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966Y1 - 배수구 악취방지기 - Google Patents

배수구 악취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966Y1
KR200435966Y1 KR2020060025569U KR20060025569U KR200435966Y1 KR 200435966 Y1 KR200435966 Y1 KR 200435966Y1 KR 2020060025569 U KR2020060025569 U KR 2020060025569U KR 20060025569 U KR20060025569 U KR 20060025569U KR 200435966 Y1 KR200435966 Y1 KR 200435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odor
drainage
wa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도
Original Assignee
임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도 filed Critical 임상도
Priority to KR2020060025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9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주택 주상복합빌딩 등 건물내 배수구에서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악취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욕실 화장실 싱크대 등의 하수관에 간단히 꼽아 사용하며, 물이 빠질 때(도2)는 고부력의 부이(buoy, 3)가 가이드(guide, 4)를 따라 떠올라 배수를 가능케 하고, 물이 빠진 뒤(도1)에는 부이가 배수구멍(7)을 막아 악취가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악취방지기가 제공된다.
악취방지기, 배수구, 주방악취, 소변기, 부이, PE(폴리에틸렌)수지, 통기구, 수직와류(渦流), 욕실악취, 하수관, 공중목욕탕.

Description

배수구 악취방지기{Preventer of Rancidity in Sinkhole(Tra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악취방지기의 악취방지 기능(닫힌 상태) 때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악취방지기의 배수상태 때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악취방지기의 분해때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이의 측단면·평면(밑쪽)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이가이드의 측면·평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하수관 외측에 끼워 결합하는 부분으로, 상부는 꺽쇠(11)를 이용해 속뚜껑(10)과 결합되며, 효과적인 물흐름을 위해 중심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깔때기 구조와 평행구조의 접면부위 내부에는 배수구멍(7)이 형성돼 있고, 부이(3)가 내려앉는 돌출부분(9)과 소량의 물이 고이는 홈부분(8)이 마련된다.
2. 뚜껑:통수공(5, 通水孔)이 형성된 판형구조로, 중앙부의 부이가이드(4) 구경(口徑) 만큼은 통수공을 뚫지 않는다. 속뚜껑(10) 위에 얹어 사용하며 청소를 위해 쉽게 개폐할 수 있다.
3. 부이(buoy):소량의 물에도 떠오르는, 초경량-고부력 재질인 폴리에틸렌, 스티로폼 압축품 등으로 구성해 내열성(耐熱性)을 보강한다. 납작한 원통형상으로, 본체돌출부(9)와 닿는 아래쪽 부분은 2~5mm 깊이의 띠모양으로 파낸다. 파낸 부분은 정확한 수평면 가공을 통해, 하부의 본체돌출부(9)와 밀착이 완벽토록 한다. 윗부분 중앙부는 주변보다 높게, 가장자리는 낮고 둥글게 처리해 부이의 상승운동이 원활토록 한다. 부이 하부의 홈 파진 높이는 본체돌출부의 높이(6~10mm)보다 작아 본체홈부분(8)의 물이 다 말라도 악취유입을 막는 기능에는 지장이 없게 한다.
4. 부이 가이드(buoy guide):부이(3)가 상하운동 중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짧은 관 모양의 가이드. 위쪽에는 부이의 원활한 상승을 확보해 주는 통기구(6, 通氣口)가 있고, 아래쪽은 많은 통수 수량 확보를 위해 다릿발(교각:橋脚)형태를 갖는다.
5. 통수공(通水孔):뚜껑(2)의 중앙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다수 형성돼, 이물질은 거르고 하수는 통과시키는 구멍.
6. 통기구(通氣口):부이가이드(4) 윗부분에 마련해, 부이(3)가 쉽게 부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기(排氣) 구멍.
7. 배수구멍:물이 악취방지기를 통해 하수관으로 빠져나가는 구멍.
