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606Y1 -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606Y1
KR200436606Y1 KR2020060027808U KR20060027808U KR200436606Y1 KR 200436606 Y1 KR200436606 Y1 KR 200436606Y1 KR 2020060027808 U KR2020060027808 U KR 2020060027808U KR 20060027808 U KR20060027808 U KR 20060027808U KR 200436606 Y1 KR200436606 Y1 KR 200436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water tank
drain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관
Original Assignee
신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관 filed Critical 신정관
Priority to KR2020060027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탱크가 부착된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배수하여 세면대에 수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정은 물론이고 기타 음식점업소등에서 신속하게 세면대에 물을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 기존 수도 배수관을 통해 수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수납시간이 단축되어 시간상의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편리하고 빠르게 세면대에 물을 수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한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외부 일측에는 전자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10)가 구비되어 있고 저부 중앙에는 배수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센서(100)가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오버플로우 배수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일측에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전자제어밸브(13)가 중앙에는 상기 배수관(11)과 연결되어 있는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110)의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2)이 구비된 물탱크 본체(1)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배수관(11) 하측에는 타원형상의 수납홈(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개폐 가능한 배수캡(31)이 구비된 세면대 본체(3)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배수하여 세면대에 수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급히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나 또는 음식업종과 같이 신속성을 요구하는 곳 및 기타 수압이 낮아 수도관으로 부터 급수되는 량이 적은 지역등등에 편리하고 빠르게 세면대에 물을 수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물탱크 본체, 세면대 본체, 솔레노이드밸브, 권취드럼, 피니언기어, 개폐수단.

Description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One-touch structure to supply and drain water from watertank of washstand}
도 1은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개폐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개폐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개폐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물탱크 본체 2 : 개폐수단
3 : 세면대 본체 10 : 컨트롤부
11 : 배수관 12 : 오버플로우 배수부
13 : 전자제어벨브 30 : 수납홈
31 : 배수캡 32 : 급수구
33 : 연결관 100 : 수위제어센서
110 : 배수구 200 : 솔레노이드밸브
201 : 모터부 210 : 모터
211 : 권취드럼 212 : 와이어
213 : 개폐캡 214 : 힌지
220 : 모터 221 : 피니언기어
222 : 랙크 223 : 슬라이딩축
224 : 개폐캡 230 : 모터
231 : 나사축 232 : 너트
233 : 개폐캡
본 고안은 물탱크가 부착된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배수하여 세면대에 수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정은 물론이고 기타 음식점업소등에서 신속하게 세면대에 물을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 기존 수도 배수관을 통해 수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수납시간이 단축되어 시간상의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편리하고 빠르게 세면대에 물을 수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한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세면대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세면대는 수도관과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 이를 조절하는 일명 수도꼭지를 개폐함으로서 물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세면대의 구조이외에는 현재 별 특이하거나 특별한 구조의 세면대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세면대의 경우에는 물의 공급을 위해 배수관의 수도꼭지를 개방하여야 하는데 수압이 낮은 지역이나 기타 일시적으로 빠른 시간내에 물의 수납을 위한 경우에는 배수되는 즉,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어서 불편한 점이 있고 특히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수압이 낮은 지역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매우 심각한 것이다.
또한, 물의 량의 조절도 문제로서 예를들면 세수를 하거나 또는 기타 음식재료를 세척할때 계속적으로 물의 공급을 받음으로서 세면대나 개수대의 용량보다 많은 물의 공급으로 인하여 물이 넘치는 경우가 종종있으며 이때 몸을 세척할때에는 물의 공급을 중단이 여의치 아니할 상황이 있고 따라서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것이다.
