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692Y1 -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 Google Patents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692Y1
KR200436692Y1 KR2020060030434U KR20060030434U KR200436692Y1 KR 200436692 Y1 KR200436692 Y1 KR 200436692Y1 KR 2020060030434 U KR2020060030434 U KR 2020060030434U KR 20060030434 U KR20060030434 U KR 20060030434U KR 200436692 Y1 KR200436692 Y1 KR 200436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eader
hook
bait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충
Original Assignee
김진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충 filed Critical 김진충
Priority to KR2020060030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6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6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8Artificial fl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베이트를 구성하는 암을 개선하여 자유로운 액션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장애물 극복력을 높여 채비손실을 줄이고, 장애물에 의하여 비정형적인 액션의 연출로 물고기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후방으로 훅과 스커트를 가지는 중량체로 구비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고리와 연결되는 암으로 구성하고; 상기 암은 헤더에서 상향경사지게 돌출시키는 헤더암과; 상기 헤더암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스위빌로 블레이드를 연결한 블레이드암과; 상기 헤더암과 블레이드암의 절곡부위에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라인훅과; 상기 헤더암의 하단부에 헤더에 구비되는 걸고리와 연결가능하게 구비하는 연결고리와 헤더암의 중간부위와 걸림되도록 구비하는 마감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어베이트에 있어서;
상기 마감암은 걸고리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의 전방에서 하향되게 형성하는 1절곡부와; 상기 1절곡부에서 헤더암 방향으로 2절곡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루어, 낚시, 와이어베이트

Description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LURE FISHING FOR WIRE BAIT}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를 도시한 정면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의 대표적인 예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와이어베이트
53; 헤더
55; 암
56; 헤더암
58; 블레이드
59; 블레이드암
62; 마감암
67; 보조암
본 고안은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정형화된 액션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장애물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개선한 와이어베이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루어낚시는 인조미끼인 루어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낚는 낚시의 한 장르에 해당 되며 루어를 이용한 민물 낚시의 경우에는 대표적으로 배스, 쏘가리, 꺽지, 끄리, 준치 등 다양한 어종이 있다.
상기와 같은 루어낚시에 사용되는 루어는 대상어가 좋아하는 지렁이, 가제 등과 같은 형태를 플라스틱재질로 성형한 소프트베이트가 있고, 대상어가 좋아하는 먹이어종과 같은 형상으로 만든 하드베이트가 있다.
상기 하드베이트는 물고기와 같은 형상으로 만든 크랭크베이트, 미노우 등이 있고, 와이어로 만든 스피너베이트, 지그스피너, 버즈베이트 등으로 구분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베이트의 대표적인 예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스피너베 이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된 스피너베이트(1)는 물고기의 머리모양의 형상이면서 물속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체 역할을 수행하는 헤더(2)의 후방에 일체로 훅(3)을 돌출시키고, 상기 훅(3)과 연결되어 헤더(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암(4)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4)은 헤더(2)에서 일정길이로 상향경사지게 돌출시키는 헤더암(5)과 상기 헤더암(5)에 대하여 후향 경사지게 절곡하여 돌출시키는 블레이드암(6)으로 구성하고, 상기 헤더암(5)과 블레이드암(6)의 절곡 부위에는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라인훅(7)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블레이드암(6)에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8)를 연결하고, 상기 블레이드(8)는 크기와 형상을 달리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위빌(Swivel; 9)로 연결하여 물의 저항에 의하여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헤더(2)와 훅(3) 사이에는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소재로서 스커트(10)나 소프트베이트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피너베이트는 캐스팅된 상태에서 릴링을 통하여 물속에서 유영하듯이 당겨지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스커트의 움직임과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과 파동을 감지하여 물고기가 먹이로 오인하고 덮치게 되므로 낚을 수 있게 된다.
