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746Y1 -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746Y1
KR200435746Y1 KR2020067000011U KR20067000011U KR200435746Y1 KR 200435746 Y1 KR200435746 Y1 KR 200435746Y1 KR 2020067000011 U KR2020067000011 U KR 2020067000011U KR 20067000011 U KR20067000011 U KR 20067000011U KR 200435746 Y1 KR200435746 Y1 KR 200435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clip
arm
spectacle fram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7000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 기앙 양
안동 장
Original Assignee
아이-비즈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비즈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이-비즈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67000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2개의 렌즈를 유지하고 각 단에서 뒤로 연장되는 프론트말단부분을 가지는 프론트, 각 프론트말단부분은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지며, 상단부와 하단부 중 일방은 상단부와 하단부의 타방에 있는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을 가진 기하학적인 오목부로부터 결합과 분해를 위해 기하학적인 돌출부를 가지고, 결합과 분해는 측면이동만으로 이루어지는 안경테를 제공한다. 안경테의 프론트말단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클립도 개시된다.
안경테, 기하학적인 오목부, 기하학적인 돌출부, 클립

Description

안경테{Spectacle frame}
본 고안은 안경테와 관련되며, 특히 클립을 사용하여 조립된 구성요소를 가진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납땜이나 나사의 사용 없이 조립된 안경테는 프론트 및 2개의 템플로 구성되고 프레스된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특정 도구를 요구하는 복잡한 배열을 사용하여 해체될 수 있게 고정되었다. 이것은 보다 쉽게 특정 도구없이 렌즈를 안경테로부터 삽입하고 제거하기를 추구하는 안경상에는 상당히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제1의 바람직한 면에 따라 2개의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프론트; 각 말단에서 뒤로 연장되고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지는 프론트말단부분을 가진 상기 프론트; 상부노치를 가지는 상기 상단부 및 하부노치를 가지는 상기 하단부; 프론트말단부분을 서로 분해할 수 있게 유지하기 위해 프론트말단부분에 부착되는 클립으로서,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유지하기 위해 상부노치 및 하부노치에 결합되는 말단부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안경테가 제공된다.
상부노치는 상단부의 상부테두리에 있고, 하부노치는 상기 하단부의 하부테두리에 있을 수 있다. 클립의 말단부는 상부노치와 하부노치에 결합하기 위해 2개의 분리된 텅들에서 끝나는 두 갈래로 나누어진 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중 타방에 있는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을 가진 기하학적인 오목부로부터 결합 및 분해를 위해 기하학적인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과 분해는 측면 이동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은 기하학적인 오목부에 기하학적인 돌출부를 보유하기 위해 제공된다.
클립은 일반적으로 S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은
(a)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하부암
(b)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중간암
(c) 상부암, 및
(d) 안경테의 템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부암으로부터 뒤쪽 및 안쪽으로 연장되는 립을 구비할 수 있다.
상단부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부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브라켓을 가질 수 있다.
안경테는 프론트말단부분에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노치는 하부노치와 함께 결합되어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는 기하학적인 돌출부 및 기하학적인 오목부의 앞쪽에 있고, 상기 상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은 상기 개구, 기하학적인 오목부 및 기하학적인 돌출부의 사이에 있고, 상기 클립은 클립이 프론트말단부분의 개구에 결합되기 위해 하부암으로부터 안쪽 및 앞쪽으로 연장되는 텅을 포함할 수 있다.
협소한 틈은 말단과 중간암 사이에 형성되고, 협소한 틈은 프론트말단부분의 두께보다 작다. 클립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립은 중간암에 접촉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클립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클립이다.
템플은,
(a) 템플단
(b) 템플단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슬롯
(c) 템플단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핀
(d) 템플단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핀을 포함하고
(e) 상기 슬롯은 손가락에 의해 압축되어 상부핀과 하부핀을 상부브라켓 및 하부브라켓의 핀홀에 결합시키는 안경테.