물론, 음식 재료를 세척할 경우에도 이와 같이 물의 낭비는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배수하여 세면대에 수납 가능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또한,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도 편리하고 빠르게 세면대에 물을 수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사용에 필요한 량만큼을 물탱크로 부터 배수하여 세면대에 수납 가능하도록 하여 절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외부 일측에는 전자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가 구비되어 있고 저부 중앙에는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해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센서가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오버플로우 배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일측에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전자제어밸브가 중앙에는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어 있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의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 물탱크 본체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배수관 하측에는 타원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개폐 가능한 배수캡이 구비된 세면대 본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과,
외부 일측에는 전자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해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센서가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오버플로우 배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일측에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전자제어밸브가 중앙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의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 물탱크 본체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전방 하측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타원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개폐 가능한 배수캡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의 상단 가까이 일측 내주면에는 급수구가 연결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의 타측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배수구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세면대 본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과,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수구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배수구의 개폐를 전기 및 전자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브밸브와 이를 제어하는 모터부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내부 중앙 상측에는 모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 하단에는 와이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는 개폐캡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캡의 일측에는 힌지가 결합되어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에 와이어가 권취되면 상기 개폐캡이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배수구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물탱크 본체의 내부 중앙 상측에는 모터와 피니언기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차결합된 랙크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일체로 슬라이딩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개폐캡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이 랙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개폐캡을 상기 배수구로 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물탱크 본체 내부의 일측에 형성된 수위제어센서 하단에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중앙에는 나사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 중앙에는 복수개의 너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너트의 하단에는 개폐캡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축의 타측은 오버플로우 배수부의 측벽에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 중앙에 형성된 너트가 슬라이딩 하여 개폐캡 을 상기 배수구로 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본 고안은 외관에 있어서 배수관의 존재 유무에 따라 2개의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첫번째 타입은 배수관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하 이에 대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시부호 1은 물탱크 본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탱크 본체(1)의 외부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상기 물탱크 본체(1)의 외부 일측에는 전자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10)가 구비되어 있고 저부 중앙에는 배수관(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부(10)는 예를들면, 물탱크 본체(1)내에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수도관으로 부터 급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즉, 수도관으로 부터 물의 공급을 제어 및 조절하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전자제어밸브(13)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버튼이나 또는 물탱크 본체(1) 내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센서(100)의 작동등등 및 하기에서 설명하는 개폐수단(2)의 조정 등등을 전체적으로 컨트롤하는 것이다.
한편, 배수관(11)은 기존에 수도관에 연결되어 손잡이의 회동조작에 의해 물 공급이 가능한 것을 상기 손잡이를 제거한 상태로서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배수관(11)을 통해 세면대에 물이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내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센서(100)가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오버플로우 배수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일측에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전자제어밸브(13)가 중앙에는 상기 배수관(11)과 연결되어 있는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110)의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2)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 지시부호 3은 세면대 본체(3)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면대 본체(3)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배수관(11)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형상은 대략 타원형상의 수납홈(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개폐 가능한 배수캡(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세면대 본체(3)의 구성은 기존의 세면대 본체와 별 차이점이 없는 것이다.
두번째 타입은 배수관이 존재치 아니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하 이에 대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물탱크 본체(1)의 구성은 첫번째 타입과 대동소이하나 배수관이 존재치 아니한 것으로서 즉, 외부 일측에는 전자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1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센서(100)가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오버플로우 배수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일측에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전자제어밸브(13)가 중앙에는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110)의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2)이 구비된 것이다.
한편, 세면대 본체(3)의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 본체(1)의 전방 하측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타원형상의 수납홈(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개폐 가능한 배수캡(3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30)의 상단 가까이 일측 내주면에는 급수구(32)가 연결관(33)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33)의 타측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배수구(110)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첫번째 타입의 구성요소인 배수관이 존재치 아니한 관계로 상기 배수구(110)와 연결되는 연결관(33)과 급수구(32)가 별도로 내측에 구비된 것이다.
