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592Y1 - 호스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592Y1
KR200435592Y1 KR2020060025366U KR20060025366U KR200435592Y1 KR 200435592 Y1 KR200435592 Y1 KR 200435592Y1 KR 2020060025366 U KR2020060025366 U KR 2020060025366U KR 20060025366 U KR20060025366 U KR 20060025366U KR 200435592 Y1 KR200435592 Y1 KR 200435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roller
guide device
rollers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미리
전완열
박영진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5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5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 가이드 장치로서, 호스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균일한 사잇각을 갖도록 외접하여 배치되고, 호스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롤러; 각각의 상기 롤러의 중심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롤러의 축심으로 작용하는 복수개의 회전축; 각각의 상기 회전축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편심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를 교차 삽입시켜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이음부; 상기 호스가 이동될 경로 상에 돌출되어 있는 단턱에 고정되는 롤러고정브라킷; 및 상기 롤러고정브라킷과 상기 복수개의 이음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이음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호스 가이드 장치는 이동경로의 단턱에 롤러를 장착하여 호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을 높인다.
롤러(Roller), 단턱(문턱), 호스(Hose),

Description

호스 가이드 장치{ Hose guide apparatus}
도1은 호스가 이동경로 상의 단턱에 마찰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가이드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가이드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호스 20 : 단턱
30 : 이동경로 100 : 롤러고정브라킷
110 : 볼트 120 : 지지대
130 : 요홈 200 : 모터
210 : 구동풀리 220 : 구동벨트
230 : 종속풀리 240 : 제동장치
250 : 받침대 300 : 이음부
310 : 회전력전달기구 400 : 롤러
500 : 회전축 600 : 제어부
700 : 스위치
본 고안은 호스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가 이동경로를 통해 이동 할 때 이동 경로의 단턱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호스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과, 비행기와, 건물 등 에는 사람 또는 물건을 이동 할 수 있는 이동경로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동경로의 하단에는 단턱(문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은 출입구를 봉쇄하는 문을 닫았을 경우 문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형상은 돌부 형태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호스를 작업장으로 이동 할 때 상기 호스는 상기 단턱과 마찰이 발생되어 이동에 방해를 받게 된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호스가 이동경로를 이동 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1은 호스가 이동경로 상의 단턱에 마찰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호스(10)는 상기 단턱(20)을 넘으면서 상기 단턱(20)의 제1모서리에서 제1마찰(12)이 발생되고, 단턱을 넘어서면서 상기 단턱(20)의 제2모서리에서 제2마 찰(14)이 발생된다. 또한 직경이 크거나 무게가 무겁거나 길이가 긴 상기 호스(10)는 상기 단턱(20)을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제1마찰(12)과 상기 제2마찰(14)이 더 크게 작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호스는 단턱에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됨으로써, 호스를 작업장으로 이동 할 때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마찰로 인해 호스 이동이 어려워짐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경로의 단턱에 롤러를 장착함으로써, 호스의 이동을 원활 하게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은 호스 가이드 장치로서, 호스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균일한 사잇각을 갖도록 외접하여 배치되고, 호스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롤러; 각각의 상기 롤러의 중심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롤러의 축심으로 작용하는 복수개의 회전축; 각각의 상기 회전축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편심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를 교차 삽입시켜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이음부; 상기 호스가 이동될 경로 상에 돌출되어 있는 단턱에 고정되는 롤러고정브라킷; 및 상기 롤러고정브라킷과 상기 복수개의 이음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이음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와의 연동 시 더 큰 밀착력을 발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심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오목형 롤러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고정브라킷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구동풀리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속풀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고정브라킷은 자석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롤러브라킷을 자석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턱에 탈부착이 용이 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가이드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가이드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가이드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가이드 장치의 제1실시예는 호스(10)의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400)와, 상기 롤러(400)의 중심에 각각 삽입 장착되는 복수개의 회전축(500)과, 상기 회전축(500)의 각 교차부분마다 연결되어 내각을 고정시켜 형상을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이음부(300)와, 상기 호스(10)가 이동될 경로 상에 돌출되어 있는 단턱(20)에 고정되는 롤러고정브라킷(100) 및, 상기 이음부(300)와 상기 