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090Y1 - 병 연결 홀더 - Google Patents

병 연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090Y1
KR200437090Y1 KR2020070004466U KR20070004466U KR200437090Y1 KR 200437090 Y1 KR200437090 Y1 KR 200437090Y1 KR 2020070004466 U KR2020070004466 U KR 2020070004466U KR 20070004466 U KR20070004466 U KR 20070004466U KR 200437090 Y1 KR200437090 Y1 KR 200437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neck
fitting
gripping
connec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2020070004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65D71/504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the element being formed from a flexible sheet provided with slits or apertures intended to be stretched over the articles and adapt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웃하는 병의 병목 사이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둘 이상의 병의 병목을 서로 고정하는 홀더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형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서 형성되되, 내부에 병목이 끼워지는 끼움구멍을 가지는 타원형의 끼움부 및 이 끼움부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병목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병 연결 홀더를 포함한다.
더하여, 위 끼움부의 외측에 상기 병목에서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파지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외측으로 이격된 파지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의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에 따라 원통 형상의 파지 돌기가 형성되는 병 연결 홀더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병 연결 홀더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음료수 등이 든 병을 이동할 때 손의 압박감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몸체부, 끼움부, 걸림부, 파지부, 파지 돌기

Description

병 연결 홀더{holder for coupling bottle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병 연결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병 연결 홀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병 연결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1 : 끼움부
11a : 끼움구멍
12 : 걸림부
12a : 내측 걸림부
12b : 외측 걸림부
13 : 걸림부 유동홈
14 : 파지부
14a : 파지구멍
15 : 파지 돌기
21 : 병목
본 고안은 이웃하는 병의 병목 사이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목에 고정되어 2개의 병을 연결하는 병 연결 홀더와 관련된다.
음료수 등을 병에 담아 유통하는 과정에 있어서, 2개의 병에 담긴 음료수를 한번에 싸게 판매하는 판매 전략이 일반화되었다.
이에, 구매자에게 2개 단위로 판매된다는 것을 나타내면서, 한 손으로 2개의 병 음료수를 운반할 수 있도록 2개의 병의 병목에 결합되는 병 연결 홀더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병 연결 홀더를 이용하여 음료수가 담긴 2개의 패트병를 연결하여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병 연결 홀더의 필요에 따라 기존의 등록실용신안 제0248360호, 제0402825호 등에서 주요한 구성으로 병목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양 끝단에 결합된 병 연결 홀더가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기술은 그 끼움부가 모두 원 형상을 하고 있어, 병목과의 결합은 단단하게 이루어지나, 그 분리는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과도한 힘을 요구하거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병 연결 홀더가 탄성 한계를 벗어난 변형이 이루어진 경우에나 비로소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단 양 끼움부 사이의 간격이 정해지면, 정해진 크기의 병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정해진 크기보다 큰 병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병 연결 홀더의 결합에 따라 병목 부분은 좁혀지고, 바닥부분은 벌어지게 되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쉽게 삽입 설치되고 쉽게 벗겨지되, 일단 삽입 설치되면 이동 중에는 쉽게 벗겨지지 아니하는 병 연결 홀더와 관련된다.
더하여, 사용자가 병을 이동할 때 음료수가 든 병의 하중으로 인하여 손에 압박감을 덜 수 있으며, 병의 크기의 소폭 변화에 대하여 범용성을 가지는 병 연결 홀더와 관련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둘 이상의 병의 병목 사이를 고정하는 홀더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서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병목이 끼워지는 끼움구멍을 가지는 타원형의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병목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연결 홀더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걸림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 유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연결 홀더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끼움부의 외측에 상기 병목에서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파지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외측으로 이격된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연결 홀더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에 따라 곡면을 가지는 파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연결 홀더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병 연결 홀더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병 연결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병 연결 홀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병 연결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병으로는 널리 사용되는 패트병(plastic bottle)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유리병 등 다양한 재질과 형상을 가지는 병에 공통으로 적용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병 연결 홀더(1)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 루어지되, 몸체부(10), 끼움부(11) 및 걸림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형의 부재로 양 끝단에는 상기 끼움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11)는 내부에 패트병(20)의 병목(21)이 삽입 고정되는 끼움구멍(11a)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이되, 이 타원의 장축이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몸체부(10)에서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12)는 상기 끼움부(11)의 내주연에 상기 끼움부(11)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되, 상기 끼움부(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1)보다 유연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2)는 병목(21)에 삽입 설치되면 쉽게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병목(21)보다 상기 끼움구멍(11a)이 작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구멍(11a)은 타원 형상이되, 이 타원의 단축은 상기 끼움부(11)의 내주연이 형성하는 타원의 단축과 같으며, 장축은 상기 끼움부(11)의 내주연이 형성하는 타원의 장축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구멍(11a)의 중심은 상기 끼움부(11)의 내주연이 형성하는 타원의 중심과 같으나, 장축의 길이는 보다 작아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상이 된다.