또는,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형상이 물고기가 좇기는 모양이고 헤더와 스커트는 블레이드를 먹이감으로 따라가는 큰 물고기와 같은 형상이 되므로 헤더를 경쟁 자로 오인하여 경쟁자를 먼저 공격하는 성향을 이용한 루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피너베이트는 헤더에 훅과 암이 고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릴링 속도에 따라 스커트의 움직임이나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만 차이 날 뿐 거의 정형화된 액션을 유지하게 되므로 주기적인 캐스팅과 회수를 통하여 물고기들이 학습에 의하여 유인되지 않음으로서 조과를 쉽게 올리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스피너베이트와 같은 와이어베이트를 캐스팅한 후 부정형적인 동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릴링 속도를 달리하거나 수중의 바닥을 타고 오도록 하는 등의 액션을 연출하고 있으나 이용자가 물속 상황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감각에 의존하기 때문에 쉽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수중의 수초나 수몰나무, 큰 바위 등과 같은 장애물과 부딪치게 되어도 크게 액션이 흐트러지지 않고 오히려 훅이 장애물에 걸려 채비를 쉽게 손실하게 됨으로서 낚시인에게 금전적인 손실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물속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와이어베이트를 구성하는 암을 개선하여 수중에서 보다 자유로운 액션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장애물을 만났을 때 걸림 되지 않고 극복하여 채비손실을 줄이는 것은 물론 비정형적인 액션의 연출로 물고기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좋은 조과를 보장할 수 있는 루어를 제공하는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를 도시한 정면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와이어베이트(50)는 스피너베이트는 물론 특히 스피너베이트와 유사한 지그스피너타입과 지그버즈베이트 타입에 적합하도록 암을 개선하여 비정형적인 액션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지그스피너 타입의 와이어베이트(50)의 구성을 살펴보면, 후방으로 훅(51)과 스커트(52)를 가지는 중량체로 구비되는 헤더(53)와, 상기 헤더(53)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고리(54)와 연결되는 암(55)으로 구성한다.
상기 암(55)은 헤더(53)에서 일정길이로 상향경사지게 돌출시키는 헤더암(56)과 상기 헤더암(56)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끝단에 스위빌(57)을 이용하여 블레이드(58)를 연결한 블레이드암(59)으로 구성하고, 상기 헤더암(56)과 블레이드암(59)의 절곡 부위에는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라인훅(60)을 형성한다.
상기 헤더암(56)의 하단부에는 헤더(53)에 구비되는 걸고리(54)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61)를 형성하고, 끝단부는 헤더암(56)의 중간부위와 걸림되도록 마감암(6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마감암(62)을 개선하여 수중에서 움직일 때 수중장애물과의 접촉시보다 현란하면서도 비정형적인 액션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장애물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마감암(62)은 걸고리(54)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61)의 전방에서 하향 되게 1절곡부(65)를 형성하고, 상기 1절곡부(65)에서 다시 헤더암(56) 방향으로 2절곡부(66)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2 등변 삼각형과 같은 형상의 보조암(67)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2절곡부(66)와 마감암(62)의 끝단부 사이를 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하여도 무방할 것이며, 2절곡부(66)에 래틀이나 방울과 같이 청각적인 유인수단을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베이트(5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낚시대를 이용하여 캐스팅한 후 릴링을 수행할 때, 수중(바닥, 중층 또는 상층)에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블레이드(58)와 스커트(52)는 릴링 속도와 수압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파동(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블레이드(58)의 경우에는 회전에 의하여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번쩍이는 시각적인 효과에 의하여 물고기를 유인하게 되고, 물고기가 먹이감 또는 경쟁자로 인식한 상태에서 공격함으로서 낚 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베이트(50)를 구성하는 암(55)와 헤더(53)가 일체로 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수중에서 통상적으로 릴링되는 과정에서는 헤더(53)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고 좌,우 방향으로도 움직임이 자유롭기 때문에 헤더와 암이 일체로 구성된 종래의 와이어베이트(50)에 비하여 보다 자유로운 액션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릴링과정에서 수중 장애물을 만날 경우에는 마감암(62)을 연장하여 구성하는 보조암(67)이 헤더암(56)의 전방에서 하향 돌출되어 개략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구성됨으로서 장애물과 부딪쳤을 경우에도 장애물에 걸림 되지 않고 쉽게 극복할 수 있게 되므로 장애물에 걸려 채비가 손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d을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장애물과 부딪치면서 암(55)이 불규칙적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암(55)과 일체로 구성되는 블레이드암(59)에 