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111Y1 - 과일봉지 - Google Patents

과일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111Y1
KR200436111Y1 KR2020060030553U KR20060030553U KR200436111Y1 KR 200436111 Y1 KR200436111 Y1 KR 200436111Y1 KR 2020060030553 U KR2020060030553 U KR 2020060030553U KR 20060030553 U KR20060030553 U KR 20060030553U KR 200436111 Y1 KR200436111 Y1 KR 200436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white
fruit bag
transmittance
sun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수
Original Assignee
윤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수 filed Critical 윤영수
Priority to KR2020060030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1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13/043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4Windows or other apertures, e.g. for viewing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 사과, 복숭아 등 각종 과실수의 과일을 감싸는 과일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봉지를 햇빛의 투과율이 조금 낮은 백색은 제외한 유색으로 이루어지는 유색부와 햇빛의 투과율이 높은 백색부의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과일을 적정 수확시기에 완전히 성숙된 상태에서 수확함과 아울러 과일봉지를 찢지 않고서도 과일봉지 밖에서 육안으로 과일의 완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과일봉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각종 과실수의 과일을 감싸 과일이 완숙될 때까지 병충해로부터 과일을 보호하는 과일봉지에 있어서, 반 이상을 차지하는 위쪽 부위는 햇빛의 투과율이 조금 낮은 백색은 제외한 유색으로 이루어지는 유색부로 구성하고 이 유색부를 경계로 아래쪽은 햇빛의 투과율이 높은 반 이하를 차지하는 백색부의 이중 구조로 형성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과일봉지, 복숭아, 해충, 투과율, 유색부

Description

과일봉지{Fruit bag}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과일봉지 11:유색부(백색은 제외) 12:백색부
13:복숭아
본 고안은 배, 사과, 복숭아 등 각종 과실수의 과일을 감싸는 과일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봉지를 햇빛의 투과율이 조금 낮은 백색은 제외한 유색으로 이루어지는 유색부와 햇빛의 투과율이 높은 백색부의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과일을 적정 수확시기에 완전히 성숙된 상태에서 수확함과 아울러 과일봉지를 찢지 않고서도 과 일봉지 밖에서 육안으로 과일의 완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과일봉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배, 사과, 복숭아 등의 각종 과실을 감싸는 과일봉지는 햇빛의 투과율이 조금 낮은 유색봉지(백색은 제외)와 햇빛의 투과율이 높은 백색봉지로 나눌 수 있다.
전면이 유색으로 된 과일봉지는, 과일을 쌀 경우 햇빛의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완전히 성숙 된 적기에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유색이기 때문에 내부가 보이지 않아 과일의 완숙상태를 밖에서 확인할 수 없어 과일봉지의 하부를 찢어서 과일의 완숙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하부가 터진 상태로 제작되는 과일봉지가 출시되고는 있으나 이 경우 터진 부위로 해충이 침입하는 등 병해충에 노출되어 과일의 생육에 악영향을 끼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또한, 전면이 백색으로 된 과일봉지는, 과일을 쌀 경우 과일의 완숙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햇빛의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과일이 완전히 자라기도 전에 완숙되어 과일의 크기가 작은 등 과일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과일봉지를 햇빛의 투과율이 조금 낮은 유색부와 햇빛의 투과율이 높은 백색부의 이 중 구조로 형성하여 과일을 적정시기에 완전한 크기로 완숙된 상태에서 수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과일의 완숙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과일봉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각종 과실수의 과일을 감싸 과일이 완숙될 때까지 병충해로부터 과일을 보호하는 과일봉지에 있어서, 반 이상을 차지하는 위쪽 부위는 햇빛의 투과율이 조금 낮은 백색은 제외한 유색으로 이루어지는 유색부로 구성하고 이 유색부를 경계로 아래쪽은 햇빛의 투과율이 높은 반 이하를 차지하는 백색부의 이중 구조로 형성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일봉지는 유색부와 백색부의 뚜렷한 경계를 두지않고 백색은 제외한 유색으로 이루어지는 위쪽의 유색부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백색부로 점점 엷게 형성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햇빛의 투과율이 좋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색부는 투명비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 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과일봉지(10)는 지류(紙類)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배, 사과, 복숭아 등의 과일 중 특히 복숭아를 감싸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햇빛의 투과율이 조금 낮은 무색은 제외한 유색으로 이루어지는 유색부(11)와, 햇빛의 투과율이 높은 백색부(12)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유색부(11)는, 백색부(12)에 비하여 햇빛의 투과율이 조금 떨어지는 백색은 제외한 나머지 색으로 이루어진 부위로서, 과일봉지(10)의 전체 면적에 반 이상을 차지하도록 위쪽에 형성되며, 색깔은 갈색, 노란색 등 여러 가지 색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색부(11)가 과일봉지(10)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도록 위쪽에 형성되는 이유는, 아래에 형성되는 백색부(12)가 유색부(11)보다 더 큰 면적을 차지할 경우 종래의 전면이 백색으로 된 과일봉투와 같이 햇빛의 투과율이 높아져 과일이 햇빛을 과다하게 받기 때문에 과일이 다 자라지도 않은 작은 크기로 조기 완숙되어 과일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 과일의 생육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는 것은 유색부(11)이며 백색부(12)는 단지 외부에서 완숙된 과일을 확인하기 위한 역할을 할 뿐이다.
그리고 상기 백색부(12)는, 유색부(11)를 경계로 하여 아래쪽에 백색으로 이루어진 부위로서 과일봉지(10)의 전체 면적 중 절반 이하의 일부분을 차지한다.
즉, 백색부(12)는 과일의 완숙 정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면 되므로 과일봉지(10)의 전체 면적 중 많은 면적을 차지할 필요는 없으며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최소의 면적으로 형성되면 된다.
여기서, 백색부(12)는 내부가 완전히 들여다보이는 투명체인 투명비닐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과일봉지(10)는 유색부(11)와 백색부(12) 의 뚜렷한 경계가 없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점 백색부(12)으로 변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과일봉지(10)는 햇빛의 투과율이 낮은 위쪽의 유색부(11)와 햇빛의 투과율이 높은 아래쪽의 백색부(12)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과일을 완전히 성숙된 상태로 적기에 수확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도 쉽게 과일의 완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과일 중 특히 복숭아(13)를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과일봉지(10)를 복숭아(13)에 씌울 경 우, 과도한 자외선으로 인한 복숭아(13)의 변색을 방지하고 비바람의 자연 현상이나 까치와 같은 조류들로부터 과일을 보호하는 한편, 살포되는 농약으로부터 복숭아(13)를 보호하여 고품질의 복숭아(13)를 재배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과일봉지(10)는 유색부(11) 및 백색부(12)의 이중 구조로서 과일봉지(10) 전체 면적 중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색부(11)는 복숭아(13)의 성장에 적합한 일조량만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복숭아(13)가 다 자란 상태로 완숙되게 하여 고품질의 복숭아(13)를 재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백색부(12)는 과일봉지(10)의 전체면적 중 일부분을 차지하므로 복숭아(13)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복숭아(13)의 완숙 상태를 외부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로 백색부(12)를 내부가 훤히 드려다 보이는 투명비닐로 구성하거나, 과일봉지(10)를 일정 경계가 없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점 백색부(12)가 되도록 구성할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과일봉지는 햇빛 투과율이 낮은 유색부와 햇빛 투과율이 높을 백색부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완전히 성숙된 고품질의 복숭아를 재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에서 복숭아의 완숙 상태를 육안으 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복숭아를 감싸 복숭아가 완숙될 때까지 복숭아를 보호하는 과일봉지에 있어서,
    백색 이외의 유색으로 이루어지는 부위로서, 위쪽 부위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색부와;
    상기 유색부를 경계로 아래쪽의 반 이하를 차지하는 백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지.
  2. 삭제
  3. 삭제
KR2020060030553U 2006-11-28 2006-11-28 과일봉지 KR200436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53U KR200436111Y1 (ko) 2006-11-28 2006-11-28 과일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53U KR200436111Y1 (ko) 2006-11-28 2006-11-28 과일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111Y1 true KR200436111Y1 (ko) 2007-05-29

