상기 작동가이드부재(50)의 테두리를 용기뚜껑(20)의 결합요홈(25)에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뚜껑(20)의 상측으로 누름부재(30)를 결합하는데, 상기 누름부재(30)의 가이드편(33)이 용기뚜껑(20)의 내벽(24)과 가이드벽(23)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누름부재(30)의 누름부(34)에 형성된 누름사선면(342)이 작동부재(40)의 눌림부(44)에 형성된 눌림사선면(442)과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부재(30)의 가이드홈(32)에 작동가이드부재(50)의 가이드핀(52)이 끼워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돌기(15)와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돌기(45)를 언더컷 결합하여 용기뚜껑(20)을 닫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사용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누름부재가 가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뚜껑이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 위에 용기뚜껑을 올려놓은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와 용기뚜껑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뚜껑(2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 누름부재(30)를 가압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30)가 눌려지면 누름부재(3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누름부재(30)의 누름부(34)가 작동부재(40)의 눌림부(34)를 눌러 상기 작동부재(40)가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돌기(15)와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돌기(45)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도 6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3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누름부재(30)의 제1고정홈(321)에 위치되어 있던 가이드핀(52)이 제1이동홈(323)을 지나 제2고정홈(322)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52)에 의해 누름부재(30)가 눌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로부터 용기뚜껑(20)을 분리하고, 내용물용기뚜껑(80)을 열어 내용물용기(70)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여 화장을 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돌기(45)는 벌어져 있는 상태이고, 누름부재(30)는 눌려져 있는 상태이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내용물용기뚜껑(80)을 닫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 위에 용기뚜껑(20)을 올려놓는다. 이때에도, 상기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돌기(45)는 벌어져 있는 상태이고, 누름부재(30)는 눌려져 있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누름부재(30)를 다시 누르면 작동가이드부재(50)의 가이드핀(52)이 누름부재(30)의 가이드홈(32)의 제2고정홈(322)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후 눌렀던 누름부재(30)를 놓게 되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30)가 작동부재(40)의 눌림부(44)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상기 작동부재(40)가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되어 상기 작동부재(40)의 제2체결돌기(45)와 용기본체(10)의 제1체결돌기(15)가 언더컷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누름부재(3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누름부재(30)의 제2고정홈(322)에 위치되어 있던 가이드핀(52)이 도 9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이동홈(324)을 지나 제1고정홈(321)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누름부재(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사용을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본체 12: 입구부
14: 제1체결돌기 20: 용기뚜껑
23: 가이드벽 25: 결합요홈
30: 누름부재 32: 가이드홈
33: 가이드편 34: 누름부
40: 작동부재 41: 제1작동부재
42: 제2작동부재 44: 눌림부
46: 상부관통공 47: 측면관통공
48: 탄성부개끼움돌기 49: 가이드슬릿
50: 작동가이드부재 51: 핀결합부
52: 가이드핀 56: 탄성부재보호벽
57: 측면돌출부 58: 탄성부재지지축
59: 가이드부 60: 탄성부재
70: 내용물용기 80: 내용물용기뚜껑
90: 밀폐판

Claims (10)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제1체결돌기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뚜껑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누름사선면을 갖는 누름부가 형성된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져 외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제1체결돌기와 결합되는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눌림사선면을 갖는 눌림부가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되어 작동부재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핀이 구비된 작동가이드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를 수평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가이드홈은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 및 상기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 사이에 형성된 제1, 2이동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사선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중앙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작동부재의 눌림사선면는 상측으로 갈수록 바깥쪽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제1작동부재와 제2작동부재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제2체결돌기는 작동부재의 하부 내주연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작동가이드부재의 체결돌기삽입홀을 통해 작동가이드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는 탄성부재보호벽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통공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 측면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 측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관통공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는 탄성부재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는 탄성부재지지축이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양측 단부가 탄성부재끼움돌기와 탄성부재지지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가이드부재의 가이드핀은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180092124A 2018-08-08 2018-08-08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07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24A KR102007825B1 (ko) 2018-08-08 2018-08-08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CT/KR2018/009242 WO2020032310A1 (ko) 2018-08-08 2018-08-13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N201810965961.4A CN110811114B (zh) 2018-08-08 2018-08-23 具有一键式开闭结构的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24A KR102007825B1 (ko) 2018-08-08 2018-08-08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825B1 true KR102007825B1 (ko) 2019-08-06