템플의 안쪽으로 오프셋되는 템플단오프셋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템플단오프셋부의 뒤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은 높이에 있어서, 상기 템플단오프셋부의 적어도 전체범위에 대해 템플단으로부터 점점 가늘어진다.
클립은 템플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슬롯은 상기 클립의 상부암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브라켓은 이로부터 연장되는 상부스커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브라켓은 이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하부스커트를 가질 수 있다..
제2면에서, 안경테의 프론트말단부분과 결합되는 클립이 제공되고, 상기 클립은 일반적으로 S자 모양이고, 상기 클립은
(a)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하부암
(b)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중간암
(c) 상부암,
(d) 상기 클립을 프론트말단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하부암으로부터 안쪽 및 위쪽으로 연장되는 말단; 및
(e) 안경테의 템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부암으로부터 뒤쪽 및 안쪽으로 연장되는 립을 포함한다. 클립은 스프링클립일 수 있다. 템플은 클립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슬롯은 템플로 클립의 상부암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말단은 중간암으로부터 떨어져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2개의 L자 모양으로 분리되어 위치된 텅에서 끝날 수 있다.
제3면에 있어서, 안경테의 프론트말단부분과 결합하는 템플이 제공되며, 상기 템플은
(a) 템플단
(b) 템플단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슬롯
(c) 템플단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핀
(d) 템플단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핀을 포함하고,
(e) 상기 슬롯은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프론트말단부분의 핀홀에 상기 상부핀과 하부핀이 결합되도록 한다.
템플의 안쪽으로 오프셋된 템플단오프셋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롯은 템플단오프셋부 뒤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높이에 있어서 템플단으로부터 점차 가늘어질 수 있다. 슬롯은 적어도 템플단오프셋부에 대해 연장될 수 있다. 클립은 템플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슬롯은 클립의 상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브라켓은 이로부터 연장되는 상부스커트를 가질 수 있고 하부브라켓은 이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스커트르 가질 수 있다. 템플은 일체로 된 클립을 더 포함한다.
클립은 일반적으로 S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a)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하부암
(b)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중간암
(c) 클립이 프론트말단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하부암으로부터 안쪽 및 앞쪽으로 연장되는 말단
(d) 안경테의 템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부암으로부터 뒤쪽 및 안쪽으로 연장되는 립을 포함할 수 있다.
협소한 틈은 말단과 중간암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협소한 틈은 프론트말단부분의 두께보다 작다. 클립이 압축되는 경우, 립은 중간암과 접촉되어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클립은 스프링클립일 수 있다. 슬롯은 템플의 클립의 상부암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템플은 찢어진 끝을 구비하는 연장된 슬롯을 구비한 후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후단은 템플팁의 가로홈과 결합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가로홈은 찢어진 단의 웰들로 마무리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쉽게 이해되고 실제로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고,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조립시 안경예의 일 실시예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프론트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론트의 일측의 말단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1개의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말단부를 구비한 도 4 및 도 5의 크립을 조립하는 제1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템플에 부착하기 전에 조립된 클립과 말단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템플을 부착하는 경우에 도 8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대응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클립이 제거된 도 8에 대응되는 사시도이다.
도12는 펴고 접은 위치에서 템플을 보여주는 도 9에 대응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편 위치에서 템플을 보여주는 힌지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대응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5는 이미 펴진 위치에서 템플에 과도하게 힘이 가해지는 경우 도 14에 대응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말단부분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7은 템플의 제2실시예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프론트말단부분에 피트되는 도 17의 템플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응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템플의 제3실시예의 부분측면도이다.
도 21은 제 4실시예의 부분정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클립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테의 부분사시도이다.
명세서를 통해,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진다.
도 1은 우측템플(12), 좌측템플(14), 프론트(16), 렌즈들(18), 노즈패드(24) 및 프론트말단부분(22)에서 안경테(10)에 분해할 수 있게 고정되는 클립들(20)을 포함하는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되는 안경테를 보여준다.
