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059Y1 - Bar for roof carrier - Google Patents

Bar for roof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059Y1
KR200437059Y1 KR2020070002406U KR20070002406U KR200437059Y1 KR 200437059 Y1 KR200437059 Y1 KR 200437059Y1 KR 2020070002406 U KR2020070002406 U KR 2020070002406U KR 20070002406 U KR20070002406 U KR 20070002406U KR 200437059 Y1 KR200437059 Y1 KR 200437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of carrier
groove
present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4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시우
신희택
연장흠
유병인
연정흠
지대현
김병완
황종일
Original Assignee
보원경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원경금속(주) filed Critical 보원경금속(주)
Priority to KR2020070002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0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05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루프캐리어에 사용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에 관한 것이다. 루프캐리어는 차내에 싣기 어려운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을 싣거나 차량의 실내 공간이 비좁은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내측면에 다수 개의 홈이 횡단면의 수직 방향으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된 루프캐리어용 바(bar)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같은 원재료를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시키고,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무게를 줄여 전체 루프캐리어를 경량화하여 차체에 주는 부담이 적어지게 하는 한편,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 for a loop carrier used for the loop carrier. The roof carrier can be usefully used when carrying a relatively bulky cargo that is difficult to carry in a vehicle or when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s smal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f carrier bar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an inner side along a length of a bar for a loop carrier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is reduced by using the same raw materials, and the weight of the roof carrier bar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vehicle body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entire roof carrier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roof carrier bar. It is effective to increase strength.

루프캐리어, 루프캐리어용 바(Bar), 홈, 사각홈, 원형홈, 삼각홈 Roof carrier, roof carrier bar, groove, square groove, round groove, triangle groove

Description

루프캐리어용 바{Bar for roof carrier}Bar for roof carrier

도 1은 루프캐리어가 장착된 자동차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roof carrier.

도 2은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의 형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roof carrier bar.

도 3의 (a)는 본 고안을 도시한 것으로 내측면에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홈을 구성한 루프캐리어용 바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a) show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of carrier bar constituting a groove having a rectangular shape on the inner side.

도 3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써, 내측면에 원형의 형상을 갖는 홈을 구성한 루프캐리어용 바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cross section of a roof carrier bar constituting a groove having a circular shape on the inner surface.

도 3의 (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써, 내측면에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홈을 구성한 루프캐리어용 바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cross section of a roof carrier bar constituting a groove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the inner surfa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루프캐리어 10: 루프캐리어용 바(bar)1: roof carrier 10: roof carrier bar

11: 사이드바 12: 크로스바11: sidebar 12: crossbar

20: 홈 22: 사각홈20: groove 22: square groove

24: 원형홈 26: 삼각홈24: round groove 26: triangle groove

본 고안은 차량에 장착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내측면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원재료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루프캐리어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면서도 일정크기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한 변형방지 효과를 갖도록 구성된 루프캐리어용 바(ba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 for a roof carrier mounted on a vehicle.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for the roof carri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raw materials,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roof carrier while maintaining a strength of a certain size or more,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 for a loop carrier configured to have a deformation preventing effect by the present invention.

최근 자동차의 수요는 일반 승용차보다는 SUV(Sports Utility Vehicles)나 RV(Recreational Vehicle)의 수용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차량의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는 평소에는 출퇴근용으로 사용되다가 주말에는 가족들과 야외로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목적 차량의 지붕에 짐을 실을 수 있는 루프캐리어가 설치하는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루프캐리어는 차내에 싣기 어려운 비교적 부피가 큰 화물을 싣거나 차량의 실내 공간이 비좁은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automobiles is increasing in acceptance of Sports Utility Vehicles (SUVs) or Recreational Vehicles (RVs) than ordinary cars.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ATVs is that there are many people who use their commuters for commute and enjoy leisure time with their family on weekends. The rate of installation of roof carriers that can load on the roof of such multipurpose vehicles is also increasing. Such a roof carrier can be usefully used when carrying a relatively bulky cargo that is difficult to carry in a vehicle or when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s small.