[실시예 1]
도 3은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개폐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첫번째 및 두번째 타입 모두에 적용되는 개폐수단(2)에 있어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폐수단(2)은 상기 배수구(110)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배수구(110)의 개폐를 전기 및 전자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브밸브(200)와 이를 제어하는 모터부(201)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10)의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모터부(201)의 구동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200)의 전기적, 전자적 구동에 의해 상기 배수구(110)가 개폐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2]
도 4는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첫번째 및 두번째 타입 모두에 적용되는 개폐수단(2)에 있어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폐수단(2)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내부 중앙 상측에는 모터(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터(210)에 의해 회동되는 권취드럼(211)과 상기 권취드럼(211) 하단에는 와이어(2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212)의 끝단에는 개폐캡(213)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캡(213)의 일측에는 힌지(214)가 결합되어 상기 권취드럼(211)의 외주에 와이어(212)가 권취되면 상기 개폐캡(213)이 힌지(214)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배수구(110)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10)의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210)이 구동되어 상기 권취드럼(211)에 와이어(212)가 권취되면서 상기 와이어(212)의 끝단에 연결된 개폐캡(213)이 힌지(214)를 축으로 배수구(1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3]
도 5는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개폐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첫번째 및 두번째 타입 모두에 적용되는 개폐수단(2)에 있어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폐수단(2)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내부 중앙 상측에는 모터(220)와 피니언기어(2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221)와 치차결합된 랙크(222)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일체로 슬라이딩축(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개폐캡(224)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221)의 회전운동이 랙크(2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개폐캡(224)을 상기 배수구(110)로 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10)의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221)가 회동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21)와 치차결합된 일단에 랙크(222)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개폐캡(224)이 구비된 슬라이딩축(223)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수구(1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4]
도 6은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에 있어서 개폐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첫번째 및 두번째 타입 모두에 적용되는 개폐수단(2)에 있어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폐수단(2)은 상기 물탱크 본체(1) 내부의 일측에 형성된 수위제어센서(100) 하단에 모터(23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230)의 중앙에는 나사축(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231) 중앙에는 복수개의 너트(2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너트(232)의 하단에는 개폐캡(2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축(231)의 타측은 오버플로우 배수부(12)의 측벽에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231) 중앙에 형성된 너트(232)가 슬라이딩 하여 개폐캡(233)을 상기 배수구(110)로 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10)의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230)이 구동되면서 일단이 오버플로우 배수부(12)의 측벽에 고정된 나사축(231)에 결합된 너트(232)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너트(232) 하단에 일체로 구성된 개폐캡(233)이 상기 배수구(110)로 부터 착탈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타입이나 두번째 타입이나 모두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며 물 공급 및 차단은 상기 전자제어밸브(13)에 의해 조작되며 어느 정도 일정량의 물이 물탱크 본체(1)에 유입되고 이를 제어하는 것은 수위제어센서(100)에 의해 작동되며 물탱크 본체(1)내에 물이 넘칠 경우에는 오버플로우 배수부(12)를 통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별도의 관을 통해 재 공급되 거나 기타 용도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서와 같이 배수구(110)의 개폐수단(2)에 대한 구성에 차이점을 된 것으로서,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10)의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모터부(201)의 구동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200)의 전기적, 전자적 구동에 의해 상기 배수구(110)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배수관(11)을 통하여 수납홈(30)에 수납되거나 또는 연결관(33)을 통하여 급수구(32)로 유입되어 수납홈(30)에 수납되는 것이다.
다음, 실시예2의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10)의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210)이 구동되어 상기 권취드럼(211)에 와이어(212)가 권취되면서 상기 와이어(212)의 끝단에 연결된 개폐캡(213)이 힌지(214)를 축으로 배수구(1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배수관(11)을 통하여 수납홈(30)에 수납되거나 또는 연결관(33)을 통하여 급수구(32)로 유입되어 수납홈(30)에 수납되는 것이다.
다음,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10)의 버 튼을 조작하면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221)가 회동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21)와 치차결합된 일단에 랙크(222)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개폐캡(224)이 구비된 슬라이딩축(223)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수구(1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배수관(11)을 통하여 수납홈(30)에 수납되거나 또는 연결관(33)을 통하여 급수구(32)로 유입되어 수납홈(30)에 수납되는 것이다.
