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044Y1 - 사진틀 겸용 광고판 - Google Patents

사진틀 겸용 광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044Y1
KR200437044Y1 KR2020060028596U KR20060028596U KR200437044Y1 KR 200437044 Y1 KR200437044 Y1 KR 200437044Y1 KR 2020060028596 U KR2020060028596 U KR 2020060028596U KR 20060028596 U KR20060028596 U KR 20060028596U KR 200437044 Y1 KR200437044 Y1 KR 200437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body portion
billboard
intermediate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자
Original Assignee
박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자 filed Critical 박현자
Priority to KR2020060028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0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0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47G1/143Pivotabl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틀의 기능과 함께 광고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사진틀 겸용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은, 배면이 벽면에 접촉하는 후방판체부(11)와; 상단부가 후방판체부(11)의 상단부에 결합된 중간판체부(12)와; 배면의 네 테두리부 중 하단부 테두리를 포함한 적어도 두 테두리부가 중간판체부(12)의 전면(12SF)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창(W)이 관통 형성된 전방판체부(13) 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은, 사진틀로서만의 역할이 가능하며, 광고가 노출되지 않고 필요 시마다 광고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광고판, 산진틀, 광고

Description

사진틀 겸용 광고판{A combination photo frame and billboard}
도 1은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 제작용 판체의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 제1실시예를 펼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가)는 펼친 상태의 배면도이고,
(나)는 벽에 부착ㄷ횐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후방판체부 12. 중간판체부 13. 전방판체부
B. 절곡선 H. 통공 S. 벽
본 고안은, 다수의 절곡선이 형성된 한장의 판체를 종이접기식으로 다수회 절곡하여 제작되며, 광고판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사진틀이 광고판과 중첩된 상태에서는 사진틀로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시 사진틀을 회동시켰을 경우에 광고판의 광고를 볼 수 있도록 한, 사진틀 겸용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광고 사회라 불릴만큼 수 많은 광고가 실시되고 있는 바, 제품, 서비스 등에 대한 각종 유·무형의 재화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널리 알림으로써 재화의 판매를 유도하기 위한 행위인 광고는, 소비자의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신문, 방송 등의 광고매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광고는, 전국 또는 비교적 넓은 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광고와, 좁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광고로 구분될 수 있는데, 대규모 광고는 신문, 방송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소규모 광고는 전단지, 판촉물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특히, 방송을 통한 대규모 광고는, 일정 기간 계속 반복되면서 시청자의 머리에 광고의 내용을 자연스럽게 각인되는 등 광고 효과가 비교적 크나, 전단지, 판촉물 등에 의한 소규모 광고의 경우에는 그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소규모의 광고가 대규모 광고에 비하여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대규모 광고의 경우 시청자가 청취하거나 시청하는 방송 중 또는 그 전·후에 방송 되기 때문에, 굳이 시청자가 방송을 바꾸지 않는 경우, 광고 내용을 반복하여 보거나 들을 수 밖에 없으나, 대부분의 경우 매장이나 길 등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소규모 광고용 전단지 등은 소비자들에 전달되는 즉시 대부분 버려지기 때문이다.
이는, 신문의 지면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대규모 광고와 달리, 신문에 끼워져 신문과 함께 배달되는 지역 광고 전단지의 경우에도 비슷하다.
따라서, 음식점, 슈퍼마켓 등과 같이 소규모 지역을 대상으로 재화를 판매하는 지역 사업자들은, 자신들의 광고 전단지 등이 전달 즉시 버려지지 않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바, 대표적인 것으로는, 특히, 중국 음식점 등에서 제공되는 이쑤시개 박스를 예로 들 수가 있다.
상기 이쑤시개 박스에는 음식점의 상호와 전화번호 등이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박스에 넣어져 있는 이쑤시게 모두를 사용할 때까지 소비자들이 이쑤시개 박스를 버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소규모 광고에 사용되는 전단지나 판촉물 등에 의한 광고 효과가 전달된 수량에 비하여 낮은 것은, 전단지나 판촉물 등이 전달 즉시 버려지기 때문으로써, 이는 그 효용성이 극히 떨어지는데 기인하는 바, 소규모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종래의 단순 전단지나 판촉물 등으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소비자가 장시간 버리지 않고 계속적으로 광고를 볼 수 있을 정도의 광고물을 만들어 배포하기에는 소규모 지역 사업자의 경우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는 바, 소규모 지역 사업자의 경우 현재에도 단순 전단지 등을 이용하여 광고를 지속할 수 밖에 없으며, 종래의 전단지 등을 대체할만한 수단이 없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소규모 광고에 사용되는 종래의 전단지나 판촉물 등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비자들이 받았을 경우 간단한 소품으로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볼 수 없으나 필요 시에는 광고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싸지 않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광고수단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종이접기식 구조와, 한 장으로 이루어지되 종이접기식 구조의 적용이 가능한 판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은, 한 장의 판체를 종이접기식으로 접은 후 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사용한 부분 접착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종이접기식 구조가 적용 가능한 재료로는 종이류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류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종이류의 경우, 일반적인 시트상의 종이도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사진틀로서의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강성을 가져야 하는 바,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보드지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은, 한 장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판체는, 전방판체부, 중간판체부 및 후방판체부 등으로 구분되며, 그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판체부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가정한다.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은 한 장의 판체로 이루어지나, 다수의 일직선형 절곡부에 의해 전방, 중간 및 후방판체부 등으로 구분되며, 각 판체부는 절곡선을 따라 인접 판체부에 대하여 접혀지는 구조로서,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판체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상·하부절곡선이 형성되며, 두 절곡선에 의해 판체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전방판체부, 중간판체부 및 후방판체부 등이 순차적으로 구분 형성되고, 전방판체부와 중간판체부는 하부절곡선을 따라 함께 접혀져 후방판체부와 중첩된 후, 전방판체부는 상부절곡선을 따라 졉혀짐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전방판체부와 중간판체부 및 후방판체부가 중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전방판체부의 중앙부에는 관통공 즉, 창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3중 중첩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중간판체부와 연결되는 절곡선부를 제외한 전방판체부 배면의 세 테두리부 중 두 테두리부 또는 절곡선부와 평행한 테두리부가 중간판체부의 전면 테두리부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중첩된 전방판체부와 중간판체부가 사진틀을 형성하게 된다.