일반적인 루프캐리어(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사이드바(11)와 한 쌍의 크로스바(12)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사이드바(11)는 차량의 지붕에 양쪽에 설치가 되고, 그 사이드바(11)를 한 쌍의 크로스바(12)가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된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10)의 횡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과 같은 모양으로 그 안이 비어 있는 형상을 취한다.The general loop carrier 1 is composed of a pair of sidebars 11 and a pair of crossbars 12, as shown in FIG. The pair of sidebars 1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of of the vehicle, and a pair of crossbars 12 are connected to the sidebars 11. Thus, the cross section of the conventional roof carrier bar 10 installed as shown in FIG. 2 has a hollow shape in the shape of a steel pipe.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루프캐리어용 바(10)는 그 재질에 따라서 강도와 무게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서는 원가의 절감이나, 무게를 줄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루프캐리어(1)를 설치하고 짐을 싣게 되면 그만큼의 무게로 인하여 차량의 전체 무게가 증가하여 차량의 연비가 안 좋아질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roof carrier bar 10 having such a shape can adjust the strength and weight according to its material, bu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cost or reduce the weight by using the same material. In addition, when the roof carrier 1 is installed and loaded, the overall weight of the vehicle is increased due to the weight of the roof carrier,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of the vehicle.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같은 원재료를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시키고,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무게를 줄여 전체 루프캐리어를 경량화하여 차체에 주는 부담이 적어지게 하는 한편,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강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se problems, using the same raw materials to reduce the cost, the weight of the roof carrier bar (bar)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entire roof carrier to reduce the burden on the vehicle body,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bar for the loop carri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면에 다수 개의 홈이 횡단면의 수직 방향으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된 루프캐리어용 바(bar)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f carrier bar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an inner side along a length of a bar for a loop carrier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cross sec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루프캐리어용 바(10)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여러 형태로 다수의 홈(20)이 형성된다. 상기 루프캐리어용 바(10)는 차체 지붕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바(11)나 사이드바(11)를 연결하는 크로스바(12)로 적용되며, 이때 상기 홈(20)은 루프캐리어용 바(10)의 횡단면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따라서 길게 형성이 된다. 이와 같이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내측면에 다수의 홈(20)이 형성되면, 홈(20)의 부피만큼 원자재가 절감되고, 이를 통해 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of carrier ba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roof carrier ba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a plurality of grooves 20 are formed in various form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The roof carrier bar 10 is applied as a side bar 11 or a cross bar 12 connecting the side bars 1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roof, and the groove 20 is a roof carrier bar ( It is formed long along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10). As such, when a plurality of grooves 2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carrier bar 10, raw materials are reduced by the volume of the grooves 20, and thus, the cost is reduced.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20)은 횡단면의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는 사각홈(22)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홈(20)을 원형홈(24)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홈(20)을 삼각홈(26)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the groove 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groove 22 having a right angle at a cross section. 3 (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groove (24). In addition, Figure 3 (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groove (26).

상기와 같이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내측면에 홈(20)을 형성하면, 횡단면의 평균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압축 강도 및 인장 강도가 약해진다는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홈(20)의 형성으로 인하여 관성모멘트는 오히려 증가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측면에서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비틀림 강도와 굽힘 강도는 향상될 수 있다. 이렇듯 상기 홈(20)이 형성된 루프캐리어용 바(10)는 굽힘 강도 및 비틀림 강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홈(20)이 형성되지 아니한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10)와 유사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If the groove 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carrier bar 10 as described above,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becomes thin, there is a fear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may be weakened, but the formation of the groove 20 Due to the rather increased moment of inertia, the torsional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of the loop carrier bar 10 can be improved in terms of structure. As such, the loop carrier bar 10 having the grooves 20 formed therein may have a similar strength to that of the conventional roof carrier bar 10 in which the grooves 20 are not formed because the bending strength and the torsional strength are improved.

또한, 관성모멘트는 구조적 측면에서 단면의 형상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달라 지는데, 원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모멘트가 가장 강하고, 사각형, 삼각형의 순으로 그 강도가 약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홈(20)은 그 형상을 원, 사각형, 삼각형 등으로 변형할 수 있으므로 루프캐리어용 바(10)의 굽힘 강도 및 비틀림 강도는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ment of inertia varies in siz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in terms of structure. The moment of inertia has the strongest shape, and the strength decreases in the order of square and triangle. Therefore, since the groove 20 may be deformed into a circle, a rectangle, a triangle, or the like, the bending strength and the torsional strength of the roof carrier bar 10 may be adjusted.

또한, 상기 홈(20)을 형성할 때 홈(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횡단면 두께를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10)의 횡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하고, 상기 홈(20)을 조금 더 깊게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루프캐리어용 바(10)의 횡단면의 두께와 홈(20)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상기 홈(20)의 형성으로 관성모멘트의 증가시켜서 루프캐리어용 바(10)의 강도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forming the groove 20,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20 is not formed is thicker than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conventional roof carrier bar 10, the groove 20 is formed a little deeper can do.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oof carrier bar 10 and the depth of the groove 20 as described above, the inertia moment is increased by the formation of the groove 20 while the raw material can be saved. The strength can be made even better.

