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982Y1 - 패트병 홀더 - Google Patents
패트병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7982Y1 KR200457982Y1 KR2020110009969U KR20110009969U KR200457982Y1 KR 200457982 Y1 KR200457982 Y1 KR 200457982Y1 KR 2020110009969 U KR2020110009969 U KR 2020110009969U KR 20110009969 U KR20110009969 U KR 20110009969U KR 200457982 Y1 KR200457982 Y1 KR 20045798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stic bottle
- bottleneck
- fitting hole
- fitting
- engaging piec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7/00—Kinds or types of packag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67/02—Clips or clamps for holding articles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9/00—Articles joined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without the use of packa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 몸체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형성되고 패트병의 병목이 끼워지기 위한 원형의 끼움공을 가지는 끼움구; 끼움구의 내주연 전체에 복수개의 걸림편들이 톱니 형상을 가지도록 연결부로부터 단부를 향하여 역삼각형으로 절개되는 절개홈 만큼 상호간 이격된 상태로 연장 배열되어 상기 끼움공에 패트병의 병목이 삽입시 병목의 하단부에 걸림편들이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구; 및 상기 걸림편들 중 서로 인접한 걸림편들의 단부측을 연결하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패트병 홀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패트병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수나 음료수 등이 담긴 한 쌍의 패트병의 병목을 동시에 홀딩하여 운반하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패트병의 병목에도 적용되도록 할 수 있는 패트병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나 음료수 등을 병 예를 들면, 패트병에 담아 유통하는 과정에 있어서, 한 쌍의 패트병에 담긴 생수 또는 음료수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패트병의 병목을 동시에 홀딩하는 패트병 홀더가 마케팅의 일환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패트병 홀더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37090호 등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트병 홀더(20-043709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패트병 홀더(10)는, 몸체(11)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패트병의 병목이 끼워지는 끼움부(12)와, 끼움부(12)의 내주연에 병목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걸림부(13)를 포함하여, 상기 끼움부(12)에 패트병의 병목 삽입시 걸림부(13)의 단부가 병목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되어 패트병이 하나의 홀더에 의해 운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트병 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걸림부(13)가 끼움부(12)의 내주연에 단순히 일정한 간격의 간격홈(14)에 의해 끼움부(12)의 연결부와 단부가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구분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병목의 홀딩 해제시 상기 걸림부(13)의 단부가 끼움부(1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잘 휘어지지 않아 즉, 간격홈(14)이 쉽게 벌어지지 않아 강한 힘을 가지지 못하는 약자의 경우 각각의 패트병을 파지 해제하지 못하게 되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홀더의 몸체(11)나 끼움부(12)를 파쇄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걸림부(13)의 연결부와 단부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경우에는 끼움부(12)가 힘에 의해 병목의 하단부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걸림부(13)의 단부와 연결부의 내력이 비슷하여 걸림부(13)의 단부가 끼움부(12)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잘 휘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종래의 패트병 홀더는, 상기 끼움부(12)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걸림부(13)를 통해 병목의 홀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나, 상기 걸림부(13)가 끼움부(12)의 내주연에 전반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단순히 끼움부(12) 내주연에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다. 그러므로 여름철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걸림부(13)가 팽창하게 되는 경우 단부가 더 쉽게 휘어짐으로써, 지름이 작은 즉, 타원형의 끼움부(12)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병목의 홀딩시 병목의 외주연 전체가 걸림부(13)에 의해 걸림 지지되지 않아 끼움부(12)로부터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패트병 홀더는, 상기 패트병의 병목 지름이 각각 다른 경우에는 해당 패트병의 병목에 대응되는 각각의 크기를 가지는 끼움부(12)와 걸림부(13)를 가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정해진 크기의 병목에만 적용될 수 있어 병목의 지름이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홀더가 제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패트병의 병목을 쉽게 홀딩하고 병목으로부터 작은 힘으로도 쉽게 홀딩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 패트병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트병의 병목 외주연 전체가 골고루 홀딩되도록 하여 이탈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패트병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크기를 가지는 패트병의 병목에도 안정적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는 