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691B1 -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 Google Patents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691B1
KR102274691B1 KR1020190125995A KR20190125995A KR102274691B1 KR 102274691 B1 KR102274691 B1 KR 102274691B1 KR 1020190125995 A KR1020190125995 A KR 1020190125995A KR 20190125995 A KR20190125995 A KR 20190125995A KR 102274691 B1 KR102274691 B1 KR 10227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net
hemispherical
protective net
pe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163A (ko
Inventor
손우현
Original Assignee
손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우현 filed Critical 손우현
Priority to KR102019012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43Protective shelters for young plants, e.g. tubular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으로서,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구형의 보호망; 및 상기 구형의 보호망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 부분에 체결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꼭지 밀봉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따르면,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구형의 보호망과, 구형의 보호망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 부분에 체결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꼭지 밀봉 연결부를 포함하되, 구형의 보호망을 반원형의 뼈대를 이루는 반구 프레임과, 반구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하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구 보호망으로 구성함으로써,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이 성숙한 과일이 될 때까지 외부의 각종 병충해 및 각종 조류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고, 상품 가치를 높이면서도 당도가 높은 고품질의 과일의 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따르면, 꼭지 연결 밀봉부를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빈틈없이 완전히 밀봉하고, 반구 프레임의 내측으로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한 쌍의 반구 보호망에 탈부착의 체결을 위한 고정 돌기와 고정 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밀폐된 과수 봉지와 달리 바람, 햇빛, 이슬, 비 등의 자연환경과 일치하므로 과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는 것은 물론, 병해충 방재로 인건비, 친환경 유기농 약제비 등의 비용을 줄여주고, 쉬운 탈부착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따르면, 야생에서 서식하는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천연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방지망에 함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충 및 균의 방제가 가능하고, 과일 뿐만 아니라 과일나무에 대한 해충 및 균의 사멸 및 방어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꼭지 밀봉 연결부의 견고한 고정을 통한 태풍, 회오리, 바람 등의 급변하는 기상 변화에도 과일의 낙과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A PEST PREVENTION NET FOR FRUIT}
본 발명은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유통 시장의 개방으로 외국의 우수한 품질의 과일이 반입되고, 국내의 과일 소비 패턴이 고급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경쟁 및 생존하기 위해 국내의 과수 농가들도 필연적으로 과일의 품질과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어린 과실에 과수 봉지를 씌워 보호함으로써 고품질의 과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과수 재배법이 점차 그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다.
과수 재배법에서는 과수 나무 가지의 줄기 중 한 곳에서 발생한 다수의 어린 과실 중 하나의 과실만을 남긴 채 그 외의 과실을 쳐낸 후 남은 과실에 대해 봉지를 씌워 관리함으로써, 좋은 품질의 과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영양분의 분산을 억제하여 하나의 과실에 영양분이 집중되도록 과실을 선별하여 남기고, 남긴 과실에 대해 봉지를 씌워 관리함으로써 조류나 해충에 의한 과실의 피해를 방지하게 된다.
