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737Y1 - 과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과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737Y1
KR200435737Y1 KR2020060027217U KR20060027217U KR200435737Y1 KR 200435737 Y1 KR200435737 Y1 KR 200435737Y1 KR 2020060027217 U KR2020060027217 U KR 2020060027217U KR 20060027217 U KR20060027217 U KR 20060027217U KR 200435737 Y1 KR200435737 Y1 KR 200435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fruit
container
strawberries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이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정 filed Critical 이희정
Priority to KR2020060027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7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수지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과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용기의 바닥을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만곡면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딸기와 같이 상처에 민감한 과일을 유통ㆍ판매함에 있어 흠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함은 물론 진열된 상품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쉬운 딸기 등과 같은 과일을 포장하여 진열하거나 판매하기 위한 투명 합성수지재의 포장용기를 성형함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바닥면을 위로 솟아오른 만곡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바닥면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용기의 측벽부 하단에서 연이어지는 받침리브를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 쪽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것이며, 또한 상기 포장용기의 바닥면에 사각형태의 크고 작은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딸기, 포장용기, 바닥면, 받침리브, 홈

Description

과일 포장용기{Fruit packing container}
도 1 은 일반적인 과일 포장용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과일 포장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과일 포장용기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장용기 11: 뚜껑
12: 본체 13: 통풍구
14: 통기공 20: 포장용기
21: 플랜지 22: 접촉 방지부
30: 포장용기 31: 플랜지
32: 측벽부 33: 바닥면
34: 받침리브 35: 홈
36: 랩(lap) 37: 걸림턱
본 고안은 투명수지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과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의 바닥을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만곡면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딸기와 같이 상처에 민감한 과일을 유통ㆍ판매함에 있어 흠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함은 물론 진열된 상품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과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의 식품코너나 각종 마트의 식품판매 코너에 진열되고 있는 과일 중에서 특히 딸기와 같은 과일은 아주 작은 충격에도 쉽게 상하기 때문에 통상 투명 합성수지로 성형된 용기 내에 소정 단위로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투명 포장용기는 내부 전체를 투시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아래쪽에 품질이 낮은 상품을 넣어 포장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므로 상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과일 포장용기로서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전에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302100호나 제34243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과일 포장용기"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장용기(10)를 구성하는 뚜껑(11)과 본체(12)의 여러 부위에 통풍구(13)나 통기공(14) 등의 공기순환구조를 형성하여 공기가 뚜껑(11)이나 본체(12)의 하부측으로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용기가 밀폐되는 경우 딸기가 쉽게 상해 버리는 결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포장용기(20)의 플랜지(21)에 접촉 방지부(22)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출고시에 다량 적층되는 용기(20)들이 서로 밀착되어 빠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들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용기 대부분의 바닥면은 모두 평탄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용기 아래쪽에 쌓이는 딸기가 쉽게 상해 버리게 되고, 특히 뚜껑이 없는 일반 팩(pack) 형태로 제작된 용기의 경우에는 통상 일정량의 딸기를 담은 후에 비닐로 된 랩(lap)을 씌운 상태로 진열하거나 판매함에 따라 용기 아래쪽의 중앙으로 딸기가 몰리면서 상처를 입는 경우가 많아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용기의 바닥면을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만곡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과일을 바닥면의 양 옆으로 분산시켜 쌓을 수 있는 동시에 과일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과일 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 도록 함은 물론 포장용기의 진열시에 상품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과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쉬운 딸기 등과 같은 과일을 포장하여 진열하거나 판매하기 위한 투명 합성수지재의 포장용기를 성형함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바닥면을 위로 솟아오른 만곡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바닥면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용기의 측벽부 하단에서 연이어지는 받침리브를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 쪽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용기의 바닥면에 사각형태의 크고 작은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각 플랜지와 측벽부 사이의 모서리 부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과일 포장용기(30)는 표 면에 흠집이 생기기 쉬운 딸기 등과 같은 과일을 투명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포장용기(30) 내에 쌓아 진열하거나 판매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포장용기(30)로서는 도 1 및 도 2a,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1)과 용기 본체(12)로 이루어진 종류의 것을 포함하여 뚜껑 없이 일반 팩 형태로 제작되는 용기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경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용기(30) 상단의 플랜지(31)로부터 사방 측벽부(32)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측벽부(32) 아래쪽의 바닥면(33)을 위로 솟아오른 만곡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포장용기(30)의 바닥면(33)이 아래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방 측벽부(32)의 하단에서 연이어지는 받침리브(34)를 상기 바닥면(33)의 중앙부 쪽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것이며, 이 바닥면(33)에는 사각형태의 크고 작은 다수의 홈(35)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본 고안의 포장용기(30) 내로 소정 분량의 딸기를 넣은 후 랩(36)을 씌우게 되면, 용기 바닥면(33)이 위쪽으로 솟아오른 만곡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딸기를 용기(30)의 양 측벽부(32)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딸기 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과일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포장용기(30)의 진열시에 상품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용기(30)의 플랜지(31)와 측벽부(32) 사이의 사방 모서리 부위에는 걸림턱(37)을 형성하여 종래 기술로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기 출고시에 다량 적층되는 용기(30)들이 서로 밀착되어 빠지지 않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 포장용기에 의하면, 투명수지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과일 포장용기의 바닥면을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만곡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딸기와 같이 상처에 민감한 과일을 유통ㆍ판매함에 있어 흠집이 생기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과일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구나 포장용기의 진열시에 상품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 욕구를 한층 고취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쉬운 딸기 등과 같은 과일을 포장하여 진열하거나 판매하기 위한 투명 합성수지재의 포장용기를 성형함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30)의 바닥면(33)을 위로 솟아오른 만곡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바닥면(33)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용기(30)의 측벽부(32) 하단에서 연이어지는 받침리브(34)를 상기 바닥면(33)의 중앙부 쪽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30)의 바닥면(33)에 사각형태의 크고 작은 홈(35)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30)의 플랜지(31)와 측벽부(32) 사이의 모서리 부위에는 걸림턱(3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용기.
KR2020060027217U 2006-09-30 2006-09-30 과일 포장용기 KR200435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17U KR200435737Y1 (ko) 2006-09-30 2006-09-30 과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17U KR200435737Y1 (ko) 2006-09-30 2006-09-30 과일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737Y1 true KR200435737Y1 (ko) 2007-02-12