이때, 상기 끼움구멍(11a)의 편평도는 0.80이상부터 1이하로 하여, 병목(21)이 상기 끼움구멍(11a)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끼움부(11)가 병목(21)의 하부에 걸릴 정도면 충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부(12)는 타원형을 가지는 상기 끼움부(11)의 단축 방향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장축 방향에서 최대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이 걸림부(12)가 상기 끼움부(11)의 양 내측면에서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걸림부(12)에는 상기 걸림부(12)의 끝단의 유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 유동홈(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 유동홈(13)의 방향은 상기 걸림부(12)의 끝단이 상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하로 쉽게 휘어지도록, 이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부 유동홈(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트병 홀더(1)가 병목(21)에 삽입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2)의 끝단이 패트병(20)의 병뚜껑(22)과 병목(21)에 밀려 위 방향을 향하면서 미끄러져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2)의 끝단이 위 방향을 향하거나, 탄성에 의하여 회복되어 수평인 상태에서 병목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패트병(2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를 들어 올리는 경우에, 상기 걸림부(12)의 끝단이 병목(21)을 향하여(위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린 상태이므로, 상기 걸림부(12)는 길이 방향에 따라 압축력을 받게 되어 병목(21)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끼움부(11)는 타원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끼움부(11)가 형성하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차이만큼의 크기의 차이가 있는 패트병(20)의 병목(21) 사이 에도 삽입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범용성이 좋게 된다.
더하여, 상기 끼움부(11)의 장축 방향에서 외측에는 병목(21)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병 연결 홀더(1)를 벗길 때 파지되는 파지구멍(14a)이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부(11)의 단축 방향 폭 끝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파지부(14)가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파지부(14)는 상기 끼움부(11)의 외측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이 걸리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파지구멍(14a)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파지구멍(14a)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적은 힘으로 병목(21)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병 연결 홀더(1)를 벗길 수 있게 한다.
이하, 상기 파지부(14)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병 연결 홀더(1)를 제거하는 작용을 설명하되, 상기 걸림부(12)는 편의상 상기 몸체부(10)와 가까운 내측 걸림부(12a)와, 멀리에 형성되는 외측 걸림부(12b)로 나누어 설명한다.
상기 파지구멍(14a)에 손가락을 끼워 잡아당기면, 상기 내측 걸림부(12a)의 끝단은 위 또는 아래 방향을 향한 상태로 병목(21)에 더욱 눌리면서, 상기 외측 걸림부(12b)의 끝단이 방향을 바꿀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 걸림부(12b)의 끝단은 위 방향을 향하다가, 상기 공간에서 자체 탄성에 의하여 수평 상태가 회복된다.
이후, 상기 파지부(14)가 당겨져 상기 끼움부(11)가 비스듬히 들어 올려짐에 따라 병목(21)과 병뚜껑(22)에 의하여 상기 외측 걸림부(12b)의 끝단이 아래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이 병목(21)과 병뚜껑(22)을 따라 미끄러져 올라가면서 병 연결 홀더(1)가 벗겨지게 된다.
즉, 상기 끼움부(11)와 상기 걸림부(12)가 이중의 타원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끼움부(11)는 벗길 때 상기 외측 걸림부(12a)의 끝단이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쉽게 벗겨지게 되고, 상기 걸림부(12)는 병목(21)에 끼워져 사용자에 의하여 운반시에 상기 병목(21)의 하단부에 걸려 길이 방향으로 압축력을 받게 되어 버티는 힘이 증대되므로 운반 중에 병목(21)이 쉽게 이탈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는 사용자가 패트병(20)을 이동할 때 손잡이로 사용하게 되는 데, 상기 몸체부(10)의 폭이 좁아 이 몸체부(10)를 받치는 손의 특정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통증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의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에 따라 곡면을 가지는 파지 돌기(1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지 돌기(15)는 상기 몸체부(10)의 두께의 길이보다 크게 하여, 사용자는 부드러운 곡면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파지 돌기(15)를 파지하게 됨에 따라 손에 압박감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를 전술된 가로 방향의 일자형상 외에도 십자형상 등 다수의 가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하고, 각 가지의 끝단에 상기 끼움부(11)가 형성되어 다수의 패트병(20)을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병 연결 홀더에 따르면, 끼움부가 타원형이므로 병의 병목에 쉽게 삽입 설치되며, 이탈시에는 파지구멍을 이용하여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파지 돌기로 인하여 사용자가 운반시에 손가락 등의 압박이 줄어들게 되고, 끼움부의 장축에 해당하는 길이만큼의 여유가 있어 양 끼움구멍의 간격보다 더 긴 병의 병목 사이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둘 이상의 병의 병목 사이를 고정하는 홀더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병목이 끼워지도록 타원형의 끼움구멍을 가지는 타원형의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병목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
    상기 끼움부의 외측에 상기 병목에서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파지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외측으로 이격된 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연결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 유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연결 홀더.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에 따라 곡면을 가지는 파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연결 홀더.
KR2020070004466U 2007-03-19 2007-03-19 병 연결 홀더 KR200437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466U KR200437090Y1 (ko) 2007-03-19 2007-03-19 병 연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466U KR200437090Y1 (ko) 2007-03-19 2007-03-19 병 연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090Y1 true KR200437090Y1 (ko) 2007-11-02