즉, 중첩된 전방판체부와 중간판체부 사이에 사진을 넣음으로써 전방판체부의 창을 통하여 사진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간판체부는 후방판체부와 절곡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후방판체부 에 대하여 중간판체부는 절곡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서, 전방판체부와 중간판체부로 이루어진 사진틀을 들어 올림으로써 후방판체부의 전면을 볼 수 있게 되는 바, 후방판체부의 전면에 광고를 직접 인쇄하거나, 제본된 다수의 전단지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즉, 후방판체부가 광고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사시도를, 도 2에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정면도를, 도 3에 본 고안 제1실시예 제작용 판체의 전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은,
배면이 벽에 접촉하게 되는 후방판체부(11)와;
상기 후방판체부(11)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후 절곡선(B)을 따라 그 배면(12SR)이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에 중첩되도록 즉,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 측으로 절곡되는 중간판체부(12)와;
상기 중간판체부(12)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후 절곡선(B)을 따라 그 배면이 중간판체부(11)의 전면(12SF)에 중첩되도록 즉, 중간판체부(11)의 전면(12SF) 측으로 절곡되며, 그 배면의 세 테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테두리부가 중간판체부(12)의 전면(12SF)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창(W)이 관통 형성된 전방판체부(13)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전방판체부(11)와 중간판체부(12) 및 후방판체부(13)는, 상기와 같이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 판체부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전방판체부(13)의 배면 테두리부와 중간판체부(12)의 전면(12SF) 테두리부는 접착제나 테이프 등으로 결합되나, 클립 등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을, 최종 구조적인 측면에서 보면,
배면이 벽에 접촉하게 되는 후방판체부(11)와;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후방판체부(1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에 중첩되는 중간판체부(12)와;
배면 테두리부가, 상기 중간판체부(12) 전면(12SF)의 네 테두리부 중 하단 테두리부를 포함한 적어도 두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창(W)이 관통 형성된 전방판체부(13) 등으로 구성된다 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된 전방판체부(13)와 중간판체부(12)는 사진틀(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 1 내지 3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13SF"는 "전방판체부의 전면"이다.
이때, 상기 중간판체부(12)는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하단부가 회동 가능한 상태인 바, 필요시 중간판체부(12)의 하단부를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체부(12)의 배면(12SR) 일측과 그에 대응되는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 일측에 매직 테이프나 자석 등과 같이 서로 반복하여 부착 및 분리 가능한 탈부착부재(M)를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을, 자성체 금속으로 만들어진 냉장고 등의 외면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판체부(11)의 배면(11SR)에도 하나 이상의 탈부착부재(M)를 부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의 탈부착부재(M)는 자석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중간판체부(12)의 배면(12SR) 일측에는 탈부착부재(M)를 결합시키고, 그에 대응되는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 일측에는 통공(H)을 관통 형성시킴으로써, 중간판체부(12)의 배면(12SR)에 결합된 자석인 탈부착부재(M)가 상기 통공(H)을 관통한 후 냉장고 등의 벽(S)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는 바, 이를 도시한 것이 도 6이다.
상기 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은, 사진틀(1)을 들어 올리는 경우,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이 드러나게 되는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광고지들이 책과 같이 결합된 광고지묶음(14)을 후방판체부(11)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외에, 전방판체부(13)와 중간판체부(12) 및 후방판체부(11)의 평면적은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전방판체부(13)와 중간판체부(12)의 평면적을 같게 하면서 후방판체부(11)의 평면적을 중간판체부(12)보다 다소 크게 함으로써, 노출되는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에 중요한 광고 등을 인쇄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중간판체부(12)의 평면적을 전방판체부(13)보다 크게 할 수도 있는 등, 전방판체부(13)와 중간판체부(12) 및 후방판체부(11)의 상대적인 평면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진틀 겸용 광고판은, 광고판의 전면에 사진틀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진틀을 고정 시켰을 경우 광고판이 노출되지 않거나 일부만이 노출되는 바, 사진틀로서만의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 시마다 사진틀을 회동시켜 후방판체부의 전면을 노출시킬 수 있는 바, 후방판체부 역시 사진틀과 함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전면에 다수의 광고를 인쇄하거나 광고지묶음을 부착하는 방법을 통하여 지속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배면이 벽에 접촉하게 되는 후방판체부(11)와;
    상기 후방판체부(11)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절곡선(B)을 따라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 측으로 절곡되는 중간판체부(12)와;
    상기 중간판체부(12)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후 절곡선(B)을 따라 그 배면이 중간판체부(11)의 전면(12SF) 측으로 절곡되며, 그 배면의 세 테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테두리부가 중간판체부(12)의 전면(12SF)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창(W)이 관통 형성된 전방판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틀 겸용 광고판.
  2. 배면이 벽에 접촉하게 되는 후방판체부(11)와;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후방판체부(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간판체부(12)와;
    상기 중간판체부(12) 전면(12SF)의 네 테두리부 중 하단 테두리부를 포함한 적어도 두 테두리부에 배면 테두리부가 결합되며, 중앙부에 창(W)이 관통 형성된 전방판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틀 겸용 광고판.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체부(12)의 배면(12SR) 일측에는 탈부착부재(M)가 결합되며,
    상기 중간판체부(12)의 배면(12SR) 일측에 대응되는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 일측에는 탈부착부재(M)가 결합 또는 통공(H)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틀 겸용 광고판.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판체부(11)의 배면(11SR)에는 하나 이상의 탈부착부재(M)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틀 겸용 광고판.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판체부(11)의 전면(11SF)에는 다수의 광고지들이 결합된 광고지묶음(14)이 부가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틀 겸용 광고판.
KR2020060028596U 2006-10-27 2006-10-27 사진틀 겸용 광고판 KR200437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596U KR200437044Y1 (ko) 2006-10-27 2006-10-27 사진틀 겸용 광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596U KR200437044Y1 (ko) 2006-10-27 2006-10-27 사진틀 겸용 광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044Y1 true KR200437044Y1 (ko) 2007-10-30

