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802B1 - Roof carrier bar - Google Patents
Roof carrier 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7802B1 KR100887802B1 KR1020070129482A KR20070129482A KR100887802B1 KR 100887802 B1 KR100887802 B1 KR 100887802B1 KR 1020070129482 A KR1020070129482 A KR 1020070129482A KR 20070129482 A KR20070129482 A KR 20070129482A KR 100887802 B1 KR100887802 B1 KR 100887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
- groove
- carrier bar
- roof carrier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루프캐리어용 바(ba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 형상의 변경을 통해 경량화를 이루면서 개선된 합금을 사용하여 단면 감소에 따른 강도 저하를 방지하여 구성한 루프캐리어용 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 for a roof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of carrier bar configured by preventing a decrease in strength due to a reduction in cross section by using an improved alloy while reducing weight by changing a cross-sectional shape.
최근의 자동차 수요동향을 살펴보면, 경제성과 활동성이 부각되는 다목적 차량, 즉 SUV(Sports Utility Vehicles)나 RV(Recreational Vehicles)의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소비자들의 선호에 발맞추어 세계의 각 자동차 메이커들은 새로운 기능 및 디자인을 갖춘 신차들을 계속해서 경쟁 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recent trends in the demand for automobiles show that the demand for multipurpose vehicles (SUVs (SUVs) or Recreational Vehicles (SUVs), which are both economic and active, is on the rise. Are continually rolling out new cars with new features and designs.
이러한 다목적 차량의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가족들과 야외로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평소에는 출퇴근용으로 사용하다가 주말에는 레저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such ATVs is that a lot of people are enjoying leisure time with their families in recent years because they can usually use it for commuting and for leisure on weekends.
하지만, 다목적 차량이라 하더라도 차량의 실내 또는 트렁크 룸의 수납공간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크거나 길이가 긴 화물 등은 적재할 수 없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SUV 또는 RV 차량에서는 루프 패널의 상측으로 루프캐리어(roof carrier)를 설치하여 화물을 적재토록 하고 있다.However, even in a multi-purpose vehicle, the storage space of the vehicle interior or the trunk room is limited in size so that bulky or long cargo cannot be loaded.In view of this, roof panels are used in SUV or RV vehicles. The roof carri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so that cargo can be loaded.
최근 루프에 짐을 실을 수 있는 루프캐리어를 설치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차내에 싣기가 어려운 비교적 큰 부피의 화물을 적재하거나 차량의 실내 공간이 비좁은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Recently, the rate of installing a roof carrier that can load the roof is gradually increasing, it can be useful when load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of cargo that is difficult to load in the car or whe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s smal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루프캐리어(1)는 루프 패널에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side bar)(11)와, 이 사이드바의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크로스바(cross bar)(1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general roof carrier 1 has a pair of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11)가 차량 루프의 양 사이드 쪽에 설치되고, 상기 두 사이드바(11) 사이에 한 쌍의 크로스바(12)가 횡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Here, the pair of
이렇게 설치되는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10)는 그 횡단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과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어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conventional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루프캐리어용 바(10)는 관의 형상으로 최대한 무게를 줄이고 있지만, 무게가 무거울수록 차량의 루프에 무리를 주고, 차량 중량을 증가시켜 연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경량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루프캐리어의 전체 무게를 줄여 차량의 경량화에 기여하면서도 강성은 기존 사양과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루프캐리어용 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f carrier bar that reduces the overall weight of the roof carrier and contributes to light weight of the vehicle while maintaining the rigidity at the same level as the existing specification. .
이와 같은 목적은 루프캐리어용 바의 단면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This object can be achieved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ar for the roof carrier.
또한 단면 형상의 변경에 따른 강성 저하는 기존 합금에서 미량 원소의 함량을 변경하는 동시에 신규 원소를 추가한 개선 합금을 적용함으로써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egradation of the rigid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possible by applying an improved alloy with the addition of new elements while changing the content of trace elements in the existing allo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루프캐리어용 바에 있어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관의 내측면에 다수 개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op carrier bar installed in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do.
또한 본 발명은,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관의 내측면에 다수 개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Cr 0.1 중량% 이하, Cu 0.1 중량% 이하, Fe 0.2 중량% 이하, Mg 0.5 ~ 0.8 중량%, Si 1.0 ~ 1.2 중량%, Mn 0.1 ~ 0.2 중량%, Zn 0.1 ~ 0.2 중량%, Sc 0.1% 이하, 그리고 잔량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0.1 wt% or less Cr, 0.1 wt% or less Cu, 0.2 wt% or less Fe, Mg 0.5 ~ 0.8% by weight, Si 1.0 ~ 1.2% by weight, Mn 0.1 ~ 0.2% by weight, Zn 0.1 ~ 0.2% by weight, Sc 0.1% or less, and the balan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loy made of aluminum.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홈은 중공관의 횡단면 상에서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n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tube.