Family

ID=4163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466U KR200437090Y1 (ko) 2007-03-19 2007-03-19 병 연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0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30Y1 (ko) * 2012-04-27 2013-12-09 노종근 용기 파지용 홀더
KR101511057B1 (ko) * 2013-11-29 2015-04-10 김재흥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페트병 홀더
KR20180133320A (ko) * 2017-06-06 2018-12-14 오리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디비에이 팍테크 가변 원추형 용기 캐리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30Y1 (ko) * 2012-04-27 2013-12-09 노종근 용기 파지용 홀더
KR101511057B1 (ko) * 2013-11-29 2015-04-10 김재흥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페트병 홀더
KR20180133320A (ko) * 2017-06-06 2018-12-14 오리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디비에이 팍테크 가변 원추형 용기 캐리어
KR102121263B1 (ko) * 2017-06-06 2020-06-10 오리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디비에이 팍테크 가변 원추형 용기 캐리어
EP3412594B1 (en) * 2017-06-06 2021-08-04 Oregon Precision Industries Inc. d.b.a. Paktech Container c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818B2 (en) Baby bottle hold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U2618463C2 (ru) Ручка для пластиковой бутылки
US7775381B2 (en) Device for supporting bottles
US10118812B2 (en) Hanger system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KR200437090Y1 (ko) 병 연결 홀더
USD593820S1 (en) Wine bottle holder
US20140263909A1 (en) Pump dispenser bottle hanger
KR20100046937A (ko) 용기 운반용 홀더
US2930502A (en) Combination bottle and handle attachment
KR200457982Y1 (ko) 패트병 홀더
KR101198092B1 (ko) 음료용 용기
KR200475342Y1 (ko) 음료 용기 손잡이
US3469728A (en) Handle device
KR200436714Y1 (ko) 패트병 홀더
CN210116763U (zh) 一种饮料瓶提手
KR200459432Y1 (ko) 패트병 홀더
JP7472955B2 (ja) トング
JP3227212U (ja) 容器用オープナー
US20060130256A1 (en) Scrubber for sippy cup lid
KR200408998Y1 (ko) 패트병 홀더
CN211154858U (zh) 一种玩具展示架
KR200470330Y1 (ko) 용기 파지용 홀더
KR200485082Y1 (ko) 곶감 건조용 클립
KR200432612Y1 (ko) 용기용 손잡이
KR200474534Y1 (ko) 백인 바틀의 핀치오프라인 크랙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