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918Y1 -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 - Google Patents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918Y1
KR200436918Y1 KR2020060032722U KR20060032722U KR200436918Y1 KR 200436918 Y1 KR200436918 Y1 KR 200436918Y1 KR 2020060032722 U KR2020060032722 U KR 2020060032722U KR 20060032722 U KR20060032722 U KR 20060032722U KR 200436918 Y1 KR200436918 Y1 KR 200436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ent
bent portion
welded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
Priority to KR2020060032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9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 바 덱크에 관한 것이다. 슬래브 두께 범위의 높이(h)를 가진 ∧형 절곡부(1f)가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된 다수의 절곡바(1)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하고 상기 절곡부(1f)의 양측 하단(b)(b')에 하부바(2')를 용접하고 절곡부의 꼭지(a)에 상부바(2)를 각각 교차되게 용접하여 철판소재의 밑판(3) 위에 적층 시킨 것에 있어서, 한 쌍씩 절곡바(1)의 절곡부(1f)를 마주 보게 기울이어 전후 좌우에서 삼각을 이룬 절곡부(1f)의 꼭지(a)를 상부바(2)의 용접부(p)에 공통으로 용접하여 구성하므로서, 절곡부(1f)의 스템(stem)(s)이 전후 좌우의 경사방향으로 버팀작용을 하여 패브릭 스틸바 덱크의 횡축(x)과 종축(y)및 수직축(z)에 대한 버팀 강도가 보다 증대되어 보다 견고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구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절곡바, 절곡부, 하부바, 상부바, 스템.

Description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FABRIC STEEL BAR DECK WELDED TRIANGLE}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6은 동 정면도
[도면중 중요부분한 부호설명]
1 : 절곡바 1f : 절곡부 2 : 상부바 2' : 하부바 3 : 밑판
p : 용접부, s : 스템
본 고안은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Fabric steel bar deck welded triangl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본 고안자가 등록을 받은 실용신안등록제 20-0414217 호(2006. 04. 11.등록)와 관련한 것으로 상부바(bar)와, 절곡바에 형성된 절곡부의 상호 용접에 의한 결합된 구성을 개선하여, "패브릭 스틸바 덱크" 의 전후 좌우, 수직방향의 버팀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과 관련한 인용고안은, 선행기술인 페로덱크(실용신안등록제90-1850호), 건축바닥 구조재(등록특허공보 특0166641호,1999. 02. 18. 공고) 절곡와이어 메쉬덱크( 등록특허공보 제10-0198278호,1999.06.15.공고)등의 종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형 절곡부가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된 다수의 절곡바를 일정한 간격의 병렬로 배치하고 상기 절곡부의 양측 하단과 절곡부의 꼭지에 접촉되게 세로바를 교차하여 교차점마다 각각 용접하고 절곡바와 절곡바 사이의 중간부에 가로바를 상기 세로바와 교차되게 배열하여 교차점마다 용접하여 절곡부의 좌우 하단의 벌림각을 가로바에 의해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조로 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는 절곡바의 절곡부의 경사진 버팀작용에 의해 하중에 대한 수직축방향과 절곡바가 배치된 횡축방향에 대한 버팀강도는 상당히 높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절곡바의 절곡부가 하부 세로바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종축방향에 대한 절곡부의 버팀작용이 상대적으로 높지못한 미비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슬래브 두께 범위의 높이를 가진 ∧형 절곡부가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된 다수의 절곡바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하고 상기 절곡부의 양측 하단에 하부바를 용접하고 절곡부의 꼭지에 상 부바를 각각 교차되게 용접하여 철판재질 밑판의 절곡된 돌조에 적층시킨 것에 있어서, 한 쌍씩 절곡바의 절곡부를 마주보게 기울이어 전후 좌우 사방에서 피라미드형의 삼각을 이룬 절곡부의 꼭지를 상부바의 용접부에 공통으로 용접하여 패브릭 스틸바 덱크를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곡바의 절곡부의 하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부바에 용접되고 전후,좌우 사방에서 피라미드형으로 기울이어 삼각을 이룬 절곡부의 꼭지는 상부바의 용접부에 공통으로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바의 절곡부가 전후 좌우 어느 쪽에서나 상부바의 용접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부의 결합구성으로 인하여, 상부바에 미치는 하중에 대하여 절곡부의 스템이 경사방향으로 버팀작용을 하기 때문에 하부바의 사방으로 하중이 분산되므로 패브릭 스틸바 덱크의 횡축과 종축및 수직축 방향에 대한 버팀강도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훨씬 증대되고 버팀강도가 균일하게 분포된다.
