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877Y1 -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877Y1
KR200435877Y1 KR2020060031458U KR20060031458U KR200435877Y1 KR 200435877 Y1 KR200435877 Y1 KR 200435877Y1 KR 2020060031458 U KR2020060031458 U KR 2020060031458U KR 20060031458 U KR20060031458 U KR 20060031458U KR 200435877 Y1 KR200435877 Y1 KR 200435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pressure cooker
closing devi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경상
Original Assignee
현경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경상 filed Critical 현경상
Priority to KR2020060031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손만을 이용하여 뚜껑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체와 뚜껑의 각 주연부에는 뚜껑을 덮을 경우에 상호 결합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각 테두리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테두리부를 감싸 뚜껑을 덮는 뚜껑 개폐수단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압력밥솥, 뚜껑, 개폐

Description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Cover opening device for pressure cooker}
도 1은 본 발명의 뚜껑 개폐장치가 구비된 압력밥솥의 뚜껑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뚜껑 개폐장치가 구비된 압력밥솥의 뚜껑을 분해한 후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뚜껑 개폐장치가 구비된 압력밥솥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개방된 상태에서 뚜껑 개폐장치를 도시한 내부도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덮인 상태에서 뚜껑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내부도시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테두리부
2 : 뚜껑
21 : 테두리부
22 : 패킹
23 : 압력 배출구
3 : 뚜껑 개폐수단
31 : 둘레 고정대, 31a : 힌지축
311 : 둘레판, 312 : 상 누름판, 313 : 하 누름판
32 : 조작수단
321 : 회전대, 321a : 중간축, 321b : 장홀,
321c : 핀, 322 : 스프링, 323 : 손잡이, 324 : 누름대
33 : 기어
4 : 안전수단
41 : 승강핀
42 : 브라켓
5 : 패킹 열림수단
51 : 개방부
52 : 개방부
본 고안은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한 손만을 이용하여 뚜껑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전기나 가스와 같은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밥솥내부의 압력을 높여 밥을 짓거나 각종의 조리를 하도록 구성된 조리기구이다.
즉 상기와 같은 압력밥솥은 내부의 압력 손실을 방지하여 고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뚜껑의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의 뚜껑 개폐장치는, 밥을 짓거나 조리를 할 경우에 압력밥솥의 내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즉 기존의 뚜껑 개폐장치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밀폐력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뚜껑 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일 예로 뚜껑을 회전시키는 방식의 뚜껑 개폐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뚜껑 개폐장치는, 밥솥 본체와 뚜껑의 각 주연 테두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턱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뚜껑을 덮을 경우에는, 양 손을 이용하여 뚜껑의 손잡이를 양측에서 잡은 상태에서 밥솥본체와 뚜껑의 걸림턱을 상호 엇갈리게 위치시킨 다음 뚜껑을 일방향으로 돌려 각 걸림턱이 상호 걸리도록 조작함으로써 뚜껑을 덮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을 개방시킬 경우에는, 내부의 압력을 뺀 다음 양손을 이용하여 뚜껑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걸림턱을 상호 이탈시켜 뚜껑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개폐장치는, 양 손을 이용하여 뚜껑을 개폐함에 따라서 조작상에 많은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양 손을 이용하여 뚜껑을 회전시켜 개방하는 순간에 이웃하는 용기와 손이 접촉되어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각 걸림턱의 부분적인 걸림을 통해 뚜껑을 덮음으로써, 뚜껑의 밀폐력이 약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한 손만을 이용하여 