그리고 루프캐리어(1)를 제작할 시에 그 재료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가 되기 때문에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를 사용하거나 스틸을 사용하여 루프캐리어용 바(10)를 제작하는 경우, 제품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외부를 코팅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홈(20)은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내측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품의 외형 미관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When the roof carrier 1 is manufactured, the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en the roof carrier bar 10 is mad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or steel, the rust is prevented from rusting on the product. In order to coat inside and out. At this time, the groove 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carrier bar 10, there is no fear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lowered.

상기 루프캐리어용 바(10)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압출 방식을 사용하는데, 상기 홈(20)의 형상을 가진 틀을 만들고 그 틀 안으로 원재료를 압력을 가하여 밀어 넣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상기 압출 방식으로 상기 루프캐리어용 바(10)를 제작하면, 연삭 가공하여 홈(20)을 제조하는 방식보다 원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Extrusion method is used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oof carrier bar 10, and the mold is formed by pressing a raw material into the mold by pressing the raw material into the mold. When the bar carrier bar 10 is manufactured by the extrusion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loss of raw materials tha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roove 20 by grinding.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처럼 홈을 형성함으로써, 홈이 이루어지지 않은 곳의 두께는 일반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두께로 유지하여 원재료의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grooves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place where the grooves are not made can be maintained at the thickness of the bar for the general roof carrier,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raw materials.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루프캐리어용 바는 홈이 형성됨에 따라 관성모멘트가 증가되므로, 홈의 형성으로 인해 횡단면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져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ar for the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moment of inertia as the groove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ickness of the cross-section is partially thin due to the formation of the groove can compensate for the weakening of the strength.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루프캐리어용 바는 상기 홈이 외측면이 아닌 내측면에 형성되므로 외부의 미관에는 변화를 주지 않고, 상기 홈의 형성으로 인하여 루프캐리어의 전체적인 무게가 경량화되므로 차량의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oof carrier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nge the external appearance because the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not the outer side, and the overall weight of the roof carrier is lighten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groove, thereby reducing fuel economy of the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aved.

Claims (5)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다수 개의 홈이 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carrier bar (ba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은 사각형의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The groove is a roof carrier bar (ba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hape of a squa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은 원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The groove is a roof carrier bar (b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longitudinal cross-s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은 삼각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The groove is a loop for the carrier bar (ba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triangular longitudinal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압출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Roof carrier bar (bar),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the extrusion method
KR2020070002406U 2007-02-09 2007-02-09 Bar for roof carrier KR2004370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406U KR200437059Y1 (en) 2007-02-09 2007-02-09 Bar for roof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406U KR200437059Y1 (en) 2007-02-09 2007-02-09 Bar for roof c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059Y1 true KR200437059Y1 (en) 2007-10-30

Family

ID=4163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406U KR200437059Y1 (en) 2007-02-09 2007-02-09 Bar for roof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05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02B1 (en) * 2007-12-12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oof carrier b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02B1 (en) * 2007-12-12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oof carrier 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4323B2 (en) Twenty-four-cornered strengthening member for vehicles
US9452724B2 (en) Bumper beam
US10696255B2 (en) Impact absorbing element
US9340172B2 (en) Tubular back beam assembly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16767B2 (en) Front axle mounting with crash grooves
US20020053805A1 (en) Bumper reinforcement structure
US20160375935A1 (en) Sixteen-cornered strengthening member for vehicles
US9457843B2 (en) Vehicle body and use thereof
EP1364821A1 (en) Structural member of automobile and automobile body comprising it
KR200437059Y1 (en) Bar for roof carrier
JP2001199292A (en) Bumper reinforcement
US9205726B2 (en) Door beam for vehicles
ES2804040T3 (en) Profiled bar and suspension spring manufactured from said profiled bar
JP3938451B2 (en) Energy absorbing member
US9669686B2 (en) Support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WO2015190122A1 (en) Structural member for automobile
US10981608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back face of a vehicle compartment
JP3628821B2 (en) Hollow composite member
JP4104530B2 (en) Door beam
KR100887802B1 (en) Roof carrier bar
JP4734129B2 (en) Automotive strength members with excellent impact characteristics
JP2001114044A (en) Energy absorbing member
KR20110122596A (en)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