노즈패드(24)는 알려진 방법으로 암들(30)상에 탑재된다. 바람직하게 암들(30)은 프론트(16)와 함께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프론트(16)는 또한 브릿지(26) 및 림들(28)을 구비한다. 림들(28)은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완성될 수 있고, 부분(상부 또는 하부) 또는 프론트(16)는 림이 없을 수도 있다. 림이 없다면, 브리지(26), 암들(30) 및 프론트말단부분들(22)은 알려진 방법으로 렌즈들(18)에 고정되고 분해될 수 있게 부착될 수 있다.
림들(28)로부터 렌즈들(18)을 삽입하고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림들(28)은 특정 도구없이, 열리고 닫힐 필요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지 손이나 손가락 힘을 사용해 행해질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도 2와 3에서 보여진다.
삭제
프론트말단부분(22)의 각각은 상단부(32) 및 하단부(34)로 형성되거나 제조되고, 상단부(32)와 하단부(34)는 림들(28)을 열거나 림들(28)을 닫기 위해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기하학적인 오목부(36)를 가진 상단부(32)와 기하학적인 오목부(36)로부터 분해될 수 있게 수용될 수 있는 대응되는 모양과 크기의 기하학적인 돌출부(38)를 가진 하단부(34)에 의해서이다. 기하학적인 모양의 오목부(36)와 돌출부(38)는 이들의 상대적인 이동이 단지 측면으로만 가능하고 상,하단부(32, 34)의 면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이런 방식으로 오목부(36)와 안접하게 위치된 돌출부(38), 및 상단부(32)와 하단부(34)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측면으로 이동하여 돌출부(38)가 오목부(36)를 채운다.
오목부(36)와 돌출부(38)의 기하적인 모양은, 예를 들어, T(보여지는 바와 같이), F, Y, 거꾸로 된 L, 거꾸로 된 J, Z, O 등과 같이 어떠한 적절한 모양이 될 수 있다. 오목부(36) 및 돌출부(38)에 대해, 상부(40) 및 하부(42)가 있다. 상부(40)는 하부접속부(42) 보다 폭이 커서 말단부분(22)의 면에서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상단부(32) 및 하단부(34)는 상,하단부(32, 34)가 조립되는 경우, 노치들(44)이 결합하여 개구(46)를 형성하도록 배열된 노치(44)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46)는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이다. 노치들(44)은 기하학적인 오목부(36) 및 돌출부(38)에 인접하여 앞쪽으로 위치된다.
대안으로는, 하단부(34)는 기하학적인 오목부(36)를 가지고, 상단부(32)는 돌출부(38)를 가질 수 있다.
상단부(32)의 상부테두리 및 하단부(34)의 하부테두리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상부브라켓들(45, 47)이 각각 있다. 브라켓들(45, 47)은 기하학적인 오목부(36) 및 노치(44), 기하학적인 돌출부(38) 및 노치(44)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각 브라켓(45, 47)은 그 안에 핀홀(48)을 구비한다.
조립을 유지하기 위한 클립들(20)이 도 4와 5에서 보여진다. 각 클립(20)은 일반적으로 일단에 텅(tongue, 50)을 그리고, 타단에 업턴립(upturned lip, 52)을 구비한 S자 모양이다. 텅(50)은 위쪽으로 그리고 안쪽으로 연장되고 립(52)은 뒤쪽으로 그리고 안쪽으로 연장된다. 도 5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클립(20)은 압축력이 가해질 때, 업턴립(52)은 클립(20)의 잔부와 접촉하여 폐루프(54)를 형성한다. 텅(50)은 클립(20)의 잔부와 협소한 틈(56)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협소한 틈(56)은 프론트말단부분(22) 주위에 고정적으로 피트되기 위해 말단부분(22)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들(20)은 고장력 스테인레스인 스프링클립이다.