Family

ID=4162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217U KR200435737Y1 (ko) 2006-09-30 2006-09-30 과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7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53B1 (ko) * 2021-01-19 2022-04-11 김지태 수용공간의 효율적인 분배와 유동 억제 기능이 보장되는 상하 적재형 딸기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53B1 (ko) * 2021-01-19 2022-04-11 김지태 수용공간의 효율적인 분배와 유동 억제 기능이 보장되는 상하 적재형 딸기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903A (en) Plastic container with sauce cup holder
US10850916B2 (en) Container for protecting baked goods
JP4953986B2 (ja) 包装用容器、蓋、蓋付き包装用容器、および食品包装体
US3221971A (en) Packaging tray
US20040256280A1 (en) Display tray and lid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US9505523B2 (en) Food package
US20030183641A1 (en) Stackable lid
RU2735963C2 (ru) Лоток для клубники
KR200435737Y1 (ko) 과일 포장용기
JP6585899B2 (ja) プラスチック製の包装用容器とその使用方法
JP6186162B2 (ja) 包装トレイ
US20080217330A1 (en) Produce containers and interchangeable, high-density packing system using same
US20140263384A1 (en) Food package
CN200988651Y (zh) 巧克力包装体
JP7429419B2 (ja) 包装用容器
US3881598A (en) Display package
EP2138409B1 (en) Container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KR101552621B1 (ko) 통풍구조를 갖는 투명한 덮개사용 과일 포장용기
JP6962555B2 (ja) 包装用容器
JP7169249B2 (ja) 立て置き可能な食品包装容器
US9873556B1 (en) Product package and a method for packaging a product
CA2821761A1 (en) Methods and devices relating to product packaging and display
KR200263975Y1 (ko) 식품용 포장용기
JP2003191937A (ja) 食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