롤러고정브라킷(10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400)는 원형 단면의 전동체로서, 상기 호스(10)의 이동 시, 상기 호스(10)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호스(10)의 지면 마찰력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에서 전후 이동되는 상기 호스(10)의 주변 상하좌우에 각각 하나씩의 롤러(400)가 접촉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데, 이러한 롤러(400)의 접촉배치 형태 및 개수는 조금씩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400)의 형상은 길이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양끝단으로 갈수록 큰 직경을 갖는 오목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롤러(400)가 상기 호스(10)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400)의 재질로 통상의 강화 고무를 사용하였으나, 이와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강화고무 대신 외피에 고무재질이 피복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 중에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롤러(400)의 외피에는 엠보싱 형상, 딤플 형상, 코로나 처리에 의해 형성된 표면 형상 등으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상기 롤러(400)와 상기 호스(10)의 밀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롤러(400)의 중심에는 각각 하나씩의 회전축(500)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회전축(500)은 상기 롤러(400)의 축회전 시 축심으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400)가 중앙에서 전후 이동하는 호스(10)의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이러한 롤러(400)에 축심으로 작용하는 상기 회전축(500) 역시 상기 호스(1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즉 정사각형 구조의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500)의 양단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 즉 상기 정사각형 구조의 배치 형태에서 각 꼭짓점 부분마다 하나씩의 이음부(3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이음부(300)는 상기 회전축(500)의 배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축(500)이 상기 롤러(400)와 함께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500)의 회전마찰을 감소시켜 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음부(300)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50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이음부(300) 내에서 상기 회전축(500)의 축단(미도시)이 접하는 부위에 별도의 베어링 수단을 내장시키는데,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별도의 베어링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 그리스와 같은 고체 윤활제를 도포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때, 상기 이음부(300)의 배치 형태 및 개수는 상기 롤러(400) 및 회전축(500)의 배치 형태 및 개수에 따라 종속되므로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이음부(300) 중에서 하부에 설치된 2 개의 이음부(300)에는 각각하나씩의 지지대(120)가 서로 나란하게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120)는 롤러고정브라킷(100)의 상부 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롤러(400)와, 상 기 회전축(500) 및 상기 이음부(300)를 견고하게 지지해준다. 이때, 상기 롤러고정브라킷(100)는 상기 호스(10)의 이동경로(30) 상에 형성된 돌출 단턱(20, 일예로서 선체 내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출입구 문턱을 들 수 있다.)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상기 롤러고정브라킷(100)는 상기 단턱(20)에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 면에 일정한 폭의 요홈(130)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요홈(130)의 폭은 상기 롤러고정브라킷(100)이 설치되어야 할 상기 단턱(20)의 두께에 대응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고정브라킷(10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상기 단턱(20)과의 끼움 고정 후 이들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볼트(110)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롤러고정브라킷(100)은 자석의 특성을 이용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단턱(20)에 탈 부착을 용이 하게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턱(20) 상에 끼움 결합된 롤러고정브라킷(100)와, 상기 롤러고정브라킷(100) 상에 설치된 지지대(120) 및 이음부(300)에 의해 축심, 즉 회전축(500)의 배치 형태가 고정된 4개의 롤러(400)에 의하여, 단턱(20)이 형성되어 있는 경로상을 이동하여야 하는 호스(10)는 상기 단턱(20)으로부터 마찰을 받지 않게 되고, 상기 롤러(400)에 접촉하여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가이드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2실시예는 앞서 도2 또는 도3에 설명된 제1실시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일치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도4 및 도5 병행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가이드 장치의 제 2 실시예는 호스(10)의 상하좌우에서 상기 호스(10)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롤러(400)에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제1실시예에 별도의 추가 구성장치를 포함시킨 형태이다. 이러한 추가 구성 장치로는, 모터(200)와, 상기 모터(200)의 출력축에 장착된 구동풀리(210)와, 상기 구동풀리(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구동되는 종속풀리(230)와, 상기 구동풀리(210)와 상기 종속풀리(230) 사이에 연결된 구동벨트(220)와, 상기 종속풀리(230)에 연결되어 회전축(500)을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회전력전달기구(310)와, 상기 모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60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700)와, 상기 모터(200)의 출력축 끝단에 장착되는 제동장치(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력전달기구(310)는 한 쌍의 베벨기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유니버설조인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실시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사용자의 스위치(700) 작동에 의해서 발생된 동작신호는 상기 제어부(600)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600)는 모터(200)를 구동시킨다.