프론트말단부분(22)과 클립들(20)의 조립품이 도 6 내지 8에서 보여진다. 렌즈들(18)을 림들(28)에 삽입한 후, 말단부분들(22)은 도 2 및 3에서 보여지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립된다. 이후 손가락으로 말단부분들(22)에 대해 클립들(20)을 가압함으로써 확대되는 개구(46) 및 협소한 틈(56)에 텅(50)이 위치된다. 이후 클립(20)은 말단부분들(22)의 외측으로 하부암(58)이 눌러지도록 이동된다. 협소한 틈(56)이 말단부분들(22)의 두께보다 얇기 때문에, 암들(58, 60)이 개구(46)와 상,하단부(32, 24)의 테두리 사이의 말단부분들(22)의 양측에 힘을 가한다. 암들(58, 60)은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클립들(20)은 말단부분(22)의 끝의 개구(46)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힘이 돌출부(38)에 가해져 돌출부(38)를 기하학적인 오목부(36)에 유지한다. 기하학적인 모양의 돌출부(38) 및 오목부(36)에 의해, 돌출부(38)는 클립(20)에 인가되는 측면으로부터의 힘으로 인해 오목부(36)로부터 우연히 빠질 수 없다.
렌즈(18)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절차를 반대로 하는 것, 즉, 손가락으로 힘을 가해 클립들(20)을 제거하고, 측면 이동에 의해 오목부(36)로부터 돌출부(38)를 제거하고 림들(28)을 열고 렌즈들(18)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템플(12, 14)은 서로 거울상이다. 이들의 구성 및 조립/분해는, 동일하다. 이것은 도 8 내지 11에서 보여진다. 템플(12, 14)은 클립(20)이 말단부분(22)에 위치된 후 프론트(16)와 함께 조립된다.
각 템플(12, 14)은 덮개(66)와 관련해 알려진 알려진 기술, 디자인 및 재료들에 따른 덮개(66)를 가진 후단(64)을 구비한다. 템플(12, 14)은 각각 프론트, 브라켓들(45, 47)의 핀홀들(48)에 맞는 크기와 모양의 위쪽과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핀들(72)을 구비한 내부로 오프셋된 템플단(70)을 가진 템플단부(68)를 가진다. 오프셋된 템플단(70)의 오프셋 범위는 말단부분(22)에 조립되는 경우 클립(20)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도 9 참조).
각 템플(12, 14)에 연장된 슬롯(74)은 오프셋된 템플단(70)의 전제 범위에 대해 템플단부(68)로부터 뒤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오프셋된 템플단(70)을 지나 뒤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74)은 높이에 있어서 슬롯의 앞(76)에서부터 슬롯의 뒤(78)까지 점점 가늘어 진다. 이런 방법으로, 오프셋템플단(70)은 상부(80)와 하부(82)를 가진다. 손가락의 힘을 이용해서, 상부(80)와 하부(82)가 서로 가까워질 수 있어 슬롯의 앞(76)에서 슬롯(74)의 높이는 감소된다. 이것은 핀들(72)이 상부와 하부 브라켓(45, 47)의 핀홀들(48)에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고장력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탄성재의 템플들(12, 14)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힘을 상부와 하부(80, 82)에서 제거하여 슬롯(74)이 정상 높이로 돌아오고 핀들(72)이 완전히 핀홀들(48)에 결합되도록 한다. 분해는 반대의 과정이다. 따라서, 템플들(12, 14)은 힌지로서 작동하기 위해 핀들(72)과 핀홀들(48)을 구비하고, 핀들(7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클립들(20)의 상부암(62)의 모양 및 탄성은 각 템플(12, 14)을 위해 적절한 캠이나, 중심, 동작을 제공한다. 이는 도 12 내지 15에서 보여진다. 템플(14)이 펴진 위치에 있을 때, 립(52)과 접촉하여 템플(14)의 적절한 이동의 한계를 제공한다. 클립(20), 상부암(62) 및 립(52)의 탑성은 과도한 이동/힘을 허용하지만(도 15), 결국, 립(52)은 중간암(60)에 대해 대략 편평하게 되고 따라서, 추가적인 템플(14)의 이동은 손상없이는 불가능하다. 템플(12, 14)이 펴진 위치에 있는 경우, 템플단(68)은 클립(20)과 접촉하지 않는다.
