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114Y1 - 사진 인형 펜던트 - Google Patents

사진 인형 펜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114Y1
KR200436114Y1 KR2020060029598U KR20060029598U KR200436114Y1 KR 200436114 Y1 KR200436114 Y1 KR 200436114Y1 KR 2020060029598 U KR2020060029598 U KR 2020060029598U KR 20060029598 U KR20060029598 U KR 20060029598U KR 200436114 Y1 KR200436114 Y1 KR 200436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ant
case
blocking device
accessories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088U (ko
Inventor
노현희
Original Assignee
노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희 filed Critical 노현희
Priority to KR2020060029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114Y1/ko
Publication of KR200600000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0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1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 인형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인물사진 액세서리에 있어서의 인물사진 전반에 걸친 형상의 무변형으로 인한 재미적 요소의 결함과 다양성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의 객체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 소정형상의 상하개방형 케이스에, 사용자가 전송해 온 인물사진 중 컴퓨터그래픽 작업을 통해 오려낸 머리부; 상기 머리부가 상단에 고정되는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을 하게 한 고안자가 컴퓨터그래픽 작업을 통해 제작한 캐릭터 의상 중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설 수 있도록 고정대를 이용해 고정시킨 꾸밈새를 지닌 소정형상의 하단막음장치가 케이스 하단에 붙여지고, 펜던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고리를 달아 준 꾸밈새를 지닌 소정형상의 상단막음장치; 상기 상단막음장치가 케이스 상단에 붙여져 펜던트로 제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인물사진의 몸체부 변형을 이용한 상징적 의미로서의 의상을 접합시킴으로서 폭넓은 사용자층의 확보와 캐릭터적 효과를 나타냄으로 인한 일반적인 영상물 캐릭터 못지않은 재미와 사진 액세서리의 활용범위 확장의 용이함은 물론, 사진 고유의 소장성을 장점으로 가진 반영구적인 액세서리의 수명을 갖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한류열풍에 의한 연예인 사진 액세서리에 있어서의 수출품으로의 대량생산도 가능하다.
액세서리, 펜던트, 사진 인형, 캐릭터, 컴퓨터 그래픽, 케이스, 고리

Description

사진 인형 펜던트{doll pendant using photograph}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 칼라 이미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진 인형 2 : 투명 케이스
3 : 고정대 4 : 하단 막음장치
5 : 상단 막음장치 6 : 고리
7 : 핸드폰 줄 8 : 열쇠고리
9 : 목걸이 줄 10 : 자석 지지대
11 : 받침판 12 : 받침판 지지대
본 고안은 인물 사진을 이용한 캐릭터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물사진에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적용해 인물이 지닌 가장 특징부인 머리부를 제외한 몸체부를 캐릭터 화하여 펜던트를 만들어 액세서리에 적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인물사진을 주재로 한 펜던트라 함은 그 제조 방식에 있어서 액자형과 맞춤제작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전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 조립되어져 나온 액자 틀에 맞추어 사진을 사각 또는 원형으로 오려 끼우게 하는 방식이고 후자는 포토 메탈 제품으로 금속광택이 나는 평판에 사진을 인화하거나 새기는 방식이다. 따라서 액자형은 사용자의 사진 선택 편의를 위해 사각 내지 원형 틀을 벗어나기 힘들고, 맞춤 제작형 또한 메탈 제품의 평판에 원본사진의 사진 형상의 변형 없이 사이즈와 색상만을 변형, 새기거나 부착하여 맞춤 제작하고 있어, 맞춤 제작형 이라는 전문성의 활용범위에 있는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근자에 와서는 디지털카메라의 보급이 보편화 되어 그에 따른 다양한 인물사진 조합을 목적으로 하는 소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이 또한 재미와 디자인 적인 면에 있어서 사진 형상의 무변형 제품 위주이기 때문에 다양성의 한계를 볼 수 있다.
또한 인물사진의 전체 변형인 인물 캐리커쳐나 인물 그림 등은 머리부의 닮음 여하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상품으로서의 위험요소가 적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물사진의 가장 상징적 부분만을 부각시킨 것으로, 인물이 가진 가장 특징적 부위인 머리부의 무변형 적용과 몸체부 변형을 통한 컴퓨터그래픽 캐릭터 작업을 수행하여 여러 부재의 펜던트로 변형시켜 액세서리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전송해 온 사진을 변형 하는 단계와 변형된 사진 인형을 케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케이스를 펜던트화 시키기 위해 이음장치를 달아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이렇게 고안된 펜던트는 부재료의 접합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의 액세서리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한류열풍에 의한 연예인 사진 액세서리에 있어서의 수출품으로의 대량생산도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정의 객체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 소정형상의 상하개방형 케이스(2)에,
사용자가 전송해 온 인물사진 중 컴퓨터그래픽 작업을 통해 오려낸 머리부; 상기 머리부가 상단에 고정되는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을 하게 한 고안자가 컴퓨터그래픽 작업을 통해 제작한 캐릭터 의상 중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설 수 있도록 고정대(3)를 이용해 고정시킨 꾸밈새를 지닌 소정형상의 하단막음장치(4)가 케이스(2) 하단에 붙여지고, 펜던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고리(6)를 달아 준 꾸밈새를 지닌 소정형상의 상단막음장치(5); 상기 상단막음장치(5)가 케이스(2) 상단에 붙여져 펜던트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인물이 가진 가장 특징적 부위인 머리부의 무변형 만을 원칙으로 적용, 컴퓨터그래픽 작업을 통해 제작되어진 의상과 결합한 사진 인형을 여러 부재의 팬던트로 변형시켜 펜던트에 연결되는 줄의 기능에 따라 핸드폰 줄, 열쇠고리, 목걸이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사진 인형 팬던트를 적용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기 사진 인형 펜던트의 실시 예로서 투명 PVC를 절단하여 상하개방형 케이스(2a)를 만들고 상단막음장치가 될 사각론델(5a) 중앙부 결합구멍을 통해 일레스틱 와이어로 O링(6a)을 연결시킨 후 케이스(2a) 상단에 부착, 점착제로 마감하고, 하단막음장치가 될 사각론델(4a) 상단에 투명 고무 고정대(3a)를 사진인형(1a)과 함께 점착하여 케이스(2a) 하단에 부착, 점착제로 마감한다.
도 4는 상기 펜던트의 교류적 목적을 위한 상징 펜던트로서의 적용 예로 세계의 각국 의상을 캐릭터화 하여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한 펜던트이다. 외국인 선물용 등으로 다양한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도 5는 상기 펜던트의 기념적 목적을 위한 상징 펜던트로서의 적용 예로 결혼, 연인, 가족 기념일 등의 기념적 선물로 특정일이나 특정장소 기념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한 펜던트이다. 특색을 가진 지역이나 행사장 선물용으로 활용되어 진다.
도 6은 상기 펜던트의 증명적 목적을 위한 상징 펜던트로서의 적용 예로 직업 의상을 캐릭터화 하여 직업 자체를 즐기는 수단으로서의 재미를 부여한 펜던트이다. 홍보용 마케팅, 회사 마케팅 상품으로도 활용되어 진다.
도 7은 상기 펜던트의 미래지향적 목적을 위한 상징 펜던트로서의 적용 예로 자라나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미래의 직업의상을 입은 펜던트를 소장하게 함으로서 미래지향적 수단으로서의 재미를 부여한 펜던트이다.
도 8은 상기 펜던트의 상단 고리부(6a)에 핸드폰 줄(7)을 연결하여 핸드폰 액세서리로서 활용 되어진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상기 펜던트의 상단 고리부(6a)에 열쇠고리(8)를 연결하여 열쇠고리로서 활용 되어진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상기 펜던트의 상단 고리부(6a)에 목걸이 줄(9)을 연결하여 목걸이로서 활용 되어진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상기 펜던트의 상단막음장치의 상단의 고리(6) 제거와 하단막음장치 하단의 자석지지대(10)를 부착하고 하단에 양면 점착제를 붙인 금속 받침판(11)을 달아주어 자동차 액세서리로서의 펜던트의 기능을 가진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 상기 펜던트의 금속 받침판(11)에 지지대(12)를 추가한 기능 변화에 따른 탁상용 액세서리로서의 펜던트의 기능을 가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물사진의 몸체부 변형을 이용한 상징적 의미로서의 의상을 접합시킴으로서 폭넓은 사용자층의 확보와 캐릭터적 효과를 나타냄으로 인한 일반적인 영상물 캐릭터 못지않은 재미와 사진 액세서리의 활용범위 확장의 용이함은 물론, 사진 고유의 소장성을 장점으로 가진 반영구적인 액세서리의 수명을 갖을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한류열풍에 의한 연예인 사진 액세서리에 있어서의 수출품으로의 대량생산도 가능하다.