또한 상기 홈은 중공관의 횡단면 상에서 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on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tube.
또한 상기 홈은 중공관의 횡단면 상에서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n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tube.
또한 상기 중공관 및 홈은 압출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low tube and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extrusion process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용 바에 의하면, 루프캐리어용 바를 이루는 중공관의 내측면에 홈을 형성하여 외부의 미관에는 변화를 주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홈의 형성을 통해 루프캐리어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oof carrier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groove i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tube constituting the roof carrier bar to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loop carrier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groove in the state without changing the external appearance.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is effective.
또한 개선된 합금을 적용하여 단면적이 감소되더라도 기존 사양과 동등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by applying the improved alloy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same strength as the existing specification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의 횡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r for a loop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는 내측면에 다수개의 홈이 횡단면의 수직방향, 즉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The roof carrier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10)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20)이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the
이때, 홈들은 단면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형성되며, 바(10)의 횡단면의 수직방향으로, 즉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groov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ross section, are form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 it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이와 같이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내측면에 다수의 홈(20)이 형성되면, 홈(20)이 차지하는 부분만큼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원자재도 절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상기 홈은 단면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 가능하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홈(20)을 횡단면의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는 사각홈(22)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groov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as shown in FIG. 3 (a), as an embodiment, the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홈(20)을 원형홈(24)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3 (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 3의 (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홈(20)을 삼각홈(26)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3 (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한 홈(20)의 형성으로 인해 단면 형상은 변하게 되고, 기존 사양보다 관성모멘트는 증가하기 때문에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비틀림 강도와 굽힘 강도는 향 상된다. Due to the formation of the
또한 관성모멘트는 구조적 측면에서 단면 형상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데, 원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모멘트가 가장 강하고, 사각형, 삼각형의 순으로 그 강도가 약해진다. In addition, the moment of inertia varies in size depending on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erms of structure. The moment of inertia has the strongest moment, and the strength decreases in the order of square and triangle.
그러므로 상기 홈(20)의 형상을 원, 사각형, 삼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루프캐리어용 바(10)의 굽힘 강도 및 비틀림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shape of the
또한 상기 홈(20)을 형성할 때 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횡단면 두께(관 벽의 두께)를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의 횡단면 두께보다 두껍게 하고, 상기 홈(20)을 조금 더 깊게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이처럼 루프캐리어용 바(10)의 횡단면의 두께와 홈(20)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여 홈(20)의 형성으로 관성모멘트의 증가시켜서 루프캐리어용 바(10)의 굽힘 및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그러나,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내측면에 홈(20)을 형성하면, 단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압축 및 인장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However, whe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미량 원소를 변경하여 개선한 알루미늄 합금을 적용하였으며, 기존 루프캐리어용 바의 소재가 되는 종래 합금과 본 발명의 소재가 되는 개선 합금의 성분(함량 단위:중량%)을 아래와 같이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luminum alloy improved by changing a trace element is applied, and the components (content unit: weight%) of the conventional alloy, which is a material of the existing roof carrier bar, and the improved alloy,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ison is shown below.
표 1의 개선 합금에서, 증가된 Mg과 Si(Mg:0.5 ~ 0.8 중량%, Si:1.0 ~ 1.2 중량%)는 Mg2Si 석출물 생성으로 강도를 향상시킨다. In the improved alloy of Table 1, the increased Mg and Si (Mg: 0.5-0.8 wt%, Si: 1.0-1.2 wt%) improve the strength with Mg 2 Si precipitate formation.
Mg을 0.5 중량% 이하로 하고, Si를 1.0 중량% 이하로 할 경우, 종래 합금의 강도 수준을 나타내어 단면 축소된 루프캐리어용 바에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When Mg is 0.5% by weight or less and Si is 1.0% by weight or less, the strength level of the conventional alloy is exhibited, so that it is insufficient to be used in the cross-carrier bar carrier.
그리고, Mg을 0.8 중량%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공정시 압출압력을 증가시켜 양산속도 및 금형수명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Mg is 0.8 wt% or more, the extrusion pressure is increased during the process, which adversely affects the mass production speed and the mold life.