따라서 패브릭 스틸 바 덱크가 운반 취급 및 슬래브 시공중 변형이 없기 때문에 변형을 수정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성이 그만큼 양호하고 정확한 규격의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이 가능하며, 버팀강도와 안전성이 확보되어 상기 인용 고안의 본래 기능을 한층 더 높인 새로운 패브릭 스틸 바 덱크로서 각종 구축물의 슬래브를 보다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슬래브 두께 범위의 높이(h)를 가진 ∧형 절곡부(1f)가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된 다수의 절곡바(1)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하고 상기 절곡부(1f)의 양측 하단(b)(b')에 하부바(2')를 각각 용접하며 절곡부(1f)의 꼭지(a)에 상부바(2)를 각각 교차하여 교차점마다 각각 용접하고 철판소재 밑판(3)의 절곡된 돌조(3a)에 평면적으로 용접한 것에 있어서,
도1 내지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씩 절곡바(1)의 절곡부(1f)를 마주 보게 기울이어 전후 좌우 사방에서 피라미드형으로 삼각을 이룬 절곡부의 꼭지(a)를 상부바(2)의 용접부(p)에 공통으로 용접하여 절곡부의 스템(s)이 전후 좌우에서 경사방향으로 버팀작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도1및 도3과 같이 상부바(2)와 하부바(2')를 절곡부(1f)의 외측면에 대고 용접구성할 수 있고 또 도5및 도6와 같이 상부바(2)와 하부바(2')를 절곡부(1f)의 내측면에 대고 용접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슬래브를 구축할 위치에 패브릭 스틸 바 덱크의 밑판(3)을 하방으로 향하도록 수평으로 가설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구축하는 것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절곡부(1f)가 형성된 절곡바(1)를 병렬로 배치하고 한 쌍씩 절곡바(1)에 형성된 절곡부(1f)를 서로 마주보게 기울이어 전후 좌우에서 피라미드형으로 삼각을 이룬 상기 절곡부(1f)의 꼭지(a)를 상부바(2)의 용접부(p)에 공통으로 용접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도1 과 같이 절곡바(1)의 절곡부(1f)가 전후 좌우에서 삼각의 경사방향으로 상부바(2)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바(2)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절곡부(1f)의 경사진 스템(s)이 경사방향으로 버팀작용을 하여 하중을 하부 바(2')의 사방으로 분산하는 동시 패브릭 스틸 바 덱크의 횡축(x)과 종축(y)및 수직축(z)방향에 대한 버팀 강도가 보다 매우 증대된다.