각 템플(12, 14)이 닫힌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템플단부(68)는 클립(20)과 접촉없이 이동되어 클립(20)의 상부암(62)과 접촉된다. 이것은 템플(12, 14)의 이동에 저항을 제공한다. 상부암(62) 경사 특성 때문에, 저항은 이동의 시작시에 가장 강하다. 템플단부(68)와 상부암(62)의 초기 접촉은 상부암(62)을 압축한다. 템플이 이동을 계속하는 경우, 압축이 계속되고 립(52)은 중간암(60)과 접촉한다. 이것은 템플(12, 14)에 의해 약 25도의 이동을 요구한다. 그 동안 이동되는 부분과 같이, 이동력이 제거되면, 템플(12, 14)은 완전히 펴진 위치로 돌아오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템플단(68)에서 동작하는 스프링클립(20)의 탄성때문이다. (25도 이동)위치와 거의 접힌 위치 사이에서, 각 템플(12, 14)은 이동력이 제거되면 펴진 위치로 돌아오려는 경향이 있지만, 마찰로 인해 이동에 대한 탄성특성은 클립(20)의 치우침 효과를 극복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상부암(62)의 경사특성 때문에, 이동에 대한 저항은 템플(12, 14)이 완전히 접힌 위치에 도달했을 때 감소된다. 템플단(68)에 의해 상부암(62)에 인가되는 최대 압축력은 오프셋된 템플단(70)이 말단부분(22)에 수직하게 되는 때이다. 이것은 대략 완전히 접힌 위치 전이다. 따라서, 접힌 위치로 이동시 이동의 마지막 부분에 대해 힘의 감소가 있다. 이것은 중심 또는 캠에 템플(12, 14)이 완전히 펴지고 완전히 접힌 위치로 치우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 템플(12, 14)은 2개의 '정지' 위치, 즉, 완전히 펴진 위치와 완전히 접은 위치,를 가진다. 이들 두 개의 위치 외의 어떠한 위치는 템플들(12, 14)이 이들 두 개의 위치로 치우치도록 준안정으로 될 수 있고, 마찰로 인한 이동에 대해 어떠한 저항을 극복하는 작은 힘이 인가되는 경우, 이들 위치 중의 어느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각 립(52)이 템플(12, 14)이 펴진 상태에 있는 경우, 템플들(12, 14)과 접촉 하기 때문에, 템플들은 장력에 의해 고정적으로 그 위치에 유지된다.
클립(20)은 템플(14, 16)과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도 16 내지 19에서 보여지고, 미리 정해진 번호 2와 함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사용된다.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부(232)와 하단부(234)는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돌출부(238)(및 이와 대응하는 오목부)는 동일하고 슬롯(246)도 동일하다. 상부브라켓(245, 247)은 핀홀이 없다는 점에서 상이하고, 각 브라켓(245, 247)은 스커트(284), 즉,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브라켓(245)의 스커트(284)와 위로 연장되는 하부브라켓의 스커트(284)를 구비한다.