Mg을 0.5 ~ 0.8 중량%로 한정할 경우, Si가 1.2 중량% 이상이면 규소 편석 현상이 발생하여 품질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When Mg is limited to 0.5 to 0.8% by weight, Si is not more than 1.2% by weight, because silicon segregation may occur, which may cause quality problems.
Zn(0.1 ~ 0.2 중량%)도 마찬가지로 석출경화성 원소로서, MgZn2로 화합하여 석출 과정에서 시효경화성을 촉진시킨다.Similarly, Zn (0.1 to 0.2% by weight) is also a precipitate hardenable element, which is compounded with MgZn 2 to promote age hardenability in the precipitation process.
Zn이 0.2 중량% 이상일 경우, Zn 화합물의 입계 편석으로 인해 충격 특성이 저하되며, 이런 경우에는 과시효처리로 해결할 수 있으나, 원가 상승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When Zn is 0.2% by weight or more, the impact characteristics are lowered due to grain boundary segregation of the Zn compound. In this case, overaging may be solved, but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cost increase.
균일하게 분포한 Mn(0.1 ~ 0.2 중량%)은 강도 증가로 인한 취성을 방지해 주며, 0.2 중량% 이상이면 취약한 석출물을 형성시킬 수 있다.Evenly distributed Mn (0.1 ~ 0.2% by weight) prevents brittleness due to the increase in strength, if more than 0.2% by weight can form a weak precipitate.
Sc(0.1 중량% 이하)는 결정립 미세화 원소로서, 소성가공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단, 고가의 소재이므로 함유량을 0.1% 이하로 제한한다.Sc (0.1 wt% or less) is a grain refinement element, and serves to improve plastic workability. However, since the material is expensive, the content is limited to 0.1% or less.
상기와 같은 개선된 합금을 적용하면 단면적 감소로 인한 강도 저하를 막을 수 있고, 기존 사양과 동등 수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Applying the improved alloy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the strength degradation due to the reduction in cross-sectional area,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ame level of strength as the existing specifications.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용 바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oof carrier bar of this invention is as follows.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의 합금 소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빌렛 제조 공정으로 직경 7인치, 길이 50cm의 빌렛을 제조한다. As shown in FIG. 4, a billet having a diameter of 7 inches and a length of 50 cm is manufactured by a general billet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alloying materials shown in Table 1.
이 빌렛을 450℃로 예열하여 금형에 삽입하고, 간접 압출 공정으로 1차 제품을 만들고 난 뒤 열처리(150℃, 4시간 유지)를 하여 최종 제품을 만든다. The billet is preheated to 450 ° C. and inserted into a mold. The first product is made by an indirect extrusion process, and then heat treated (150 ° C. for 4 hours) to produce a final product.
그리고, 루프캐리어(1)를 제작할 때,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강을 사용하거나, 스틸을 사용하여 루프캐리어용 바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품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 외부를 코팅하여 사용한다. When the roof carrier 1 is manufactured, it is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and when the roof carrier bar is mad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or steel is used,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roof carrier 1 are prevented from being rusted. Coated and used.
이때, 상기 홈(20)은 루프캐리어용 바(10)의 내측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품의 외형 미관을 저하시킬 염려가 없다.At this time, since the
위에 기술한 내용을 강도 평가를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하였다. The above description was concretely realized through strength evaluation.
먼저, 종래 합금과 개선 합금의 강도와 신율은 아래의 표 2와 같고, 개선 합금의 경우에 종래 합금과 비교하여 강도와 신율이 모두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First, th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conventional alloy and the improved alloy are shown in Table 2 below, and it was found that both th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were improved in the case of the improved allo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lloy.
굽힘 강도의 평가 결과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The evaluation result of bending strength is as showing in FIG.
도 5에서, 파란색 파선으로 표시한 것이 종래 사양의 강도를 나타낸다. In FIG. 5, the blue dashed line indicates the intensity of the conventional specification.
종래 합금을 사용한 상태에서 단면 형상만을 변경한 사양은 빨간색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Specifications in which only the cross-sectional shape is changed in the state of using a conventional alloy are indicated by broken red lines.
두 개의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단면 형상을 통해 무게는 감소하나, 단면적 감소로 인해 강도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Comparing the two graphs, it can be seen that the weight is reduced through the cross-sectional shape, but the strength is decreased due to the reduction in the cross-sectional area.
종래 단면 형상에 개선 합금을 적용한 사양이 연보라색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종래 사양보다 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in which the improved alloy i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cross-sectional shape is indicated by the light purple dashed lin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trength is improved than the conventional specification.
즉, 개선 합금이 강도 향상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해 주는 결과이다. That is, it is a result confirming that the improvement alloy has the effect of strength improvement.