구비되는 블레이드(58)는 물론, 헤더암(56)에 연결되는 헤더(53)가 정형상태로 릴링되어 오다가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면서 정형적인 자세를 흐트리게 되므로 이때 물고기의 시선을 유인하고 관심을 집중및 물고기를 자극하게 되므로 보다 용이한 유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조암(67)의 2절곡부(66)에 청각적인 유인수단인 래틀이나 방울을 더 연결할 경우에는 시각, 청각, 진동(파동) 등의 복합적인 유인요소에 의하여 정상적인 릴링 과정의 정형적인 액션에도 물고기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와이어베이트를 구성하는 암을 개선하여 자유로운 액션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장애물 극복력을 높여 채비손실을 줄이고, 장애물에 의하여 비정형적인 액션의 연출로 물고기를 용이하게 유인하여 조과를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3)

  1. 후방으로 훅(51)과 스커트(52)를 가지는 중량체로 구비되는 헤더(53)와;
    상기 헤더(53)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고리(54)와 연결되는 암(55)으로 구성하고;
    상기 암(55)은 헤더(53)에서 상향경사지게 돌출시키는 헤더암(56)과;
    상기 헤더암(56)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스위빌(57)로 블레이드(58)를 연결한 블레이드암(59)과;
    상기 헤더암(56)과 블레이드암(59)의 절곡부위에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라인훅(60)과;
    상기 헤더암(56)의 하단부에 헤더(53)에 구비되는 걸고리(54)와 연결가능하게 구비하는 연결고리(61)와 헤더암(56)의 중간부위와 걸림되도록 구비하는 마감암(6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어베이트(50)에 있어서;
    상기 마감암(62)은 걸고리(54)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61)의 전방에서 하향되게 형성하는 1절곡부(65)와;
    상기 1절곡부(65)에서 헤더암(56) 방향으로 2절곡부(66)를 형성하여 수중장애물과의 접촉시 극복력일 높이면서 현란하고 비정형적인 액션의 연출이 가능한 보조암(67)을 더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절곡부(66)와 마감암(62)의 끝단부 사이는 호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절곡부(66)에는 래틀 또는 방울과 같은 청각유인수단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KR2020060030434U 2006-11-23 2006-11-23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KR200436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434U KR200436692Y1 (ko) 2006-11-23 2006-11-23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434U KR200436692Y1 (ko) 2006-11-23 2006-11-23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692Y1 true KR200436692Y1 (ko) 2007-10-04

Family

ID=4162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434U KR200436692Y1 (ko) 2006-11-23 2006-11-23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6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743B1 (ko) * 2012-10-12 2014-08-27 정경희 낚시 채비
KR20210013872A (ko) 2019-07-29 2021-02-08 최훈 루어낚시용 베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743B1 (ko) * 2012-10-12 2014-08-27 정경희 낚시 채비
KR20210013872A (ko) 2019-07-29 2021-02-08 최훈 루어낚시용 베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338B2 (en)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US7726062B2 (en) Snag-resistant fishing lure
US8857100B2 (en)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and related method
US7743549B2 (en) Jig fishing lure
US10104877B2 (en) Expanding or contracting fishing lure
US7263798B2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US7467491B1 (en) Fishing lure
US9504237B2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US7415793B1 (en) Fishing rig
US20010045048A1 (en) Articulated fishing lure
WO2005110077A2 (en) Fishing lure for sinking presentation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US9185892B2 (en)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20130318859A1 (en) Weighted keeper and hook apparatus for anglers
JP5930879B2 (ja) 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アシストフックを取り付けた釣り用ルアー
KR102286826B1 (ko) 루어낚시용 베이트
JP3133699U (ja) ルアー
KR200436692Y1 (ko)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US20160205908A1 (en) Bladed Jig Head
US20040049969A1 (en) Permanent and interchangeable rigid and flexible blades affixed to two hook tandem hooks and hookmasters for side to side and vertical oscillating lures, pin weights pin floats optional weed guard
JP4808570B2 (ja) ルアー仕掛け
JP3130403U (ja) ルアー
KR20130110334A (ko) 루어낚시용 와이어베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