도 17은 일체로 된 클립(220)을 가진 템플(212)를 보여준다. 클립(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텅(250) 및 상부암(262)을 구비하나 립(252)은 더욱 내측으로 구부러져 템플(212)의 템플단(268)과 통합된다. 템플(221)의 슬롯(274)은 적어도 상부암(262)까지 클립(220)에 연장되지만, 중간암(260)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슬롯(274)은 동일한 목적- 압축-을 위해 일체로 된 클립(220)을 구비한 템플(212)이 스커트(284) 사이를 지난 후 브라켓들(245, 247) 사이에 피트되기 위해 압축될 수 있다
프론트의 상,하단부(232, 234)를 구비한 템플(212)을 조립하는 것은 텅(250)이 슬롯(246)과 결합하고 클립(220)이 프론트말단부분(222)에 대해 힘이 가해진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차이는 중간암(26)과 상부암(262)이 상부브라켓(245)과 하부브라켓(247)의 스커트(284) 뒤에서 그리고 상부브라켓(245)과 하부브라켓(247) 사이에서 고정된다는 것이다. 클립(220)이 예를 들어, 스프링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탄성재로 됨으로써, 템플(212)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브라켓들(245, 247)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도 20은 템플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번호 3이 부가되어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된다. 도면에서,
(a)는 템플팁이다
(b)는 (a)의 단면이다
(c)는 템플단이다. 그리고,
(d)는 템플단에 템플팁을 조립한 것이다.
템플(312, 314)의 후단부(364)가 설명된다. 각 후단부(364)는 템플덮개 또는 템플팁(366)을 가진다. 템플팁(366)은 전단(390)에서 후단(392)까지 연장된 상부 및 하부슬롯들(388)을 구비한 단단한 코어(386)를 구비한다. 후단(392)에서, 슬롯(388)은 웰(394)에 연장된 깊이를 가진다. 템플의 각 후단(364)은 찢어진 단(398)에서 끝나는 연장된 슬롯(396)을 가진다. 이런 방식으로 찢어진 단(398)이 개방될 때까지 슬롯(396)이 개방될 수 있다. 찢어진 단(398)이 웰들(394)에 결합될 때까지 찢어진 단(398)이 슬롯(388)에 결합되고, 템플팁(366)이 후단(364)에 눌려진다. 이것은 스냅핏방식으로 되어, 팁(366)이 후단(364)과 직접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명확한 지시가 있다. 그러므로 후단(364)에 대해 결합되는 팁(366) 보다 팁(366)에 결합되는 템플들의 후단(364)이 일반적이다. 또한, 후단(364)의 부분은 매력적인 형상을 줄 수 있다.
후단(364) 보다 폭이 넓은 코어(386)에 의해, 팁(366)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보호와 완충을 제공한다.
도 21 내지 23은 상단부(423)가 오목부(36) 또는 돌출부(38)를 구비하지 않고, 노치(444)가 상부테두리(486)에 위치되고, 하단부(434)가 오목부(36) 또는 돌출부(38)를 구비하지 않고 노치(444)가 하부테두리(488)에 위치되는 제4실시예를 나타낸다.
클립(420)은 텅(450) 및 하부암(458)이 변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전과 같다. 하부암(458)은 외측단부(490)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2개의 L모양이 텅(450)에서 끝난다. 텅들(450)은 아치형 오목부(492)에 의해 분리된다.
그러므로, 클립들(420)은 프론트말단부분(422)과 조립되기 위해, 텅들(450)은 노치들(444)에 위치되고, 협소한 틈(456)은 손가락으로 클립들(420)을 말단부분(422)에 대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 확장된다. 클립(420)은 하부암(458)이 말단부분(422)의 외측에서 가압되고 중간암(460)은 말단부분(422)의 내측에서 가압되도록 이동된다. 협소한 틈(456)이 말단부분(422)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암들(458, 460)은 노치들(444) 및 상,하단부(432, 434)의 끝 사이에서 말단부분(422)의 양측에 힘을 가한다. 이 힘과 노치들(444)에서의 텅들(450)이 서로 상하단부(432, 434)를 유지하기 때문에 힘이 상,하단부(432, 434)에 가해져 상,하단부(432, 434)를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유지하고 배열한다. 텅들(450) 사이의 고정된 거리와 클립들(420)의 고유 강도 때문에 상,하단부(432, 434)의 우연한 이탈은 쉽지 않다. 텅들(45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고 노치들(444) 사이의 거리보다 부분적으로 커서 노치들(444)에 결합되는 경우, 텅들(450)은 상,하단부(432, 434)를 서로 유지한다.