Claims (7)

  1. 소정의 객체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 소정형상의 상하개방형 케이스에,
    사용자가 전송해 온 인물사진 중 컴퓨터그래픽 작업을 통해 오려낸 머리부; 상기 머리부가 상단에 고정되는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을 하게 한 고안자가 컴퓨터그래픽 작업을 통해 제작한 캐릭터 의상 중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설 수 있도록 고정대를 이용해 고정시킨 꾸밈새를 지닌 소정형상의 하단막음장치가 케이스 하단에 붙여지고,
    펜던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고리를 달아 준 꾸밈새를 지닌 소정형상의 상단막음장치; 상기 상단막음장치가 케이스 상단에 붙여진 사진 인형 펜던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060029598U 2006-11-14 2006-11-14 사진 인형 펜던트 KR200436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98U KR200436114Y1 (ko) 2006-11-14 2006-11-14 사진 인형 펜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98U KR200436114Y1 (ko) 2006-11-14 2006-11-14 사진 인형 펜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088U KR20060000088U (ko) 2006-12-05
KR200436114Y1 true KR200436114Y1 (ko) 2007-05-28

Family

ID=4163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598U KR200436114Y1 (ko) 2006-11-14 2006-11-14 사진 인형 펜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1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088U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93268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card communication interface
CN110325068A (zh) 颈饰和紧固件
KR200436114Y1 (ko) 사진 인형 펜던트
JP2009028521A (ja) 真珠母貝表面にアートを施した宝飾具および/または装飾具
JP3134343U (ja) 装飾品
KR101194680B1 (ko) 이미지 코드가 일체로 형성된 장식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6892A (ko)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N205416939U (zh) 多功能五金饰件纪念品
KR20220053397A (ko)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가방 및 이의 제조방법
CN218245817U (zh) 一种照像小瓷片为配饰的波洛领带
KR200359719Y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
US20050204775A1 (en) Bouquet jewel
JP3200599U (ja) 装飾体
CN204812439U (zh) 一种珠宝首饰透镜
TW202207834A (zh) 飾件載體
JP2008264275A (ja) 装飾品及び装飾品の製造方法
CN207084327U (zh) 一种首饰配件、一种首饰
KR101874915B1 (ko) 탄생석이 구비된 기념액자
KR100729504B1 (ko) 경처리된 에폭시 알맹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JP4017582B2 (ja) メッセージ貼り絵セット
TWM608335U (zh) 飾件載體
CN2411691Y (zh) 镶式钮扣
KR20060000099U (ko) 인물사진 탈착 의류
KR101664117B1 (ko) 가방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