패트병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 몸체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형성되고 패트병의 병목이 끼워지기 위한 원형의 끼움공을 가지는 끼움구; 끼움구의 내주연 전체에 복수개의 걸림편들이 톱니 형상을 가지도록 연결부로부터 단부를 향하여 역삼각형으로 절개되는 절개홈 만큼 상호간 이격된 상태로 연장 배열되어 상기 끼움공에 패트병의 병목이 삽입시 병목의 하단부에 걸림편들이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구; 및 상기 걸림편들 중 서로 인접한 걸림편들의 단부측을 연결하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패트병 홀더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끈은, 상기 걸림편들의 단부측에 걸림편들과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편들은, 끼움구의 연결부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절개홈을 통해 그 면적이 좁아지고 단부의 두께가 연결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끼움공에 작은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의 병목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단부만이 휘어져 병목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끼움공에 큰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의 병목이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와 단부 모두가 휘어지면서 병목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원형의 끼움구 내주연 전체에 배열되는 톱니형상의 걸림편들에 의해 다른 크기를 가지는 패트병의 병목에도 안정적으로 적용되어 한 쌍의 패트병을 운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구의 내주연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걸림편들의 단부가 연결부에 비해 더 잘 휘어지도록 하여 패트병의 병목을 쉽게 홀딩하고 작은 힘으로도 쉽게 홀딩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끈에 의해 일부의 걸림편들의 단부가 연결되어 걸림편들의 단부가 잘 휘어지도록 하면서도 인접한 걸림편들의 단부와의 연결을 통한 소정의 저항력을 가지도록 하여 병목이 끼움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형의 끼움공 내주연 전체에 걸림편들이 형성됨으로써, 병목의 외주연 전체를 골고루 걸림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홀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패트병 홀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트병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패트병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4는 도 2의 패트병 홀더에 서로 다른 크기의 패트병이 홀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트병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패트병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4는 도 2의 패트병 홀더에 서로 다른 크기의 패트병이 홀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트병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패트병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패트병 홀더에 서로 다른 크기의 패트병이 홀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트병 홀더(10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는 몸체(110), 몸체(110)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형성되고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이 끼워지기 위한 원형의 끼움공(121)을 가지는 끼움구(120), 끼움구(120)의 내주연 전체에 복수개의 걸림편(131)들이 톱니 형상을 가지도록 연결부(131a)로부터 단부(131b)를 향하여 역삼각형으로 절개되는 절개홈(133) 만큼 상호간 이격된 상태로 연장 배열되어 상기 끼움공(121)에 작은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1)이 삽입되는 경우 단부(131b)만이 휘어지면서 병목(210-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끼움공(121)에 큰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2)이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131a)와 단부(131b) 모두가 휘어지면서 병목(210-2)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병목(210-1,210-2)의 홀딩 또는 홀딩 해제가 용이하도록 하는 걸림구(130) 및 상기 걸림편(131)들 중 서로 인접한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측을 연결하여 작은 지름을 가지는 병목(210-1)을 걸림편(131)의 단부(131b)만이 지지하는 경우 또는 패트병(200)의 운반에 따라 병목(210-1,210-2)이 어느 한쪽으로 급격하게 기울어지는 경우 걸림편(131)이 보다 쉽게 변형되어 병목(210-1,210-2)이 끼움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접한 걸림편(131)들에게 소정의 저항력을 임의로 제공하는 연결끈(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트병 홀더(100)는, 상기 끼움구(1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패트병(200)의 홀딩 해제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끼움구(120)와 걸림구(130)에 사용자의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멍(151)을 가지는 손잡이(150)와, 상기 손잡이(150)의 대향되는 끼움구(120)의 내주연으로부터 몸체(110)를 향하여 형성되어 손잡이(150)를 이용한 패트병(200)의 홀딩 해제시 끼움구(120)로부터 패트병(200)의 홀딩 해제가 용이하도록 끼움구(120)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장홈(1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트병 홀더(100)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끼움구(120)에 한 쌍의 패트병(200)을 홀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하여 용이한 운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가장자리에 몸체(110)의 두께 보다 두께운 돌기를 형성하여 몸체(110)를 파지한 손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구(120)는, 