텅들(450)의 모양에 의해, 수직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상,하단부(423, 434)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노치들(444)이 상부테두리(486)와 하부테두리(488)에서 보여지지만, 이들은 인접하고 이들의 가장자리로 연장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술되었으나, 본 고안에서 벗어남이 없이 설계, 구성 또는 동작의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 기술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2)

  1. 안경테에 있어서,
    (a) 2개의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프론트;
    (b) 각 말단에서 뒤로 연장되고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지는 프론트말단부분을 가진 상기 프론트;
    (c) 상부노치를 가지는 상기 상단부 및 하부노치를 가지는 상기 하단부;
    (d) 프론트말단부분을 서로 분해할 수 있게 유지하기 위해 프론트말단부분에 부착되는 클립으로서,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유지하기 위해 상부노치 및 하부노치에 결합되는 말단부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치는 상단부의 상부테두리에 있고, 하부노치는 상기 하단부의 하부테두리에 있고, 클립의 말단부는 상부노치와 하부노치에 결합하기 위해 2개의 분리된 텅들에서 끝나는 두 갈래로 나누어진 말단을 포함하는 안경테.
  3. 제1항에 있어서,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중 타방에 있는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을 가진 기하학적인 오목부로부터 결합 및 분해를 위해 기하학적인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과 분해는 측면 이동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은 기하학적인 오목부에 기하학적인 돌출부를 보유하기 위해 제공되는 안경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일반적으로 S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은
    (a)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하부암;
    (b)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중간암;
    (c) 상부암; 및
    (d) 안경테의 템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부암으로부터 뒤쪽 및 안쪽으로 연장되는 립을 구비한 안경테.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부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브라켓을 가지는 안경테.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론트말단부분에 개구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7. 제2항에 있어서, 상부노치는 하부노치와 함께 결합되어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는 기하학적인 돌출부 및 기하학적인 오목부의 앞쪽에 있고, 상기 상단부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상부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부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부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상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은 상기 개구, 기하학적인 오목부 및 기하학적인 돌출부의 사이에 있고, 상기 클립은 클립이 프론트말단부분의 개구에 결합되기 위해 하부암으로부터 안쪽 및 앞쪽으로 연장되는 텅을 포함하는 안경테.
  8. 제4항에 있어서, 협소한 틈이 말단과 중간암 사이에 형성되고, 협소한 틈은 프론트말단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안경테.
  9. 제4항에 있어서, 클립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립은 중간암에 접촉되어 폐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클립은 스프링클립인 안경테.
  10. 제4항에 있어서, 템플은
    (a) 템플단;
    (b) 템플단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슬롯;
    (c) 템플단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핀;
    (d) 템플단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핀을 포함하고
    (e) 상기 슬롯은 손가락에 의해 압축되어 상부핀과 하부핀을 상부브라켓 및 하부브라켓의 핀홀에 결합시키는 안경테.
  11. 제10항에 있어서, 템플의 안쪽으로 오프셋되는 템플단오프셋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템플단오프셋부의 뒤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은 높이에 있어서, 상기 템플단오프셋부의 적어도 전체범위에 대해 템플단으로부터 점점 가늘어지는 안경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템플과 일체로 되는 안경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클립의 상부암으로 연장되는 안경테.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은 이로부터 연장되는 상부스커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브라켓은 이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하부스커트를 가지는 안경테.
  15. 안경테의 프론트말단부분과 결합되는 클립으로서, 상기 클립은 일반적으로 S자 모양이고, 상기 클립은
    (a)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하부암;
    (b) 효과적으로 접속되는 중간암;
    (c) 상부암;
    (d) 상기 클립을 프론트말단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하부암으로부터 안쪽 및 위쪽으로 연장되는 말단; 및
    (e) 안경테의 템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부암으로부터 뒤쪽 및 안쪽으로 연장되는 립을 포함하는 클립.