그러나, 이는 종래 사양과 단면 형상이 같으므로 경량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However,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specification, the weight is not achieved.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의 변경과 개선 합금의 사용 2가지 모두를 적용한 사양은 검은색 1점 쇄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단면 형상 변경을 통해 경량화를 이루었으며 종래의 사양과 동일한 강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단면 형상 변경으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는 부분을 개선 합금으로 충분히 보완하였음을 알 수 있다. As sugge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 to which both the chang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use of the improved alloy is applied is represented by the black dashed-dotted line.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shape, the weight was achiev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s the same strength as the conventional specifi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ortion sufficiently reduced in strength due to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improved alloy.
위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제안이 경량화를 이루면서도 강도의 저하가 없는 루프캐리어용 바(bar)를 제작하는데 성공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the present proposal succeeded in producing a bar for a loop carrier without reducing the strength while reducing the weight.
도 1은 통상의 루프캐리어가 설치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oof carrier is installed,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의 횡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of carrier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의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of carrier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루프캐리어용 바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r for the roof carrier,
도 5는 루프캐리어용 바의 소재가 되는 합금의 굽힘 강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Fig. 5 shows the bending strength evaluation results of an alloy serving as a material for a roof carrier ba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루프캐리어 10 : 루프캐리어용 바1: loop carrier 10: roof carrier bar
11 : 사이드바 12 : 크로스바11: sidebar 12: crossbar
20 : 홈 22 : 사각홈20: groove 22: square groove
24 : 원형홈 26 : 삼각홈24: circular groove 26: triangular groov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9482A KR100887802B1 (en) | 2007-12-12 | 2007-12-12 | Roof carrier b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9482A KR100887802B1 (en) | 2007-12-12 | 2007-12-12 | Roof carrier b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7802B1 true KR100887802B1 (en) | 2009-03-09 |
Family
ID=4069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9482A KR100887802B1 (en) | 2007-12-12 | 2007-12-12 | Roof carrier b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780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4491A (en) * | 2000-12-06 | 2002-06-15 | 이계안 | Roof rack carrier for an automobile |
KR200437059Y1 (en) * | 2007-02-09 | 2007-10-30 | 보원경금속(주) | Bar for roof carrier |
-
2007
- 2007-12-12 KR KR1020070129482A patent/KR10088780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4491A (en) * | 2000-12-06 | 2002-06-15 | 이계안 | Roof rack carrier for an automobile |
KR200437059Y1 (en) * | 2007-02-09 | 2007-10-30 | 보원경금속(주) | Bar for roof carr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11622B (en) | Austenitic steel having high strenght and formability method of producing said steel and use thereof | |
JP5588170B2 (en) | 7000 series aluminum alloy extruded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US8105449B2 (en) | High-strength aluminum alloy extruded product with excellent impact absorption and stress corrosion cracking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277297B1 (en) | High-strength high-ductility magnesium alloy extrusions with low anisotrop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052029B2 (en) | Light and excellent ductility bead wir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ghtweight tire | |
CN108893659B (en) | Aluminum alloy for automobile structural member and processing method of section bar of aluminum alloy | |
CN104071106B (en) |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automobile aluminium alloy bumper | |
JPH0860285A (en) | Bumper reinforcement made of aluminum alloy and its production | |
US20230349033A1 (en) | Highly formable, recycled aluminum alloy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CN111801433B (en) | Hollow extrusion material of Al-Mg-Si series aluminum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H0463242A (en) | Steel tube for reinforcing car body | |
US20140166165A1 (en) | High-strength aluminum alloy extruded shape exhibit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ductility, and harden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0981856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coating characteristics | |
EP3218528B1 (en) | Multipurpose heat treatable aluminum alloys and related processes and uses | |
EP3555332B1 (en) | High strength and highly formable aluminum alloys resistant to natural age hardening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KR20140044488A (en) | Compositon of aluminum alloy and heat treatment method the sameof | |
KR100887802B1 (en) | Roof carrier bar | |
JP5946425B2 (en) | Method for producing aluminum alloy extruded material | |
JP4452696B2 (en) |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aluminum alloy material for automobile headrest frame with improved workability | |
JP3539980B2 (en) | Aluminum alloy automobile side door impact beam | |
US8313590B2 (en) | High strength aluminium alloy extrusion | |
KR200437059Y1 (en) | Bar for roof carrier | |
JP2004332112A (en) | High-strength aluminum alloy excellent in ductility | |
KR101271837B1 (en) | Hyper eutectoid steel wire having high strength and duct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EP3239313B1 (en) | Wrought aluminum allo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