몸체(110)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형성되고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이 끼워지기 위한 원형의 끼움공(12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끼움공(121)은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 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구(130)는, 상기 원형의 끼움공(121)에 끼워진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에 걸림 지지되는 복수개의 걸림편(131)들이 끼움구(120)의 내주연 전체에 톱니 형상을 가지도록 역삼각형의 절개홈(133)을 통하여 상호간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것으로,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가 끼움구(120)의 내주연에 연결된 연결부(131a)에 비하여 잘 휘어질 수 있도록 좁은 면적과 얇은 두께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상기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에 용이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편(131)은, 끼움구(12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끼움구(120)의 연결부(131a)로부터 단부(131b)로 갈수록 절개홈(133)을 통해 그 면적이 좁아지고 또한, 단부(131b)의 두께(t2)가 연결부(131a)의 두께(t1)보다 얇은 톱니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1a)와 단부(131b)의 경계는 연결부(131a)와 끼움구(120)의 접점부위로부터 단부(131b)의 끝단까지의 전체 길이 중 절반 정도이고, 상기 단부(131b)는 경계 부위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테이퍼지면서 좁아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걸림편(131)은 단부(131b)측이 연결부(131a)측 보다 상대적으로 더 잘 휘어지게 되어 끼움공(131)에 병목(210-1,210-2)의 끼움 삽입시 끼움공(131)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다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병목(210-1,210-2)의 끼움(홀딩)과 끼움 해제(홀딩 해제)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1a)의 경우에는 상기 단부(131b) 보다는 상기 걸림편(131)들이 역삼각형의 절개홈(133) 만큼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더라도 강한 외력(사용자가 병목을 끼움구에 삽입할 때 발생하는 힘)이 발생되지 않으면 잘 휘어지지 않아 병목(210-1,210-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공(121)의 지름은 약 32.0mm 정도를 가지고, 상기 걸림편(131)의 길이에 따른 끼움공(121)의 지름은 약 20.4mm 정도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28mm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1)이 끼움공(121)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편(131)의 단부(131b)만이 경계부위로부터 가장 많이 휘어지면서 병목(210-1)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되고, 30mm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2)이 끼움공(121)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편(131)의 연결부(131a)와 단부(131b)가 각각 접점부위와 경계부위로부터 가장 많이 휘어지면서 병목(210-2)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됨으로써, 다른 크기를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어 각각의 패트병(200)에 대응된 패트병 홀더를 제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구(130)에 의하면, 걸림편(131)들이 절개홈(133)을 통해 단부(131b)가 연결부(131a) 보다 잘 휘어지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병목(210-1,210-2)의 홀딩과 홀딩해제가 적은 힘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끈(140)은, 상기 걸림편(131)들 중 서로 인접한 모든 또는 일부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측을 연결하여 상호간 인접된 걸림편(131)들로부터 소정의 저항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패트병(200)의 운반시 몸체(110)를 파지한 사용자의 힘에 의해 병목(210-1,210-2)이 어느 한쪽으로 급격하게 기울어지는 경우 해당 위치의 걸림편(131)들에게 인접한 걸림편들의 저항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해당 위치의 걸림편(131)들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해당 걸림편들이 너무 쉽게 변형되어 병목(210-1,210-2)이 끼움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저항력이란, 걸림편(131)의 단부(131b)가 너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한 쌍의 끼움구(120)에 끼워진 한 쌍의 패트병(200)의 운반을 위해 몸체(110)를 파지하여 들어 올리는 경우, 병목(210-1,210-2)의 하단부에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끼움구(121)에 해당 병목의 삽입시 사용자에 의한 강제적인 힘에 의해 걸림편들이 휘어지므로 상기 저항력에 의해 걸림편이 휘어지는 것이 방해받지는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구(121)에 지름이 작은 패트병(200)의 병목(210-1)이 끼워질 때, 걸림편(131)들이 단부(131b)만 휘어지면서 병목(210-1)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경우에 있어서, 연결끈(140)에 의해 인접한 걸림편(131)들의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가 너무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병목(210-1)이 끼움구(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끈(140)은, 상기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측에 얇은 끈 형상을 가지면서 걸림편(131)들과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끈(140)에 의하면, 상기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측에 끈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가 잘 휘어지도록 하면서도 인접한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와의 연결을 통한 소정의 저항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복수개 중 일부의 걸림편(131)들만이 