종래의 과수 봉지는 신문지, 잡지 종이, 전화번호부 종이, 일반 포장지, 부직포, 비닐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재료의 과수 봉지는 어린 과실의 성장에 필요한 일정 범위의 투광량 조절과 봉지 내의 온습도 조절 능력, 통기성 문제, 방균 방충 능력이 결여되어 있고, 일부에서는 태양광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봉지 표면에 금속분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통기성이 떨어져 봉지 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고온 장애가 일어나 과일 껍질의 착색 불량 및 당분 생성을 억제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기능성 과수 봉지는 조류들이 접근하여 과일을 쪼아 먹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른 과일의 손상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존의 과수 봉지(종이류, 비닐류 등)는 공기, 햇빛, 바람 등의 차단으로 과일의 생육에 지장을 주어 과일 고유의 향과 맛이 떨어지고, 이에 따른 과일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4571호는 과일 보호용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장치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구형의 보호망과, 구형의 보호망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 부분에 체결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꼭지 밀봉 연결부를 포함하되, 구형의 보호망을 반원형의 뼈대를 이루는 반구 프레임과, 반구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하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구 보호망으로 구성함으로써,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이 성숙한 과일이 될 때까지 외부의 각종 병충해 및 각종 조류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고, 상품 가치를 높이면서도 당도가 높은 고품질의 과일의 수확이 가능하도록 하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꼭지 연결 밀봉부를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빈틈없이 완전히 밀봉하고, 반구 프레임의 내측으로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한 쌍의 반구 보호망에 탈부착의 체결을 위한 고정 돌기와 고정 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밀폐된 과수 봉지와 달리 바람, 햇빛, 이슬, 비 등의 자연환경과 일치하므로 과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는 것은 물론, 병해충 방재로 인건비, 친환경 유기농 약제비 등의 비용을 줄여주고, 쉬운 탈부착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야생에서 서식하는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천연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방지망에 함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충 및 균의 방제가 가능하고, 과일 뿐만 아니라 과일 나무에 대한 해충 및 균의 사멸 및 방어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꼭지 밀봉 연결부의 견고한 고정을 통한 태풍, 회오리, 바람 등의 급변하는 기상 변화에도 과일의 낙과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은,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으로서,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구형의 보호망; 및
상기 구형의 보호망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 부분에 체결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꼭지 밀봉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형의 보호망은,
반원형의 뼈대를 이루는 반구 프레임과, 상기 반구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하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구 보호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구 프레임은,
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은,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하되, 과일이 성숙되는 과정에서 과일이 망에 닿아 해충이 착즙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를 상기 반구 프레임 내측으로 더 형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의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은,
하나의 반구 보호망의 내부로 다른 하나의 반구 보호망의 내삽되고, 내부에 내삽되어 있는 반구 보호망을 인출하여 돌리는 방식으로 원형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은,
하나의 반구 보호망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반구 보호망에 고정 돌기에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꼭지 밀봉 연결부는,
상기 구형의 보호망의 내부로 과일이 씌워진 상태에서 빈틈없이 완전히 밀봉 되어 방재가 가능하도록 고무 밴드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따르면,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구형의 보호망과, 구형의 보호망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 부분에 체결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꼭지 밀봉 연결부를 포함하되, 구형의 보호망을 반원형의 뼈대를 이루는 반구 프레임과, 반구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하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구 보호망으로 구성함으로써,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이 성숙한 과일이 될 때까지 외부의 각종 병충해 및 각종 조류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고, 상품 가치를 높이면서도 당도가 높은 고품질의 과일의 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따르면, 꼭지 연결 밀봉부를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빈틈없이 완전히 밀봉하고, 반구 프레임의 내측으로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한 