뚜껑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와 뚜껑의 주연부에 형성된 테두리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뚜껑을 덮음으로써, 밀폐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뚜껑을 회전시키지 않고 손잡이의 조작만을 통해 뚜껑을 용이하게 개폐시 킬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본체의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지 안음에 따라서 본체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된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뚜껑의 각 주연부에는 뚜껑을 덮을 경우에 상호 결합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각 테두리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테두리부를 감싸 뚜껑을 덮는 뚜껑 개폐수단이 구비된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 개폐수단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부의 후방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림이 가능하게 구비된 상,하 누름판을 포함하는 양 둘레 고정대와, 상기 뚜껑에 구비되어 조작을 통해 상기 양 둘레 고정대를 벌리거나 근접하게 하는 조작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 둘레 고정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둘레 고정대를 구성하는 하 누름판은 전,방의 폭이 좁고 중간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양 둘레 고정대의 단부에 전방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 회전대와, 양 회전대의 전방을 항상 근접하게 당겨주는 스프링과, 상기 양 회전대의 후방을 상호 근접하게 눌러주는 양 누름대가 구비된 손잡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양 회전대의 후방 내측에는 상호 맞물리는 기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뚜껑 개폐장치가 구비된 압력밥솥의 뚜껑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뚜껑 개폐장치가 구비된 압력밥솥의 뚜껑을 분해한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뚜껑 개폐장치가 구비된 압력밥솥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3d는 도 3a의 C-C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뚜껑 개폐장치는, 본체(1)와 뚜껑(2)으로 구성된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본체(1)와 뚜껑(2)의 각 주연부에는 상호 밀착되는 테두리부(1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2)에는 상기 각 테두리부(11,21)가 밀착된 상태에서 테두리부(11,21)를 감싸 뚜껑을 덮는 뚜껑 개폐수단(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각 테두리부(11,21)는, 본체(1)의 주연부인 상부 개방부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뚜껑(2)의 주연부인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2)의 주연부인 하단부의 둘레에는 원형의 패킹(22)이 구비됨으로써, 뚜껑을 덮을 경우 내부의 공기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뚜껑의 상판에는 사용자의 조작 및 내부에 과압이 걸릴 경우 내부 압력을 빼는 압력 배출구(2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개방된 상태에서 뚜껑 개폐장치를 도시한 내 부도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덮인 상태에서 뚜껑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내부도시 개략 사시도이다.
이에 상기 뚜껑 개폐수단(3)은, 상기 뚜껑(2)의 테두리부(21)의 후방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림이 가능하게 구비된 상,하 누름판(312,313)을 포함하는 양 둘레 고정대(31)와, 상기 뚜껑(2)에 구비되어 조작을 통해 상기 양 둘레 고정대(31)를 벌리거나 근접하게 하는 조작수단(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양 둘레 고정대(31)는 뚜껑(2)에 구비된 테두리부(21)의 후방에 구비된 힌지축(31a)을 통해 양측으로 벌어짐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둘레 고정대(31)는, 반원호형의 둘레판(311)과 둘레판(311)의 내측 상,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뚜껑(2)의 테두리부(11,21)와 본체(1)의 테두리부(11,21)의 상,하부를 각각 눌러주는 상,하 누름판(312,313)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 누름판(313)은, 전,방의 폭이 좁고 중간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됨으로써, 양 둘레 고정대(31)를 후방을 중심으로 벌리게 되면 양 둘레 고정대(313)가 본체(1)의 테두리부(11)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32)은, 상기 양 둘레 고정대(31)의 