다음, 실시예 4의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물탱크 본체(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부(10)의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230)이 구동되면서 일단이 오버플로우 배수부(12)의 측벽에 고정된 나사축(231)에 결합된 너트(232)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너트(232) 하단에 일체로 구성된 개폐캡(233)이 상기 배수구(110)로 부터 착탈되도록 하여 배수관(11)을 통하여 수납홈(30)에 수납되거나 또는 연결관(33)을 통하여 급수구(32)로 유입되어 수납홈(30)에 수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배수하여 세면대에 수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급히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나 또는 음식업종과 같이 신속성을 요구하는 곳 및 기타 수압이 낮아 수도관으로 부터 급수되는 량이 적은 지역등등에 편리하고 빠르게 세면대에 물을 수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특히, 필요한 물을 적절하 게 조정하여 빠른 시간내에 수납 가능함으로서 절수의 효과도 아울러 갖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외부 일측에는 전자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10)가 구비되어 있고 저부 중앙에는 배수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센서(100)가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오버플로우 배수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일측에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전자제어밸브(13)가 중앙에는 상기 배수관(11)과 연결되어 있는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110)의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2)이 구비된 물탱크 본체(1)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배수관(11) 하측에는 타원형상의 수납홈(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개폐 가능한 배수캡(31)이 구비된 세면대 본체(3)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2. 외부 일측에는 전자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1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부(10)의 조작에 의해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센서(100)가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오버플로우 배수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일측에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물의 공급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전자제어밸브(13)가 중앙에는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110)의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2)이 구비된 물탱크 본체(1)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전방 하측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타원형상의 수납홈(3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개폐 가능한 배수캡(3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30)의 상단 가까이 일측 내주면에는 급수구(32)가 연결관(33)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33)의 타측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배수구(110)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세면대 본체(3)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3.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은 상기 배수구(110)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배수구(110)의 개폐를 전기 및 전자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브밸브(200)와 이를 제어하는 모터부(20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4.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내부 중앙 상측에는 모터(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터(210)에 의해 회동되는 권취드럼(211)과 상기 권취드럼(211) 하단에는 와이어(2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212)의 끝단에는 개폐캡(213)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캡(213)의 일측에는 힌지(214)가 결합되어 상기 권취드럼(211)의 외주에 와이어(212)가 권취되면 상기 개폐캡(213)이 힌 지(214)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배수구(110)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5.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은 상기 물탱크 본체(1)의 내부 중앙 상측에는 모터(220)와 피니언기어(2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221)와 치차결합된 랙크(222)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일체로 슬라이딩축(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개폐캡(224)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221)의 회전운동이 랙크(2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개폐캡(224)을 상기 배수구(110)로 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6.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은 상기 물탱크 본체(1) 내부의 일측에 형성된 수위제어센서(100) 하단에 모터(230)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230)의 중앙에는 나사축(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231) 중앙에는 복수개의 너트(2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너트(232)의 하단에는 개폐캡(2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축(231)의 타측은 오버플로우 배수부(12)의 측벽에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231) 중앙에 형성된 너트(232)가 슬라이딩 하여 개폐캡(233)을 상기 배수구(110)로 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개폐를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KR2020060027808U 2006-10-13 2006-10-13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KR200436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808U KR200436606Y1 (ko) 2006-10-13 2006-10-13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808U KR200436606Y1 (ko) 2006-10-13 2006-10-13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606Y1 true KR200436606Y1 (ko) 2007-09-11

Family

ID=4162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808U KR200436606Y1 (ko) 2006-10-13 2006-10-13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6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78B1 (ko) * 2009-07-10 2009-12-02 한갑용 욕실 내 사용수를 변기용 세정수로 재사용하기 위한 집수장치
KR20210016844A (ko)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현무 물탱크배수관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78B1 (ko) * 2009-07-10 2009-12-02 한갑용 욕실 내 사용수를 변기용 세정수로 재사용하기 위한 집수장치
KR20210016844A (ko)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현무 물탱크배수관 개폐장치
KR102224050B1 (ko) * 2019-08-05 2021-03-09 주식회사 현무 물탱크배수관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US6425148B1 (en) Water-saving device for a toilet having a sink with a float-operated drain valve
CN101387346B (zh) 水龙头以及配套使用的洗脸盆、溢排水器、落水头和浴缸
MX2007010264A (es) Control para un drenaje de agua residual de bañera.
KR200436606Y1 (ko)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KR20030010172A (ko) 전 자동 무인 압력 전기밥솥의 쌀 세척 및 이송기능과정수 공급기능과 폐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쌀 세척장치.
JP2004324061A (ja)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WO2007071945A2 (en) Float valve
CN212986092U (zh) 酒店灶台用弹簧顶销式摇摆水龙头
CN101893113B (zh) 家用型多功能一体化节水龙头
CN212405363U (zh) 一种浴缸去水器和浴缸
CN211257177U (zh) 一种电动控制水槽进排水的控制系统
CN201059374Y (zh) 水龙头以及配套使用的洗脸盆、溢排水器、落水头和浴缸
CN110593359A (zh) 一种冲刷自洁的智能盥洗盆
KR101009486B1 (ko) 냉수 및 온수용 수전금구
KR100942774B1 (ko) 세안제의 자동 압출장치
KR100424411B1 (ko) 씽크대의 절수장치
WO2020221037A1 (zh) 厨卫设施快简安装的连接机构及厨卫设施
CN215715803U (zh) 一种用于按摩浴缸的排水装置
JP2023084333A (ja) 排水栓装置
KR200250132Y1 (ko) 배수변과 연동하는 세면대용 수도전
KR20100101342A (ko) 세면대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0711308B1 (ko) 욕조용 배수장치
KR200349639Y1 (ko) 두 개의 토수구로 구성된 수도꼭지
AU2007100168A4 (en) Grey Water Dispos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