쌍의 반구 보호망에 탈부착의 체결을 위한 고정 돌기와 고정 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밀폐된 과수 봉지와 달리 바람, 햇빛, 이슬, 비 등의 자연환경과 일치하므로 과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는 것은 물론, 병해충 방재로 인건비, 친환경 유기농 약제비 등의 비용을 줄여주고, 쉬운 탈부착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에 따르면, 야생에서 서식하는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천연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방지망에 함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충 및 균의 방제가 가능하고, 과일 뿐만 아니라 과일 나무에 대한 해충 및 균의 사멸 및 방어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꼭지 밀봉 연결부의 견고한 고정을 통한 태풍, 회오리, 바람 등의 급변하는 기상 변화에도 과일의 낙과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A-A 단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의 체결 전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의 체결 과정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을 이용한 과일을 씌운 사용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A-A 단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의 체결 전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의 체결 과정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을 이용한 과일을 씌운 사용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10)은, 구형의 보호망(100), 및 꼭지 밀봉 연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형의 보호망(100)은,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둥근 원형의 보호 케이스의 구성이다. 이러한 구형의 보호망(100)은 과일의 유과기 때(5백원 동전 크기)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 중심에 어린 과일이 위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형의 보호망(100)은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뼈대를 이루는 반구 프레임(110)과, 반구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하는 그물망(120)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의 각각에서 반원형의 뼈대를 이루는 반구 프레임(110)은 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반구 프레임(110)은 반원형의 고형물로 뼈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그물망(120)은 메쉬 망의 형태로 반구 프레임(110)의 외부 또는 외부에 일체로 부착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물망(120)은 반구 프레임(110)에 열 압착 또는 접착제를 통해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은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하되, 과일이 성숙되는 과정에서 과일이 망에 닿아 해충이 착즙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140)를 반구 프레임(110) 내측으로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출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돌출부(140)는 내부에 수용되어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지 않고 띄워질 수 있도록 최소 6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소 2cm가 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돌출부(140)는 일례로서, 망 뼈대 안쪽 부분에 위치되는 과일과 망이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과일의 꼭지 부분에 2개가 사용되고, 중간 부분에 1개, 중간 부분의 바로 윗부분에 1개가 배치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구 보호망(130)의 내부로 다른 하나의 반구 보호망(130)이 내삽되고, 내부에 내삽되어 있는 반구 보호망(130)을 인출하여 돌리는 방식으로 원형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은 하나의 반구 보호망(130)에 고정 돌기(13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반구 보호망(130)에 고정 돌기(131)에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홀(1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은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씌우기 편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반원형의 모양으로 돌리면 원형의 모양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은 탈착을 쉽고 용이하게 반원형의 고형물인 반구 프레임(110)과 그물망(120)을 완제품 하여 돌리면 원형이 되게 부착이 쉽고, 과일 수확 시 돌리면 탈착이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형의 보호망(100)에는 야생에서 서식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추출물로 해충 및 균을 방제하거나, 또는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천연물질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도록 하여 해충 및 균을 방제할 수도 있다. 즉, 구형의 보호망(100)에 함유되는 천연물질의 추출 방법 및 고형물 형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천연물질 추출의 경우, 유효 천연물질을 고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착즙하는 방법과, 알코올에 침전하여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압축의 경우에는 추출한 천연물질에 대한 특유의 향기를 압착판에 침투 고착시키고, 고무(껌, 실리콘, 라텍스 등)의 성질을 이용하거나, 또는 편백나무, 계피 등의 원형 물질 그대로 압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천연식물 추출물의 종류로는 살충 및 방충 사용 식물(님오일, 먹구슬, 매리골드, 제충국, 고삼뿌리, 협죽도, 은행 열매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살균 및 향균 사용 식물(유황, 편백나무, 계피, 마늘, 생강, 향신료 등) 등의 자연에서 얻은 식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형의 보호망(100)에 방충 및 균의 방제를 위해 부착시키는 방법으로는, 망의 제조 시에 침전 및 코팅시켜 식물 추출물을 침투시키거나, 또는 망 내부에 추출 및 압축한 물질을 상하좌우 부분 뼈대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과일을 보호하는 망의 뼈대 부분에 내부 일체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미세 구멍으로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방제의 내용물을 건조하여 가루로 만들어 넣을 수도 있다. 