Family

ID=4163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596U KR200437044Y1 (ko) 2006-10-27 2006-10-27 사진틀 겸용 광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0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044Y1 (ko) 사진틀 겸용 광고판
US6722309B1 (en) Bookmark
KR200386341Y1 (ko) 광고부가 취출가능한 달력
JP4334638B2 (ja) ボトルネッカー
JP3104166U (ja) ポケット型ティッシュ
JP3241414U (ja) 広告付き新聞紙
JP7138671B2 (ja) 広告付き新聞紙
JP3119271U (ja) 広告宣伝媒体
KR101134095B1 (ko) 판촉물용 수납상자
AU2006270690A1 (en) Device for advertisement
JP3019572U (ja) ビール等缶入り飲料の広告体
KR20090001123U (ko) 돌출광고가 가능한 탁상용 캘린더
KR200353026Y1 (ko) 광고용 메뉴판
KR200380368Y1 (ko) 광고판
JP5486450B2 (ja) リーフレット
JP3098980U (ja) 紙片ディスペンサー
JPH11126021A (ja) チラシ広告
KR200335447Y1 (ko) 홍보용 배포대
KR100774976B1 (ko) 디스플레이용 쇼케이스
KR200266136Y1 (ko) 홍보물
JP3128624U (ja) クーポン券付カレンダー
KR200420225Y1 (ko) 디스플레이용 쇼케이스
JP2606676Y2 (ja) シート片付折丁
KR200221181Y1 (ko) 다양한 제품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구현한 메모지
JP3083082U (ja) 広告表示コースターおよび広告表示コースター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