Family

ID=4163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553U KR200436111Y1 (ko) 2006-11-28 2006-11-28 과일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1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11B1 (ko) 2021-01-20 2021-09-14 백병욱 채광조절이 가능한 숨쉬는 생육용 과수봉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11B1 (ko) 2021-01-20 2021-09-14 백병욱 채광조절이 가능한 숨쉬는 생육용 과수봉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hare Postharvest physiology and storage of rambutan
Kesgin et al. Effects of shading and covering on ‘Sultana Seedless’ grape quality and storability
KR200436111Y1 (ko) 과일봉지
Jeffers Maize diseases: a guide for field identification
Paull et al. Pineapple harvesting and postharvest handling
JP5019452B2 (ja) 完熟ブドウの収穫方法及び包装ブドウ
JP3146991U (ja) 栽培袋
KR101282106B1 (ko) 과일 보호캡과 체결수단을 갖는 낙과방지용 보호주머니
KR200410639Y1 (ko) 과일보호용 커버
CN106538337A (zh) 一种大肉杨桃套袋保果技术方法
ES2278529B1 (es) Sistema de envasado individual de melocoton, otras frutas y verduras que por su configuracion lo permitan.
JP7481760B2 (ja) 果実袋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200200078Y1 (ko) 투명창이 구비된 과수봉투
KR200185732Y1 (ko) 과실 및 포도 보호용 봉투
Rose Market diseases of fruits and vegetables: Citrus and other subtropical fruits
KR200247448Y1 (ko) 부직포를 이용한 과일봉지
JP3235513U (ja) 果実袋
KR20180003449U (ko) 과채류 생육 포장봉지
Love et al. Quick harvest and postharvest tips for better quality and longer postharvest life
KR101728216B1 (ko) 과일 재배용 봉지
KR102274691B1 (ko)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KR0140725Y1 (ko) 포도보호봉지
JPS6026617Y2 (ja) 果実袋
KR200402902Y1 (ko) 과일 생육용 보호봉지
Awasthi et al. Biochemical Changes Due To Storable Packing Materials In Litchi (Litchi Chinensis Sonn) Fr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