단부에 전방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간축(321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 회전대(321)와, 양 회전대(321)의 전방을 항상 근접하게 당겨주는 스프링(322)과, 상기 양 회전대(321)의 후방을 상호 근접하게 눌러주는 양 누름대(324)가 구비된 손잡이(323)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둘레 고정대(31)의 단부와 회전대(321)의 연결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321)의 전방에 장홀(321b)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 고정대(31)의 단부에 상기 장홀(321b)을 관통하는 핀(321c)을 고정함으로써, 둘레 고정대(31)와 회전대(321)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 회전대(321)는 중간축(321a)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22)은 양 중간축(321a)에 장착되어 양 회전대(321)의 전방을 항상 근접되게 당겨주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 상기 양 회전대(321)의 후방 내측에는 상호 맞물리는 기어(33)가 더 구비됨으로써, 양 회전대(321)를 항상 동일한 각도로 벌려줄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양 회전대(321)의 기어(33)가 상호 맞물려 있음에 따라서 조작수단(32)을 통해 하나의 회전대(321)가 회전되더라도 이와 연동되어 다른 하나의 회전대(321)도 연동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 회전대(321)의 작동을 정밀하게 함으로써 양 둘레 고정대(31)의 벌림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양 회전대(323) 중 하나의 외측에는, 뚜껑(2)에 승강 가능하게 관통되어 솥 내부에 내압이 있을 경우에 회전대(323)의 벌림을 방지하는 승강핀(41)으로 구성된 안전수단(4)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승강핀(41)은 브라켓(42)을 통해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솥 내부에 압력이 차있을 경우에 승강핀(41)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손잡이(323)의 누름대(324)를 조작하더라도 회전대(321)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솥 내부에 압력이 모두 빠질 경우에는 승강핀(41)이 하강됨으로써 손잡이(323)의 누름대(324)의 조작을 통해 뚜껑(2)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대(321)의 일측에 내부 압력의 유무에 따가 상승되고 하강되는 승강핀(41)을 구비함으로써, 압력이 내부에 차있을 경우에 뚜껑을 개방시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에 구비된 테두리부(21)는 내측 패킹(22)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21)의 전방에는 솥 내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급상승 될 경우에는 패킹(22)이 외부로 돌출되어 내부 압력을 외부로 빼 줄 수 있도록 패킹 열림수단(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패킹 열림수단(5)은 양 둘레고정대(31)의 전방에 형성된 개방부(51)와 상기 뚜껑(2)의 테두리부(21)의 전방에 형성된 개방부(52)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D-D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도 1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 쌀이나 조리물을 채운 상태에서, 뚜껑(2)의 손잡이(323)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양 누름대(324)를 누르게 되면, 조작수단(32)을 구성하는 양 회전대(321)가 중간축(321a)을 중심으로 후방이 상호 근접되게 회전된다.
그러면 양 회전대(321)의 전방에 상호 벌어짐과 동시에 뚜껑(2)의 둘레 구비되어 있는 양 둘레 고정대(31)의 전방이 후방을 중심으로 이격되게 벌어짐으로써, 양 둘레 고정대(31)가 개방 위치를 유지한다.
다음, 도 3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의 상부에 뚜껑(2)을 덮은 상태에서 손잡이(323)에 구비된 양 누름대(324)를 해제시키게 되면, 양 회전대(321)의 전방이 스프링(322)의 인장력을 통해 상호 근접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게 양 둘레 고정대(31)의 전방이 상호 근접되게 됨으로써, 양 둘레 고정대(31)는 본체(1)와 뚜껑(2)에 구비된 테두리부(11,21)를 감싸게 된다.
그러므로 양 둘레 고정대(31)의 조임을 통해 뚜껑(2)을 본체(1)의 상부에 견고하게 덮은 다음 압력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압력 조리를 마친 후에는, 도 1,2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같이, 뚜껑(2)에 구비되어 있는 압력 배출구(23)를 개방시켜 밥통 내부의 압력을 뺀다,
다음 손잡이(323)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양 누름대(324)를 한 손으로 누름에 따라, 조작수단(32)을 구성하는 양 회전대(321)가 중간축(321a)을 중심으로 후방이 상호 근접되게 회전되게 함으로써, 양 회전대(321)의 전방에 상호 벌어지게 하며 개방위치를 유지한다.