그 이유로는 방충 및 균의 방제 물질이 상시 방출되어 해충 및 균을 지속적으로 방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호망은 해충 및 균의 방어 물질이 보호망에 침전 및 코팅되어 과일 및 나무 전체에 대한 방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망은 과일나무 이외에도 식량 작물이나 화훼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식용작물에 있어 모양 및 크기(참외 등)의 형태에 따라 망의 모양을 달리 적용할 수도 있으며, 텃밭의 주말농장 화분형 식용작물에 있어 그 형태의 작물을 망으로 씌워 해충 및 균의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꼭지 밀봉 연결부(200)는, 구형의 보호망(10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 부분에 체결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연결부의 구성이다. 이러한 꼭지 밀봉 연결부(200)는 구형의 보호망(100)의 내부로 과일이 씌워진 상태에서 빈틈없이 완전히 밀봉되어 방재가 가능하도록 고무 밴드(201)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꼭지 밀봉 연결부(200)는 고무 재질이나 비닐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과일나무의 가지에 달린 과일 꼭지가 위치되고, 고무 밴드(201)로 묶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꼭지 밀봉 연결부(200)는 고무 밴드(201)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꼭지 밀봉 연결부(200)는 태풍, 회오리, 바람 등의 급변한 기상 변화로 매년 과일 생산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낙과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꼭지 부분의 원형 고무 밴드 부분에 부착하여 바람에 의해 낙과되지 않도록 하되, 재질은 가지의 모양 및 크기에 대응하여 모양을 자유로이 구부리는 재질(반고체의 고무)로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은, 당도가 높은 과일의 특성상 방충 및 항균 살균의 방제에 있어 유기농 과일(채소)의 생산이 매우 저조하거나 과한 노동력 및 유기농업 자재의 구입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과일을 가해하는 해충 및 균에 대해 노동력과 자재 구입비용이 들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야생에서 서식하는 천연식물을 이용한 추출로 해충 및 균을 방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천연물질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해충 및 균을 방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도 1에 따른 A-A 단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의 체결 전 상태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의 한 쌍의 반구 보호망의 체결 과정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10)은, 꼭지 연결 밀봉부(200)를 고무 밴드(201)를 이용하여 빈틈없이 완전히 밀봉하고, 반구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복수의 돌출부(140)를 형성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에 탈부착의 체결을 위한 고정 돌기(131)와 고정 홀(132)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쉬운 탈부착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을 이용한 과일을 씌운 사용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120)과 반구 프레임(110)의 일체화된 완제품의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의 체결을 통해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은 기존의 밀폐된 과수 봉지와 달리 바람, 햇빛, 이슬, 비 등의 자연환경과 일치하므로 과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는 것은 물론, 고품질의 상품성 있는 과일의 생산으로 과수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은,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구형의 보호망과, 구형의 보호망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 부분에 체결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꼭지 밀봉 연결부를 포함하되, 구형의 보호망을 반원형의 뼈대를 이루는 반구 프레임과, 반구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하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구 보호망으로 구성함으로써,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이 성숙한 과일이 될 때까지 외부의 각종 병충해 및 각종 조류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고, 상품 가치를 높이면서도 당도가 높은 고품질의 과일의 수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꼭지 연결 밀봉부를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빈틈없이 완전히 밀봉하고, 반구 프레임의 내측으로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한 쌍의 반구 보호망에 탈부착의 체결을 위한 고정 돌기와 고정 홀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밀폐된 과수 봉지와 달리 바람, 햇빛, 이슬, 비 등의 자연환경과 일치하므로 과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는 것은 물론, 병해충 방재로 인건비, 친환경 유기농 약제비 등의 비용을 줄여주고, 쉬운 탈부착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야생에서 서식하는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천연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방지망에 함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충 및 균의 방제가 가능하고, 과일뿐만 아니라 과일나무에 대한 해충 및 균의 사멸 및 방어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꼭지 밀봉 연결부의 견고한 고정을 통한 태풍, 회오리, 바람 등의 급변하는 기상 변화에도 과일의 낙과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100: 구형의 보호망
