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32Y1 - 가구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가구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32Y1
KR200437132Y1 KR2020070004554U KR20070004554U KR200437132Y1 KR 200437132 Y1 KR200437132 Y1 KR 200437132Y1 KR 2020070004554 U KR2020070004554 U KR 2020070004554U KR 20070004554 U KR20070004554 U KR 20070004554U KR 200437132 Y1 KR200437132 Y1 KR 200437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bracket
bracket member
fasten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2020070004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브라켓은 상하방향을 따라 적층된 가구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가구용 브라켓에 있어서,상기 가구들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브라켓부재와; 상기 제1,2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2브라켓부재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가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브라켓부재, 제2브라켓부재, 고정수단

Description

가구용 브라켓{Bracket for furnitur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브라켓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브라켓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가구 21:수용홈
3:제1브라켓부재 31:삽입부
31a:끼움홈 4:제2브라켓부재
41:제1체결보스 42:제2체결보스
43:결합부 51:제1체결부재
52:제2체결부재
본 고안은 가구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방향을 따라 적층된 가구들을 서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가구 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의 책장의 경우에, 그 책장의 높이는 아이들의 눈높이에 대응되도록 다른 책장들보다는 낮게 설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책장에 책을 수용할 만한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새 책장을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이들의 방에는 책장 이외에도 책상, 의자 및 침대 등 많은 가구들이 설치되어 있어, 새 책장을 설치할 만한 공간이 항상 넉넉하지만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책장과 같은 가구들을 서로 상하방향을 따라 적층시킴으로써,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어린이 도서관의 경우에, 여러 개의 책장들을 상하로 적층시킴으로써 상기 도서관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층방법은 위에 배치된 가구가 견고히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낙하되어 사람을 다치게 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된 가구들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품은, 고객 만족도 향상 및 인건비 절감 등을 위해 가구들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사무실을 인테리어 하는 경우에, 인테리어 초기시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야 할 가구의 개수가 명확하게 확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더욱 편리하고 견고한 방법으로 여러 개의 가구들을 적층시킬 수 있는 제품이 마련될 수 있다면, 인테리어 과정 중 또는 인테리어가 마쳐진 상태에서도 사무실 내부의 환경에 따라 인테리어를 쉽고 편리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가구들을 서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가구용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방향을 따라 적층된 가구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가구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가구들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브라켓부재와; 상기 제1,2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2브라켓부재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가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 중 어느 하나를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제2브라켓부재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1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 중 다른 하나를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제2브라켓부재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브라켓부재는, 그 제2브라켓부재가 상기 가구들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1체결보스와; 그 제2브라켓부재가 상기 가구들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2체결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구들 중 어느 하나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브라켓부재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끼움홈을 가지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2브라켓부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브라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브라켓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브라켓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브라켓은 상하방향을 따라 적층된 가구(1,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브라켓부재(3)와 제2브라켓부재(4)와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구(1,2)로는 어린이용 책장이 채용되었고, 상기 가구(1,2)들 중 어느 하나(하측에 배치된 가구)에는 수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부재(3)는 상기 가구(1,2)들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3)는 아래에서 설명될 수용홈(21)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31)를 가진다. 상기 삽입부(31)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가구(1,2)들을 서로 견고히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삽입부(31)에는 끼움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브라켓부재(4)는 상기 가구(1,2)들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 에서, 상기 제2브라켓부재(4)는 제1체결보스(41)와 제2체결보스(42)와 결합부(4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체결보스(41)는, 상기 제2브라켓부재(4)가 상기 가구(1,2)들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3)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1체결보스(4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체결부재(5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보스(42)는, 상기 제2브라켓부재(4)가 상기 가구(1,2)들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3)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2체결보스(4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체결부재(5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브라켓부재(4)에 상기 제1,2체결보스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부재(3)와 제2브라켓부재(4) 간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브라켓부재(4)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3)의 끼움홈(31a)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부(43)를 구비한다. 이러한 결합부(43)는 상기 제1,2브라켓부재(3,4)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구(1,2)들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2브라켓부재(3,4)와 상기 가구(1,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제1체결부재(51)와 제2체결부재(5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체결부재(51)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3)와 상기 가구(1,2)들 중 상측에 배치된 가구(1)를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제2브라켓부재(4)의 제1체결보스(41)에 결합된다. 상기 제2체결부재(52)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3)와 상기 가구(1,2)들 중 하측에 배치된 가구(2)를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제2브라켓부재(4)의 제2체결보스(4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보스들(41)(42)과 체결부재들(51)(52)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2브라켓부재들(3,4)과 가구(1,2)들 간의 고정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가구(1,2)들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며 작업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브라켓의 설치과정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브라켓부재(3)를 가구(1,2)들의 내측면에 접촉시키고, 제2브라켓부재(4)의 제1,2체결보스들(41)(42)을 각각 상기 가구들(1)(2)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제2브라켓부재(4)를 상기 가구(1,2)들의 외측면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3)의 삽입부(31)가 하측에 배치된 가구(2)의 수용홈(21)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브라켓부재(4)의 결합부(43)가 상기 삽입부(31)의 끼움홈(31a)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브라켓부재(3,4)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구(1,2)들을 서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2브라켓부재(3,4)가 각각 상기 가구(1,2)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구(1,2)들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3)를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51)를 상기 제2브라켓부재(4)의 제1체결보스(41)에 결합시키고, 제2체결부재(52)를 상기 제2브라켓부재(4)의 제2체결보스(42)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가구(1,2)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치과정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구(1,2)들은 상기 제1,2브 라켓부재(3,4)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1,2)들은, 그 외관이 저해되지 않은 채 서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브라켓을 사용하여 상기 가구(1,2)들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브라켓을 상기 가구(1,2)들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시킨 다음,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가구(1,2)들을 순차로 관통한 체결수단을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 체결시켜야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가구(1,2)들의 외관의 훼손 및 손상을 수반하게 되고, 상기 가구(1,2)들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본 고안의 구성, 즉 상기 제1,2브라켓부재(3,4)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구(1,2)들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가구(1,2)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브라켓을 채용하게 되면, 상기 가구(1,2)들의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고정작업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브라켓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제1,2브라켓부재 간의 결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가구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어, 가구들의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그 가구들을 서로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가정집에서나 어린이 도서관의 경우에 복수개의 가구들의 적층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실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무실을 인테리어 하는 경우에, 인테리어의 과정 또는 인테리어가 마쳐진 상태에서도 사무실 내부환경에 따라 인테리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상하방향을 따라 적층된 가구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가구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가구들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제2브라켓부재와;
    상기 제1,2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2브라켓부재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가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 중 어느 하나를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제2브라켓부재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1브라켓부재와 상기 가구들 중 다른 하나를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제2브라켓부재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브라켓부재는,
    그 제2브라켓부재가 상기 가구들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1체결보스와;
    그 제2브라켓부재가 상기 가구들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2체결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들 중 어느 하나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브라켓부재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끼움홈을 가지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2브라켓부재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브라켓.
KR2020070004554U 2007-03-20 2007-03-20 가구용 브라켓 KR200437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54U KR200437132Y1 (ko) 2007-03-20 2007-03-20 가구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54U KR200437132Y1 (ko) 2007-03-20 2007-03-20 가구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32Y1 true KR200437132Y1 (ko) 2007-11-05