  16. 제15항에 있어서, 협소한 틈은 상기 말단과 중간암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협소한 틈은 프론트말단부분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클립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립은 폐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중간암에 접촉하는 클립.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은 중간암으로부터 떨어져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2개의 L자 모양으로 분리되어 위치된 텅체서 끝나는 클립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스프링 클립인 클립.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이 상기 클립과 일체로 되는 클립.
  20. 제19항에 있어서, 슬롯은 상기 템플의 클립의 상부암으로부터 연장되는 클립.
  21. 안경테의 프론트말단부분과 결합하는 템플에 있어서, 상기 템플은
    (a) 템플단;
    (b) 템플단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슬롯;
    (c) 템플단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핀;
    (d) 템플단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부핀을 포함하고,
    (e) 상기 슬롯은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어 프론트말단부분의 핀홀에 상기 상부핀과 하부핀이 결합되도록 하는 템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의 안쪽으로 오프셋된 템플단오프셋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템플단오프셋부 뒤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템플단으로부터 점차 가늘어지는 템플.
KR2020067000011U 2004-02-19 2005-02-18 안경테 KR200435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7000011U KR200435746Y1 (ko) 2004-02-19 2005-02-18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400777-9 2004-02-19
SG200405760-0 2004-09-15
KR2020067000011U KR200435746Y1 (ko) 2004-02-19 2005-02-18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746Y1 true KR200435746Y1 (ko) 2007-02-16

Family

ID=4162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7000011U KR200435746Y1 (ko) 2004-02-19 2005-02-18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7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36A3 (ko) * 2010-04-22 2012-03-08 Kim Young H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183346B1 (ko) * 2012-04-05 2012-09-14 류정민 금속 안경테의 경첩구조
KR101468321B1 (ko) * 2013-07-15 2014-12-02 이상윤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36A3 (ko) * 2010-04-22 2012-03-08 Kim Young H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154691B1 (ko) * 2010-04-22 2012-06-08 김영호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183346B1 (ko) * 2012-04-05 2012-09-14 류정민 금속 안경테의 경첩구조
KR101468321B1 (ko) * 2013-07-15 2014-12-02 이상윤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3221U (ja) 眼鏡フレーム
US20060250571A1 (en) Spectacle set with multiple decorative frame
US20170276958A1 (en) Eyeglass frame with replaceable temples
US4659196A (en) Optical accessory for use with spectacles
US20060256281A1 (en) Spectacles set with decorative frame
US20100208193A1 (en) Hinge arrangement for spectacles
CA1290964C (en) Pivoting optical accessory for use with spectacles
EP2562583A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temple to eyeglass frame
KR200435746Y1 (ko) 안경테
JP2003043422A (ja) レンズ定置性の優れたリムレス眼鏡
US20100073627A1 (en) Spectacles
JP2828916B2 (ja) ケース入り折畳み眼鏡
US6478421B2 (en) Mechanically-attached nosebridge element for eyewear frame
US7926936B2 (en) Eyeglass lens connector, eyeglass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and lens-forming substrate
CN107290867B (zh) 可更换镜片的眼镜
CN110780458B (zh) 一种可替换镜片的眼镜
KR20130077770A (ko) 착탈 가능한 다리들을 갖는 안경테
KR200439675Y1 (ko) 안경테
KR101853486B1 (ko)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CN100385290C (zh) 带有可互换的镜腿的眼镜
JP4362840B2 (ja) 眼鏡の鼻当て具の取付構造、鼻当て具及びブリッジ
CN110618539A (zh) 具有侧向插入元件的眼镜框架
JP4336389B2 (ja) レンズ交換可能型眼鏡
US20120188500A1 (en) Eyeglasses having two removable lens units
KR200168091Y1 (ko) 안경용 힌지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