이러한 절곡부의 결합구성으로 인하여, 입체적인 패브릭 스틸 바 덱크는 어떠한 외부 충격이나, 자기 하중이나,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 규격적인 형태의 변형이 없고 운반 취급 및 슬래브의 구축시에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 슬래브의 시공시에 종래와 같은 패브릭 스틸 바의 덱크의 변형에 대한 수정작업이 생략됨으로 작업성이 양호하고 보다 능률적으로 견고한 슬래브등의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절곡바와 세로바를 교차되게 용접한 것에 있어서, 가로로 배치된 절곡바의 한 쌍씩, 절곡부를 마주보게 기울이어 전후 좌우에서 피라미드형으로 삼각을 이룬 절곡부의 꼭지를 상부바의 용접부에 공통으로 용접하여 절곡부의 스템이 경사방향에서 버팀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패브릭 스틸바 덱크의 횡축과 종축 및 수직축 방향에 대한 버팀강도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패브릭 스틸바 덱크의 전후 좌우 방향의 버팀강도가 보다 증대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 취급 및 슬래브의 구축시에 변형이 없고 따라서 변형에 대한 수정작업이 생략되어 작업성이 양호하여 보다 능률적으로 각종 구조물을 보다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슬래브 두께 범위의 높이(h)를 가진 ∧형 절곡부(1f)가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된 다수의 절곡바(1)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하고 상기 절곡부(1f)의 양측 하단(b)(b')에 하부바(2')를 용접하며 절곡부(1f)의 꼭지(a)에 상부바(2)를 각각 교차되게 용접하고 철판소재의 밑판(3)의 절곡된 돌조(3a)에 평면적으로 용접한 것에 있어서,
    한 쌍씩의 절곡바(1)의 절곡부(1f)를 마주 보게 기울이어 전후 좌우 사방에서 피라미드형으로 삼각을 이룬 절곡부의 꼭지(a)를 상부바(2)의 용접부(p)에 공통으로 용접하여 절곡부의 스템(s)이 전후 좌우에서 경사방향으로 버팀 작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 바 덱크.
KR2020060032722U 2006-12-28 2006-12-28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 KR200436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722U KR200436918Y1 (ko) 2006-12-28 2006-12-28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722U KR200436918Y1 (ko) 2006-12-28 2006-12-28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918Y1 true KR200436918Y1 (ko) 2007-10-18

Family

ID=4163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722U KR200436918Y1 (ko) 2006-12-28 2006-12-28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9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29B1 (ko) 2007-04-06 2008-06-13 (주)대우건설 횡방향 철근의 트러스형 배치구조와 밀실결합이 용이한결합구조를 가진 복합 트러스 형태의 절곡 철근 조립체데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29B1 (ko) 2007-04-06 2008-06-13 (주)대우건설 횡방향 철근의 트러스형 배치구조와 밀실결합이 용이한결합구조를 가진 복합 트러스 형태의 절곡 철근 조립체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113B1 (ko)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036088B1 (ko) 수평부재
KR200436918Y1 (ko) 삼각으로 용접된 패브릭 스틸바 덱크
CN203022193U (zh) 井式框架梁加强无梁楼盖连接结构
KR200323006Y1 (ko)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
KR100431353B1 (ko) 철 골조용 형강 구조
CN220814238U (zh) 一种装配式钢箱梁结构框架
JPH108620A (ja) 床構造材
CN109797754B (zh) 降低深基坑格构柱长细比的支撑结构
KR102320411B1 (ko) 망상형 전단보강대를 이용한 무량판 구조물의 슬래브-기둥 접합부 전단 보강구조
JP4392684B2 (ja) 鉄筋篭用治具、鉄筋篭の組立方法
JP6688070B2 (ja) 梁鉄筋組付け方法
KR102349442B1 (ko) 좌우 방향의 싱글 보와 전후 방향의 더블 보를 갖고 기둥 주변에 콘크리트부가 형성된, 기둥과 보의 결합 구조
KR100560255B1 (ko) 철근이 부착된 슬래브 데크패널
JP2017203303A (ja) 複合基礎構造の構築方法
JP3216537U (ja) 配筋構造およびベタ基礎構造
KR200414217Y1 (ko) 패브릭 스틸 바 덱크
KR20230156992A (ko) 래티스 철근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래티스 모듈 및 그 래티스 모듈을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JPH0512417Y2 (ko)
KR200370187Y1 (ko) 보강 건축용 패널
JP2021105275A (ja) スラブ
JPH05255998A (ja) コンクリート補強筋の保持方法
JPH05148931A (ja) 床 板
JP2022116804A (ja) デッキプレートユニットおよび合成スラブ
JPH08199722A (ja) Rc床スラブ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