110: 반구 프레임
120: 그물망
130: 한 쌍의 반구 보호망
131: 고정 돌기
132: 고정 홀
140: 복수의 돌출부
200: 꼭지 밀봉 연결부
201: 고무 밴드

Claims (8)

  1.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10)으로서,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구형의 보호망(100); 및
    상기 구형의 보호망(10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 부분에 체결 고정되어 밀봉되도록 하는 꼭지 밀봉 연결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구형의 보호망(100)은,
    반원형의 뼈대를 이루는 반구 프레임(110)과, 상기 반구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하는 그물망(120)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반구 프레임(110)은,
    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며,
    상기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은,
    유과기 때의 어린 과일을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하되, 과일이 성숙되는 과정에서 과일이 망에 닿아 해충이 착즙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140)를 상기 반구 프레임(110) 내측으로 더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은,
    하나의 반구 보호망(130)의 내부로 다른 하나의 반구 보호망(130)이 내삽되고, 내부에 내삽되어 있는 반구 보호망(130)을 인출하여 돌리는 방식으로 원형의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140)는,
    상기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과일과 망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구 보호망(130)은,
    하나의 반구 보호망(130)에 고정 돌기(13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반구 보호망(130)에 고정 돌기(131)에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홀(1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 밀봉 연결부(200)는,
    상기 구형의 보호망(100)의 내부로 과일이 씌워진 상태에서 빈틈없이 완전히 밀봉 되어 방재가 가능하도록 고무 밴드(201)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KR1020190125995A 2019-10-11 2019-10-11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KR10227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95A KR102274691B1 (ko) 2019-10-11 2019-10-11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95A KR102274691B1 (ko) 2019-10-11 2019-10-11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63A KR20210043163A (ko) 2021-04-21
KR102274691B1 true KR102274691B1 (ko) 2021-07-07

Family

ID=7574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995A KR102274691B1 (ko) 2019-10-11 2019-10-11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63Y1 (ko) * 1999-08-03 2000-02-15 장균식 과일보호구
KR200418912Y1 (ko) * 2006-03-31 2006-06-15 김병주 조류 피해 방지용 과일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15B1 (ko) * 2001-11-06 2004-02-19 김주섭 과일 보호구
KR20090006366A (ko) * 2007-07-11 2009-01-15 김낙원 과일 보호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63Y1 (ko) * 1999-08-03 2000-02-15 장균식 과일보호구
KR200418912Y1 (ko) * 2006-03-31 2006-06-15 김병주 조류 피해 방지용 과일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63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sh et al. Field evaluation of insecticides against chilli thrips (Scirtothrips dorsalis Hood)
CN104920078A (zh) 小苗快速繁育澳洲坚果嫁接苗方法
CN103918435A (zh) 一种野葫芦的栽培技术
KR102274691B1 (ko) 과수용 병해충 방지망
CN103518585B (zh) 一种葡萄增产的田间管理方法
Safeena et al. Ready reckoner on cultivation of tuberose
JPH119119A (ja) 樹木保護器
WO2019032935A1 (en) PLANT COVER DEVICE WITH ENCLOSURE AND PERIPHERAL BASE AND ASSOCIATED METHODS
JP2002220306A (ja) 防虫用ロープ、防虫用ロープ装置及び防虫用ネット並びに簡易防虫装置
JP3809446B2 (ja) 防虫効果のある2色の色彩を形成した防虫用ロープ及びこの防虫用ロープを用いた防虫用ロープ装置、防虫用ネット等の防虫装置
CN110981564A (zh) 一种芒果树杀虫剂及用于芒果树的维护方法
CN105994432B (zh) 一种有机李植物性红蜘蛛杀虫剂及其使用方法
CN104641825A (zh) 豌豆嫩茎的培育方法
CN104396662A (zh) 一种沙田柚套袋保果的方法
Kant et al. Saving seed spices from insect enemies
JP7191068B2 (ja) 忌避剤、消臭剤及び植物活性剤
CN111316847B (zh) 一种黄曲条跳甲的防治方法
JP7123374B2 (ja) 果実袋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WO2021075586A1 (ja) 自然光、赤色光を用いた害虫の飛来抑制方法
JP2007084483A (ja) 土壌改良機能も有する動物忌避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JP3310486B2 (ja) 腹足類に属する軟体動物忌避剤
JP2000302620A (ja) 害虫忌避剤
CN204443414U (zh) 植物保护罩
Fisch Passionfruit the world over
KR101728216B1 (ko) 과일 재배용 봉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