Family

ID=6761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24A KR102007825B1 (ko) 2018-08-08 2018-08-08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07825B1 (ko)
CN (1) CN110811114B (ko)
WO (1) WO20200323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884B1 (ko) * 2019-12-09 2021-06-07 주식회사 하이맥 승강 탈착형 용기커버를 구비한 용기
WO2023022466A1 (ko) * 2021-08-17 2023-02-23 씨앤알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원터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30167844A (ko) 2022-06-03 2023-12-12 안하영 원터치 로션
KR20240002836A (ko) 2022-06-30 2024-01-08 안하영 원터치 로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7462B1 (fr) 2020-12-10 2023-04-2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notamment cosmétique, comprenant un capot verrouillé et déverrouillé par appui axial.
FR3117461B1 (fr) 2020-12-10 2023-04-2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notamment cosmétique, comprenant un capot verrouillé et déverrouillé par appui axial.
FR3117463B1 (fr) 2020-12-10 2023-04-2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notamment cosmétique, comprenant un capot verrouillé et déverrouillé par appui axial.
WO2022122790A1 (en) 2020-12-10 2022-06-16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 product, notably a cosmetic product, comprising a cap locked and unlocked by axial pressure
WO2022122791A1 (en) 2020-12-10 2022-06-16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 product, notably a cosmetic product, comprising a cap locked and unlocked by axial press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28Y1 (ko) * 2006-04-04 2006-07-03 주식회사 태평양 용기 안전 캡
KR200437214Y1 (ko) * 2007-01-09 2007-11-13 (주)아모레퍼시픽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KR101850044B1 (ko) * 2017-03-20 2018-04-23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101A (ja) * 2002-08-13 2004-09-09 Imekkusu Kk 容器
KR101089167B1 (ko) * 2010-01-08 2011-12-05 (주)연우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US8631975B2 (en) * 2011-04-25 2014-01-21 Toly Korea, Inc. Airless pump and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ame
FR3022749B1 (fr) * 2014-06-30 2016-07-29 Chanel Parfums Beaute Pot de cosmetique comportant un couvercle a element d'accrochage translate
FR3026725B1 (fr) * 2014-10-03 2016-10-28 Chanel Parfums Beaute Pot de cosmetique comportant un couvercle a element d'accrochage basculant
KR101707455B1 (ko) * 2016-11-11 2017-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28Y1 (ko) * 2006-04-04 2006-07-03 주식회사 태평양 용기 안전 캡
KR200437214Y1 (ko) * 2007-01-09 2007-11-13 (주)아모레퍼시픽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용기의 안전 캡
KR101850044B1 (ko) * 2017-03-20 2018-04-23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884B1 (ko) * 2019-12-09 2021-06-07 주식회사 하이맥 승강 탈착형 용기커버를 구비한 용기
WO2023022466A1 (ko) * 2021-08-17 2023-02-23 씨앤알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원터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30026077A (ko) * 2021-08-17 2023-02-24 씨앤알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원터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550546B1 (ko) * 2021-08-17 2023-07-03 씨앤알코스메틱스 주식회사 원터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30167844A (ko) 2022-06-03 2023-12-12 안하영 원터치 로션
KR20240002836A (ko) 2022-06-30 2024-01-08 안하영 원터치 로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11114B (zh) 2022-07-26
CN110811114A (zh) 2020-02-21
WO2020032310A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825B1 (ko)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566803B1 (ko) 표면을 녹여 양음각을 형성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US9386836B2 (en) Cosmetic case having sealing function
KR101849536B1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KR102634142B1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040096089A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JP6353921B2 (ja) 内容器と内容器蓋間の密閉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KR200482302Y1 (ko)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KR20040077988A (ko) 화장품 용기
KR20160112058A (ko) 듀얼뚜껑을 갖는 콤팩트용기
KR100933621B1 (ko) 화장품용기의 개폐구조
KR102281743B1 (ko) 거울 분리형 화장품 용기
KR102411198B1 (ko) 분리형 색조 화장품 용기
KR102404259B1 (ko) 다중 후크 구조를 갖는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102319268B1 (ko) 원터치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04000Y1 (ko) 화장솔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0341792Y1 (ko) 파레트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102550546B1 (ko) 원터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09745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424783Y1 (ko) 색조화장품 샘플 용기
KR101877630B1 (ko)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
KR20210090854A (ko) 이중 버튼 구조를 갖는 듀얼 화장품 용기
KR101765710B1 (ko)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KR101816555B1 (ko) 내용기뚜껑이 자동 개방되는 콤팩트용기
KR101743757B1 (ko) 고정구에 밀폐탄성부와 오염방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