8. 홈 부분:본체(1) 깔때기부와 평형부의 경계 가장자리에 소량의 물이 고여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홈. 이곳에 고인 물은 부이(3)하부와 배수구멍 접촉면 사이에 수막(水膜)을 만들어 악취유입을 2중으로 막는다.
9. 돌출부분:부이(3)의 초기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솟아오르게한 부분으로, 부이는 이 부분 위에 얹혀있다가 하수가 들어오면 순식간에 떠오르게 된다.
10. 속뚜껑:미관(美觀)을 유지하고, 뚜껑(2, 스테인리스 강)과의 재질간 강 도를 맞추기 위해 사용하며, 꺽쇠(11)가 있어 본체에 결합해 사용한다.
11. 꺽쇠:속뚜껑(10)에 형성하며 본체(1)를 결합하기 위한 용도이다.
본 고안은 적지않은 생활불편을 초래하는 건물내 배수구 하수악취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으면서도 배수는 원활히 해 주는 배수구 악취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수구에는 이물질의 배수구 유입을 막는 정도의 기본기능만을 가진 배수구 뚜껑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배관공간이 비교적 넓은 싱크대에는 S-자 배관방식(배관의 일정구간에 항상 물이 고여 있도록 해 악취역류를 방지하는 방식)을 통해 악취 역류를 막아왔다.
최근 S-자 배관의 '물 고임'원리를 향상시킨 1(일)-자 형태(종발이 형태)의 악취방지기가 시판되고 있으나 배수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악취가 결합용 나사부분 틈새로 조금씩 새나와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악취유입 방지기능이 향상되고, 종래제품보다 더 좁은 공간(수직선상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통수(通水)능력과 관리의 용이성도 증진된 악취유입 방지기의 제공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 악취방지기는 하수관에 외삽(外揷)하는 본체(1), 본 체상부에 얹어 결합하는 속뚜껑(10), 속뚜껑 위에 얹는 뚜껑(2), 배수구멍(7)을 개폐하는 부이(3), 부이의 경로이탈을 막는 가이드(4)의 다섯 기능부(도 3)로 구성된다.
본체(1)는 하수관 바깥쪽에 끼워 악취방지기를 고정하는 부분으로, 위쪽은 속뚜껑(10)과 꺽쇠(11)로 결합된다. 중간높이 까지는 태이핑(내려올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구조로 이뤄지며, 아래쪽은 수평구조를 갖는다. 양 구조의 경계부 내부에는 배수구멍(7)과 돌출부분(9), 홈 부분(8)을 형성한다.
뚜껑(2)은 중앙부의 부이가이드(4) 외경(外徑)만큼을 제외한 부분에는 물이 빠져나가는 통수공(5)을 충분히 확보한다. 중앙부에 구멍을 뚫지 않는 것은 하수의 낙하가 부이의 상승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이(3)는, 본체돌출부(9)에 닿는 아래쪽 부분을 파낸 납작한 원통 형태이며, 위쪽은 물이 고이지 않도록 중앙부는 볼록하게,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형성한다. 아래쪽 파낸 부분은 정밀한 수평면 가공으로 배수구멍(7)을 완벽히 밀폐할 수 있도록 했다. 아주 가볍고 강력한 부력을 갖는 압축 스티로폼, 강화 플라스틱, PE 등의 재질로 만들며, 섭씨 200도 정도의 내열성을 갖춘다.
부이가이드(4)는 하수가 부이(3) 위로 직접 쏟아지지 않도록 중간높이 부분은 원통으로 형성하며, 하부는 다릿발 형태, 최상부는 통기구(6)가 확보된 형태를 갖는다.
본 고안에 의한 악취방지기는, 우선 속뚜껑(10)과 조립된 본체(1)의 홈부분(8)에 부이가이드(4)를 놓은 뒤, 부이(3)를 넣고 뚜껑(2)을 덮으면 결합이 완료된 다. 결합된 상태의 방지기를 하수관 외측에 접착제를 이용해 꼽으면 설치가 끝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와 물이 빠져나간 뒤 부이가 배수구멍을 막아 악취유입 방지기능을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하수가 빠져나가면 부이가 내려와 배수구멍(7)을 막게 된다. 이 때 하수는 돌출부(9)까지 차 있어, 부이 하부의 홈 파진 부분과 수막이 형성돼 악취 유입을 완벽하게 막게 된다. 장기간 물을 사용하지 않아 홈부분(8)의 물이 말라도 정확히 수평면 가공된 부이가 배수구멍을 직접 눌러 막아, 악취 유입을 막는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방지기의 하수 배출때의 예시도이다.
하수가 방지기로 들어오면 부이가 가이드를 따라 떠오른다. 수량이 많은 경우 부이는 뚜껑아랫부분에 닿게 된다. 부이는 상하운동만 할 뿐 가이드안에서 뒤집히거나 걸리는 경우는 생기지 않는다.
또 뚜껑 중앙부가 막혀있고, 가이드의 원통이 하수가 부이위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막는데다가 통기구(6)로 공기배출이 제때 이뤄져 부이의 상승이 방해받지 않는다.