이후, 상기 모터(2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구동풀리(210), 구동벨트(220) 및 종속풀리(230)에 의해서 큰 토크로 변환되어 롤러(400) 내에 삽입된 회전축(500) 및 베벨기어 등과 같은 회전력전달기구(240)로 전달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4개의 롤러(400)가 동시에 회전되어 중심에 내재된 호스(10)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2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유기적으로 상기 구동풀리(210)에서 상기 구동벨트(220)로 다시 상기 종속풀리(230)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베벨기어 등과 같은 회전력전달기구(310)를 통해 4개의 상기 회전축(500)으로 전달되어 4개의 상기 롤러(40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회전력전달기구(310)는 직교 배열에 대응하게 이음부(3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회전축(500)의 일측 끝단 또는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호스(10)는 상기 롤러(400)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 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벨기어를 4개의 회전축에 연결하여 4개의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전달기구(310)로 사용하였으나, 이와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종속풀리와 회전축을 직접 연결하거나, 베벨기어를 2개의 회전축에 직교하게 연결함으로써, 1개 또는 2개의 상기 롤러를 연동 시 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호스 가이드 장치는 이동경로의 단턱에 롤러를 장착함으로써, 호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한 다. 또한 호스의 이동이 원활 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호스 가이드 장치로서,
    호스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균일한 사잇각을 갖도록 외접하여 배치되고, 호스의 이동에 연동하여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롤러;
    각각의 상기 롤러의 중심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롤러의 축심으로 작용하는 복수개의 회전축;
    각각의 상기 회전축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편심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를 교차 삽입시켜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이음부;
    상기 호스가 이동될 경로 상에 돌출되어 있는 단턱에 고정되는 롤러고정브라킷; 및
    상기 롤러고정브라킷과 상기 복수개의 이음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이음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호스와의 연동 시 더 큰 밀착력을 발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심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오목형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가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고정브라킷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되는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속풀리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가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고정브라킷은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가이드 장치.
KR2020060025366U 2006-09-20 2006-09-20 호스 가이드 장치 KR200435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66U KR200435592Y1 (ko) 2006-09-20 2006-09-20 호스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66U KR200435592Y1 (ko) 2006-09-20 2006-09-20 호스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592Y1 true KR200435592Y1 (ko) 2007-02-01

Family

ID=4161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366U KR200435592Y1 (ko) 2006-09-20 2006-09-20 호스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59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13B1 (ko) 2009-01-29 2009-10-16 대한민국 산불진화호스 운반용 롤 모듈
CN104705279A (zh) * 2015-02-27 2015-06-17 陈蓝天 软管变向装置
CN107503920A (zh) * 2017-09-21 2017-12-22 合肥华运机械制造有限公司 多工位软管泵
CN107504265A (zh) * 2017-08-31 2017-12-22 安徽大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转盘式管道支架
KR20210002804U (ko) * 2020-06-08 2021-12-15 노희순 릴 장치용 케이블 가이드롤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13B1 (ko) 2009-01-29 2009-10-16 대한민국 산불진화호스 운반용 롤 모듈
CN104705279A (zh) * 2015-02-27 2015-06-17 陈蓝天 软管变向装置
CN107504265A (zh) * 2017-08-31 2017-12-22 安徽大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转盘式管道支架
CN107504265B (zh) * 2017-08-31 2019-11-05 安徽米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转盘式管道支架
CN107503920A (zh) * 2017-09-21 2017-12-22 合肥华运机械制造有限公司 多工位软管泵
CN107503920B (zh) * 2017-09-21 2024-03-22 合肥华运机械制造有限公司 多工位软管泵
KR20210002804U (ko) * 2020-06-08 2021-12-15 노희순 릴 장치용 케이블 가이드롤러
KR200494830Y1 (ko) * 2020-06-08 2022-01-04 노희순 릴 장치용 케이블 가이드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5592Y1 (ko) 호스 가이드 장치
US6517439B1 (en) U-joint construction
TWI418452B (zh) 機械手臂之腕關節結構
EP1335154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1550570A3 (de) Geteiltes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US20080190986A1 (en) Electric Nailing Mechanism
KR20110127651A (ko) 플로팅 구동 롤러를 갖는 파이프 가공 장치
EP4151380A1 (en) Two-hole-drilling core drilling machine
KR101770765B1 (ko) 굽힘각도 제어형 철근 반자동 절곡기
KR20110136209A (ko) 커팅장치
CN117794714A (zh) 两孔式取芯钻进机器
CN107971261B (zh) 清洁装置
RU2577636C2 (ru)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ое запястье робота
RU2576285C2 (ru)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ое запястье робота
EP3315376A1 (en) Screen door having strong structure against human-pressing load
WO2004024362A1 (en) Roll bending machine
US20030173820A1 (en) Power take off assembly, drive assembly and saw using power take off assembly
US20090101235A1 (en) Feeding mechanism for a woodworking machine
KR101961697B1 (ko) 동력전달 기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러닝보드 구동용 엑추에이터 유닛
WO2011132219A1 (ja) ドア開閉装置
JPS6314843Y2 (ko)
RU2378059C2 (ru) Механизм для привода ротора очистной машины
CN220242956U (zh) 移动底盘及机器人
JP3207008B2 (ja) マッサージ機
CN215344200U (zh) 一种传动装置和轴承压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