Family

ID=4163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554U KR200437132Y1 (ko) 2007-03-20 2007-03-20 가구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340A1 (ko) * 2016-06-24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340A1 (ko) * 2016-06-24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085142B2 (en) 2016-06-24 2021-08-10 Lg Electronics Inc. Garment processing device
US11624144B2 (en) 2016-06-24 2023-04-11 Lg Electronics Inc. Garment proces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161B1 (ko) 서랍형 침대 프레임
US20140217046A1 (en) Assemblable Storage Rack
US20090235462A1 (en) Panels, overlays, and inserts for furniture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KR200448107Y1 (ko) 책상일체형 침대
KR200437132Y1 (ko) 가구용 브라켓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US20160374470A1 (en) Chair and furniture set with the chair
KR101460583B1 (ko) 시스템 가구
EP2777430B1 (en) Mountable furniture system
KR200377719Y1 (ko) 침대와 옷장을 일체로 구비한 조합형 책상
JP6391966B2 (ja) 囲炉裏カウンタ付きアイランド型キッチンの組立方法
JP528860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CN106419207B (zh) 一种可一拆为四的多用途家具
KR101850399B1 (ko) 소파용 장식장
KR20090115376A (ko) 장식장
CN205568305U (zh) 一种四门立体衣柜
JP3192043U (ja) システムユニット畳家具セット
CN215076796U (zh) 一种多功能组合家具
JP3242646U (ja) 運搬・組立に有効な食器棚ユニット家具
CN217658631U (zh) 一种可收纳式组合桌椅
KR102338617B1 (ko) 회전형 책장이 구비된 테이블
CN215125744U (zh) 多功能可拆卸书柜
CN209983837U (zh) 一种组装式多功能家具
KR20140000265U (ko) 시스템 가구의 코너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