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538Y1 -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538Y1
KR200435538Y1 KR2020060027084U KR20060027084U KR200435538Y1 KR 200435538 Y1 KR200435538 Y1 KR 200435538Y1 KR 2020060027084 U KR2020060027084 U KR 2020060027084U KR 20060027084 U KR20060027084 U KR 20060027084U KR 200435538 Y1 KR200435538 Y1 KR 200435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enco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2020060027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5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6Mechanical actuating mean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개폐밸브의 개폐량을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전기 인코드를 사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통해 원격조정하도록 함으로서 원거리에서도 정확하게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램(2)과 롬(3)을 유지하는 중앙처리장치(1)에 입력장치(4)를 구비하고 중앙처리장치(1)를 통해 개폐밸브(10)를 조작하도록 하는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개폐밸브(1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디스크(10a)를 회전시키는 이송기어(11)를 구동모터(20)의 구동축에 연결하여 구성한 상태에서 이송기어(11)와 이빨물림 되는 신호전달기어(32)를 구성하고 그 외부로 부호기(31)로 구비한 다음 부호기(31)의 전파를 감지하는 충격파감지기(30)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에 연결하고 중앙처리장치(1)에 감지된 개폐밸브(10)의 상태에 따라 구동모터(20)의 회전방향을 변환하여 가동하는 이차감지기(40)를 구비하여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처리장치, 개폐밸브, 구동모터, 충격파감지기, 부호기, 이차감지기

Description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Opening and shutting valve flow control system of sewage disposal system}
도 1은 본 고안에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중앙처리장치 2: 램
3: 롬 4: 입력장치
10: 개폐밸브 10a: 디스크
11: 이송기어 20: 구동모터
30: 충격파감지기 31: 부호기
32: 신호전달기어 40: 이차감지기
본 고안은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개폐밸브의 개폐량을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전기 인코드를 사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통해 원격조정하도록 함으로서 원거리에서도 정확하게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개폐밸브는 송수관이 크고 수송되는 유량이 많아 핸들이 장착된 스크루타입의 기계식 밸브를 주로 사용되었으나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정확한 유량을 수송하기 위하여 압력차를 이용한 전기적 제어방식으로 변형됨에 따라 링크기구 혹은 전기적 브리지 회로를 활용하여 등 비율 또는 선형 유량특성이 있도록 바로잡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모터를 이용하는 밸브 자체의 설치에 따른 단순한 조절기능으로 개별 밸브의 유량조절에 국한되어 있어 시스템의 효율적 제어 및 관리를 위해서는 고가의 별개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차압측정을 위하여 밸브 몸체 혹은 밸브 전·후단의 배관 내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몸체 내에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밸브 전·후단에서의 유체 와류현상으로 정확한 유량측정이 어렵고 센서 고장이 날 경우 전문가에 의한 밸브 몸체의 분해가 요구되며, 배관 내에 센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센서설치를 위한 현장시공 및 교정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 서버모터나 스테핑모터 혹은 각종 기계적 감속장치를 활용한 밸브들이 있으나 이 또한 일반 산업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복잡하며 고가인 문제점이 있음에도 관련업체에서는 이에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개폐밸브를 구동하는 이송기어에 연결된 구동모터의 한쪽으로 부호기가 장착된 신호전달용 기어를 연결 구성하고 이차감지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개폐밸브의 개폐량을 신호전달용 기어를 통해 부호기에서 감지하도록 함으로서 각각의 개폐밸브의 유량제어능력은 물론 형장에서의 설치, 유지, 정비가 용이하고 원격제어 및 감기기능을 보유하는 단순구조의 디지털 제어방식의 구동제어장치를 개발하여 오수처리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경비절감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램(2)과 롬(3)을 유지하는 중앙처리장치(1)에 입력장치(4)를 구비하고 중앙처리장치(1)를 통해 개폐밸브(10)를 조작하도록 하는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1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디스크(10a)를 회전시키는 이송기어(11)를 구동모터(20)의 구동축에 연결하여 구성한 상태에서 이송기어(11)와 이빨물림 되는 신호전달기어(32)를 구성하고 그 외부로 부호기(31)로 구비한 다음 부호기(31)의 전파를 감지하는 충격파감지기(30)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에 연결하고 중앙처리장치(1)에 감지된 개폐밸브(10)의 상태에 따라 구동모터(20)의 회전방향을 변환하여 가동하는 이차감지기(40)를 구비하여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중앙처리장치(1)에서 오수처리장의 환경에 따라 오수의 처리량을 설정한 다음 일정한 시간 내에 오수가 송수관(50)을 통해 배수되도록 모든 상황을 판단하고 개폐밸브(10)의 개폐량을 파악하고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오수처리장의 기본적인 오수처리량을 램(2)에 설정한 상태에서 변화되는 외부의 환경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통해 입력하거나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형하여 입력하거나 또는 에러에 해안 에러 값을 입력하는 등의 각종 입력조건을 입력장치(4)를 통해 필요한 입력 값을 설정함으로써, 램(2)의 기본 값에 외부의 설정 값을 중앙처리장치(1)에서 연산한 다음 롬(3)에 새로운 오수처리량에 필요한 값을 기억시킨 상태에서 이차감지기(40)를 통해 구동모터(20)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개폐밸브(10)를 통해 이송되어야 하는 설정된 오수의 이송량이 이송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20)의 회전량을 설정하여 구동하도록 한다.
이때, 중앙처리 장치(1)를 통해 감지되어 파악된 오수의 공급량에 따라 설정된 값을 이차감지기(40)의 정회전(FW-forward)과 역회전(RW-rewind)을 전력파워모듈(SSR-solid state relay)을 통해 구동모터(20)의 구동방향과 구동량을 결정한 상태에서 구동모터(20)를 구동하여 이송기어(11)를 통해 개폐밸브(10)의 개폐량이 결정되므로 실제로 개폐되는 개폐밸브(10)의 개폐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개폐량을 측정할 있도록 구동모터(20)의 구동축에 장착된 이송기어(11)에 이빨물림 되는 피치원 지름과 이수가 동일한 신호전달기어(32)를 구비하고 그 외부로 부호기(31)를 구비함으로써, 신호전달기어(32)의 회전량을 부호기(31)로 정확히 측정하여 그 측정값의 전파를 충격파감지기(30)를 통해 감지하여 그 값을 중앙처리장치(1)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이송기어(11)와 신호전달기어(32)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구동모터(20)에 의해 전달됨에 따라 이송기어(11)와 신호전달기어(32)에 전달되는 회전량이 동일 하게 되므로 구동모터(20)로 인해 개폐밸브(10)에 전달되는 회전량을 신호전달기어(32)를 통해 부호기(31)에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개폐밸브(10)에 가해지는 회전량을 직접 측정한 결과와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개폐밸브(10)의 개폐량을 외부에서도 정확하게 측정하여 송수관(50)으로 이송되는 오수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감지장치의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정비에 따른 유지 관리비의 비용을 대폭 축소할 수 있어 모든 장비들의 디지털화에 따른 개선비용 및 개선효율이 증가 되어 오수처리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경비절감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해 개폐밸브에 전달되는 회전량을 개폐밸브의 외부에서 동일한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각각의 개폐밸브의 유량제어능력은 물론 형장에서의 설치, 유지, 정비가 용이하고 원격제어 및 감기기능을 보유하는 단순구조의 디지털 제어방식의 구동제어장치를 개발하여 오수처리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경비절감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오수처리장뿐만 아니라 유체를 이송하는 모든 산업현장에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는 그 기대되는 바가 매우 큰 고안이다.