물이 다 빠지면서 부이는 내려와 배수구멍(7)을 어긋남 없이 막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방지기를 구성하는 다섯 부분을 분해한 예시도로, 전체의 결합관계와 각 부분의 구경(口徑)을 알 수 있다.
배수구멍(7)이 통상 하수관(지름 75mm기준) 내경(內徑)의 40%정도로 가장 좁으며, 부이는 배수구멍보다 15mm가량 크고, 가이드 내경은 부이보다 0.5mm가량 크다. 또 본체(1) 깔때기 구조의 가장 넓은 곳은 평행부보다 30mm가량 크다.
뚜껑(2)과 속뚜껑(10)은 미려하고 강한 스테인리스 강을, 나머지 부분은 PE계열의 소재를 쓴다.
도 4는 부이(3)의 측면과 밑부분을 예시한 것으로 본체돌출부(9)와 닿는 부분은 폭 5~10mm, 깊이 2~5mm가량의 홈을 형성된다. 따라서 부이의 가장자리 하단은 항상 하수에 일정부분 잠겨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하부의 중앙부는 약간 볼록하게 해 부상력을 극대화한다.
도 5는 부이가이드(4) 예시도로, 원통의 상부에 통기구(6)가 형성되며, 아래쪽은 다리와 좌우·전후(회전은 무방)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발을 3개이상 형성한다. 다리의 길이는 본체홈부분(8)에서 부이의 측면상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 악취방지기는, 부이(3)를 이용해 배수구멍(7)을 직접 막는 방식인데다 수막·잠수원리까지 이용함으로써, 악취유입 방지효과가 월등하며 통수능력도 종래의 제품보다 뛰어나다. 또한 납작한 원통형태의 부이를 사용함으로써 수직방향 공간 활용이 종래보다 효율적이고 조작·관리가 간편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종래, 배관의 일부 구간에 물을 채워두는 방식의 배수구 악취방지기에 대해, 상부를 깔때기 방식으로 넓히고, 하부 중앙에 배수구멍(7)을 형성한 본체(1, 도3), 배수구멍을 개폐하는 부이(3, 도4), 부이의 경로 이탈을 막는 부이가이드(4, 도5), 중앙부에 통수공(5)이 없는 뚜껑(2)과 속뚜껑(10)의 5개 부분으로 구성되며, 속뚜껑(10)은 꺽쇠(11)로 본체와 조립하고, 본체(1)하부의 홈부분(8)에 부이가이드(4)를 놓은 뒤 부이(3)를 가이드 안에 넣고, 뚜껑(2)을 덮어 결합(도3)하는 방식의 배수구 악취방지기.
KR2020060025569U 2006-09-19 2006-09-19 배수구 악취방지기 KR200435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569U KR200435966Y1 (ko) 2006-09-19 2006-09-19 배수구 악취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569U KR200435966Y1 (ko) 2006-09-19 2006-09-19 배수구 악취방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966Y1 true KR200435966Y1 (ko) 2007-03-27

Family

ID=4156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569U KR200435966Y1 (ko) 2006-09-19 2006-09-19 배수구 악취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9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1147044B1 (ko) 배수트랩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JP2008248614A (ja) 浴室用排水構造
KR20120132024A (ko) 배수 트랩
WO2004099513A3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KR200435966Y1 (ko) 배수구 악취방지기
KR200403172Y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JP6371952B2 (ja) 排水口の捕集構造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1056506B1 (ko) 씽크대 배수 구조
KR200273523Y1 (ko)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20110045600A (ko) 배수트랩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200417664Y1 (ko) 배수구 악취방지기
JP2006257662A (ja) 排水ドレン設備
JP2005171707A (ja) 排水トラップ
KR200423817Y1 (ko) 배수구 악취방지기
KR200376677Y1 (ko) 역류악취방지용 하수구마개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200388665Y1 (ko)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