병목(210-1,210-2)을 걸림 지지하는 경우 또는 작은 지름의 병목(210-1)이 끼워져 걸림편(131)의 단부(131b)만이 병목(210-1)을 걸림 지지하는 경우에도 병목이 끼움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트병 홀더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트병 홀더(100)의 끼움구(120)에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이 홀딩되도록 끼움구(120)가 병목(210-1,210-2)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끼움구(120)의 내주연에 배열된 복수개의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만 또는 연결부(131a)로부터 단부(131b)까지 모두 위 방향을 향하여 휘어지면서 병목(210-1,210-2)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쌍의 끼움구(120)에 끼워진 한 쌍의 패트병(200)의 운반을 위해 몸체(110)를 파지하여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걸림편(131)들이 병목(210-1,210-2)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걸림편(131)들은 단부(131b)측으로 압축력이 전달되어 병목(210-1,210-2)이 끼움구(12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는 역삼각형의 절개홈(133)에 따른 면적과 두께 차이에 의해 연결부(131a)에 비해 더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연결부(131a)와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면서 이격되는 경우에 비하여 홀딩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28mm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1)이 끼움공(121)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편(131)의 단부(131b)만이 경계부위로부터 휘어지면서 병목(210-1)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되고, 30mm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2)이 끼움공(121)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편(131)의 연결부(131a)와 단부(131b)가 접점부위와 경계부위로부터 모두 휘어지면서 병목(210-2)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되어, 다른 크기를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8mm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1)이 끼움공(121)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연결끈(140)에 의해 연결된 인접한 걸림편들의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되어 병목(210-1)이 끼움구(121)로부터 너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구(120)에 병목이 끼워진 상태에서, 패트병(200)의 운반시 몸체(110)를 파지한 사용자의 힘에 의해 병목(210-1,210-2)이 어느 한쪽으로 급격하게 기울어지는 경우, 해당 위치의 걸림편(131)들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걸림편들이 보다 쉽게 변형되어 병목(210-1,210-2))이 끼움구(12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걸림편(131)들의 인접한 일부 걸림편들의 단부(131b)측을 연결하는 연결끈(140)에 의하여 해당 걸림편(131)에 인접한 걸림편들의 소정의 저항력이 임의로 제공되어 병목(210-1,210-2)이 끼움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패트병 홀더(100)의 끼움구(120)에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이 홀딩 해제되도록 끼움구(120)가 병목(210-1,210-2)의 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끼움구(120)의 내주연에 배열된 복수개의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만 또는 연결부(131a)로부터 단부(131b)까지 아래 방향을 향하여 휘어지면서 병목(210-1,210-2) 하단부의 걸림 지지 상태가 해제된다.
즉, 사용자가 끼움구(120)에 끼워진 패트병(200)의 홀딩 해제를 위해 몸체(110) 또는 손잡이(150)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가 병목(210-1,210-2) 하단부의 아래 방향을 향하여 잘 휘어짐으로써, 병목(210-1,210-2)이 끼움구(120)로부터 쉽게 홀딩 해제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는 역삼각형의 절개홈(133)에 따른 면적과 두께 차이에 의해 연결부(131a)에 비해 더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연결부(131a)와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면서 이격되는 경우에 비하여 홀딩 해제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원형의 끼움구(120)의 내주연 전체에 배열되는 톱니형상의 걸림편(131)들에 의해 작은 크기의 병목(210-1)에는 걸림편(131)의 단부(131b)만이 휘어져 걸림 지지되도록 하고 큰 크기의 병목(210-2)에는 걸림편(131)의 연결부(131a)로부터 단부(131b)까지 휘어져 걸림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크기를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에도 안정적으로 적용되어 한 쌍의 패트병을 운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구(120)의 내주연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가 연결부(131a)에 비해 좁은 면적과 두께를 가지면서 이격됨으로써, 단부(131b)측이 연결부(131a)에 비해 더 잘 휘어지도록 하여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을 쉽게 홀딩하고 작은 힘으로도 쉽게 홀딩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끈(140)에 의해 일부의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걸림편(131b)들의 단부가 잘 휘어지도록 하면서도 인접한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와의 연결을 통한 소정의 저항력을 가지도록 하여 복수개 중 일부의 걸림편(131)들만이 병목(210-1,210-2)을 걸림 지지하는 경우에도 병목(210-1,210-2)이 끼움구(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형의 끼움공(121) 내주연 전체에 걸림편(131)들이 형성됨으로써, 병목(210-1,210-2)의 외주연 전체를 골고루 걸림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홀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 몸체(110);