Claims (1)

  1. 램(2)과 롬(3)을 유지하는 중앙처리장치(1)에 입력장치(4)를 구비하고 중앙처리장치(1)를 통해 개폐밸브(10)를 조작하도록 하는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개폐밸브(1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디스크(10a)를 회전시키는 이송기어(11)를 구동모터(20)의 구동축에 연결하여 구성한 상태에서 이송기어(11)와 이빨물림 되는 신호전달기어(32)를 구성하고 그 외부로 부호기(31)로 구비한 다음 부호기(31)의 전파를 감지하는 충격파감지기(30)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에 연결하고 중앙처리장치(1)에 감지된 개폐밸브(10)의 상태에 따라 구동모터(20)의 회전방향을 변환하여 가동하는 이차감지기(40)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KR2020060027084U 2006-09-29 2006-09-29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KR200435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84U KR200435538Y1 (ko) 2006-09-29 2006-09-29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84U KR200435538Y1 (ko) 2006-09-29 2006-09-29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538Y1 true KR200435538Y1 (ko) 2007-01-29

Family

ID=4161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084U KR200435538Y1 (ko) 2006-09-29 2006-09-29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5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86A1 (ko) * 2016-07-13 2018-01-1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786A1 (ko) * 2016-07-13 2018-01-1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07479A (ko) * 2016-07-13 2018-01-2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N109475796A (zh) * 2016-07-13 2019-03-15 豪威株式会社 净水器
US10874986B2 (en) 2016-07-13 2020-12-29 Coway Co., Ltd Water purifier
CN109475796B (zh) * 2016-07-13 2021-05-07 豪威株式会社 净水器
KR102520775B1 (ko) 2016-07-13 2023-04-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600B1 (ko) 유량검출기능을 내장한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2843209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evel loop control
EP2020001B1 (en) Dedicated process diagnostic device
CA3027378C (en) Water meter with magnetically driven flow restriction valve
CN101657701B (zh) 阀泄漏量诊断法
JP4118702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型バルブアクチュエータ
JP2016099879A (ja) 制御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527407A (ja) 弁アクチュエータ
KR200435538Y1 (ko) 오수처리장치의 개폐밸브용 유량조절장치
WO2015154135A1 (en) 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flow
KR101589127B1 (ko) 체크밸브 개폐특성 모니터링 및 진단을 수행하는 장치
KR20220011545A (ko)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8055289A (ja) 水処理プラントの運転支援システム
JP3584222B2 (ja) バルブの漏洩検知方法及び装置
KR100907502B1 (ko) 맨홀의 수위 및 유량 감지 장치
KR101320609B1 (ko) 제수변 원격제어장치
JP2004257419A (ja) 自己診断機能を持つバルブアクチュエータ
JP5974270B2 (ja) 給湯装置
KR101821999B1 (ko) 비례제어밸브를 활용한 수처리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68240B1 (ko) 데이터 서버 기능을 탑재한 통신형 액추에이터
US20220307656A1 (en) Valve control system and valve control method
JP2538270B2 (ja) 弁駆動用アクチュエ−タ制御システム
JP2007298255A (ja) ガス遮断装置
JP2572967B2 (ja) 電子制御装置内蔵弁駆動用電動アクチユエ−タ
JP4144482B2 (ja) ガス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