그런다음 손잡이(323)를 들어 올려 뚜껑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 손만을 사용하여 뚜껑을 개방함으로써, 압력밥솥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의 개방시 다른 한 손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서 전화를 받거나 솥 안에 양념을 넣는 등의 다른 일도 병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2)의 테두리부(21)와 본체(1)의 테두리부(11)를 양 둘레 고정대(31)를 통해 전체적으로 감싸 뚜껑(2)을 닫음으로써, 뚜껑의 밀착력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뚜껑(2)과 본체(1)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밀폐시킴에 따라서 내부의 고압을 충분히 커버함으로써, 사용중 내부의 고압력으로 인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 손만을 이용하여 뚜껑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가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다른 일을 하면서도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와 뚜껑의 주연부에 형성된 테두리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뚜껑을 덮어 밀폐력을 최대로 향상시킴으로써, 압력 조리시 내부 공기의 누출을 예방하고 폭발등의 안전사고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뚜껑을 회전시키지 않고 손잡이의 조작만을 통해 뚜껑을 용이하게 개폐시킴으로써, 주위 용기의 간섭으로 인한 화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본체의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서 본체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본체(1)와 뚜껑(2)으로 구성된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본체(1)와 뚜껑(2)의 각 주연부에는 뚜껑을 덮을 경우에 상호 결합되는 테두리부(1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2)에는 상기 각 테두리부(11,21)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테두리부(11,21)를 감싸 뚜껑을 덮는 뚜껑 개폐수단(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개폐수단(3)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부(11,21)의 후방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림이 가능하게 구비된 상,하 누름판(312,313)을 포함하는 양 둘레 고정대(31)와,
    상기 뚜껑(2)에 구비되어 조작을 통해 상기 양 둘레 고정대(31)를 벌리거나 근접하게 하는 조작수단(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둘레 고정대(31)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둘레 고정대(31)를 구성하는 하 누름판(313)은 전,방의 폭이 좁고 중간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32)은,
    상기 양 둘레 고정대(31)의 단부에 전방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간축(321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 회전대(321)와,
    양 회전대(321)의 전방을 항상 근접하게 당겨주는 스프링(322)과,
    상기 양 회전대의 후방을 상호 근접하게 눌러주는 양 누름대(324)가 구비된 손잡이(3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 회전대(321)의 후방 내측에는 상호 맞물리는 기어(3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 회전대(323) 중 하나의 외측에는,
    뚜껑(2)에 승강 가능하게 관통되어 솥 내부에 내압이 있을 경우에 회전대(323)의 벌림을 방지하는 승강핀(41)으로 구성된 안전수단(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에 구비된 테두리부(21)는 내측 패킹(22)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21)의 전방에는 솥 내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급상승 될 경우에는 패킹(22)이 외부로 돌출되어 내부 압력을 외부로 빼 줄 수 있도록 패킹 열림 수단(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20060031458U 2006-12-11 2006-12-11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0435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458U KR200435877Y1 (ko) 2006-12-11 2006-12-11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458U KR200435877Y1 (ko) 2006-12-11 2006-12-11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877Y1 true KR200435877Y1 (ko) 2007-03-08

Family

ID=4162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458U KR200435877Y1 (ko) 2006-12-11 2006-12-11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8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50B1 (ko) 2007-05-31 2008-01-23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 개폐안전장치
KR20170010971A (ko) 2015-07-21 2017-02-02 이운학 압력밥솥 덮개
KR20180135677A (ko)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압력밥솥용 클램프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50B1 (ko) 2007-05-31 2008-01-23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 개폐안전장치
KR20170010971A (ko) 2015-07-21 2017-02-02 이운학 압력밥솥 덮개
KR20180135677A (ko)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부영하이텍 압력밥솥용 클램프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1961B2 (ja) 蓋開口部を備える圧力調理器
CN106108627B (zh) 电压力锅
JP6148639B2 (ja) 電子レンジ用加圧調理器
EP2850915B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EP1922960B1 (fr) Couvercle à dégagement de vapeur contrôlé, et dispositif de cuisson, notamment appareil électroménager de préparation culinaire chauffant
CN104622274A (zh) 一种新型供两种模式可选的电压力锅
MX2007006634A (es) Tapa de olla de presion.
KR200435877Y1 (ko)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FR2908622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hauffant, comportant un recipient de cuisson intermediaire
WO2021056863A1 (zh) 顶出装置和烹饪器具
KR10137900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20100050644A (ko) 조리용 압력용기 뚜껑 록킹장치
KR101090515B1 (ko) 압력밥솥
KR20150106063A (ko) 저진공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1583779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FR2908617A1 (fr) Couvercle a degagement de vapeur controle,et dispositif de cuisson,notamment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hauffant.
CN211093335U (zh) 一种新型多功能电炖锅
KR101374133B1 (ko) 휴대용 조리용기
KR20140142086A (ko) 돌솥압력취사 용기
KR101559429B1 (ko) 부분화력차폐가 가능한 육류구이판
KR20170002580U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KR200424021Y1 (ko) 찜 조리기구
CN212015337U (zh) 一种煲汤用陶瓷煲
CN210961462U (zh) 一种压力蒸汽锅
KR200235170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