몸체(110)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형성되고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이 끼워지기 위한 원형의 끼움공(121)을 가지는 끼움구(120);
끼움구(120)의 내주연 전체에 복수개의 걸림편(131)들이 톱니 형상을 가지도록 연결부(131a)로부터 단부(131b)를 향하여 역삼각형으로 절개되는 절개홈(133) 만큼 상호간 이격된 상태로 연장 배열되어 패트병(200)의 병목(210-1,210-2)이 삽입시 걸림편(131)들이 병목의 하단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구(130); 및
상기 걸림편(131)들 중 서로 인접한 걸림편(131)들의 단부(131b)측을 연결하는 연결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병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140)은,
상기 걸림편(131)들의 단부측에 걸림편들과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병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120)의 외주연에 구멍(151)을 가지며 형성되는 손잡이(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병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120)와 몸체(11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장홈(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병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31)들은,
끼움구(120)의 연결부(131a)로부터 단부(131b)로 갈수록 절개홈(133)을 통해 그 면적이 좁아지고 단부(131b)의 두께(t2)가 연결부(131a)의 두께(t1)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끼움공(121)에 작은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1)이 삽입되는 경우 단부(131b)만이 휘어져 병목(210-1)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끼움공(121)에 상기 작은 지름의 병목(210-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는 패트병(200)의 병목(210-2)이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131a)와 단부(131b) 모두가 휘어져 병목(210-2)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트병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9969U KR200457982Y1 (ko) | 2011-11-10 | 2011-11-10 | 패트병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9969U KR200457982Y1 (ko) | 2011-11-10 | 2011-11-10 | 패트병 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7982Y1 true KR200457982Y1 (ko) | 2012-01-18 |
Family
ID=4584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9969U KR200457982Y1 (ko) | 2011-11-10 | 2011-11-10 | 패트병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798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73574A (zh) * | 2018-06-19 | 2018-11-09 | 嘉亨家化股份有限公司 | 一种瓶体提手环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5968A (ko) * | 2001-07-11 | 2003-01-23 | 곽종운 | 미생물 접촉여재 및 그 제조방법 |
KR200305968Y1 (ko) | 2002-11-12 | 2003-03-04 | 박혜웅 | 패트병 홀더 |
KR20040031225A (ko) * | 2002-10-04 | 2004-04-13 | 주식회사 코오롱 | 2-클로로피리딘 n-옥사이드 수용액의 칼슘 이온 제거방법 |
KR200431225Y1 (ko) | 2006-08-30 | 2006-11-23 | 박혜웅 | 패트병 홀더 |
-
2011
- 2011-11-10 KR KR2020110009969U patent/KR20045798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5968A (ko) * | 2001-07-11 | 2003-01-23 | 곽종운 | 미생물 접촉여재 및 그 제조방법 |
KR20040031225A (ko) * | 2002-10-04 | 2004-04-13 | 주식회사 코오롱 | 2-클로로피리딘 n-옥사이드 수용액의 칼슘 이온 제거방법 |
KR200305968Y1 (ko) | 2002-11-12 | 2003-03-04 | 박혜웅 | 패트병 홀더 |
KR200431225Y1 (ko) | 2006-08-30 | 2006-11-23 | 박혜웅 | 패트병 홀더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73574A (zh) * | 2018-06-19 | 2018-11-09 | 嘉亨家化股份有限公司 | 一种瓶体提手环 |
CN108773574B (zh) * | 2018-06-19 | 2024-02-06 | 嘉亨家化股份有限公司 | 一种瓶体提手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34531B1 (en) | Plastic bottle carrier | |
US10993885B1 (en) | Baby bottle holder | |
US10624818B2 (en) | Baby bottle hold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US8984912B1 (en) | Handgrip sleeve for use with a crochet hook | |
JPH05305887A (ja) | 自転車用水筒ケージ | |
US10792227B2 (en) | Container gripping aid | |
US20070164495A1 (en) | Device For Supporting Bottles | |
US12053352B2 (en) | Bite block | |
US8402864B1 (en) | Wrench gripping assist apparatus | |
KR200457982Y1 (ko) | 패트병 홀더 | |
US20030146255A1 (en) | Beverage bottle holder | |
US20070090134A1 (en) | Garment hanger with size tab | |
KR200459432Y1 (ko) | 패트병 홀더 | |
KR20150001069U (ko) | 신체 착용형 물통 | |
KR200437090Y1 (ko) | 병 연결 홀더 | |
KR20100046937A (ko) | 용기 운반용 홀더 | |
KR200436714Y1 (ko) | 패트병 홀더 | |
US20100163587A1 (en) | Device to carry a bottle | |
US402644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articles on a tennis racquet | |
BRPI0410737A (pt) | gargalo de garrafas de plástico | |
CN210116763U (zh) | 一种饮料瓶提手 | |
KR102516739B1 (ko) | 음료용기 홀더 | |
KR101511057B1 (ko) |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페트병 홀더 | |
KR200475342Y1 (ko) | 음료 용기 손잡이 | |
US2441346A (en) | Bottle c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