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384Y1 -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384Y1
KR200435384Y1 KR2020060021566U KR20060021566U KR200435384Y1 KR 200435384 Y1 KR200435384 Y1 KR 200435384Y1 KR 2020060021566 U KR2020060021566 U KR 2020060021566U KR 20060021566 U KR20060021566 U KR 20060021566U KR 200435384 Y1 KR200435384 Y1 KR 200435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ight eye
left eye
image sensor
stereo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호
김학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텍
Priority to KR2020060021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3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02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optical-mechanical means only
    • H04N3/0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optical-mechanical means only having a moving lens or other refr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좌안으로 입사되는 광을 처리하는 좌안용 렌즈와, 우안으로 입사되는 광을 처리하는 우안용 렌즈와, 좌안용 렌즈 및 우안용 렌즈로부터 출사되는 광으로부터 적외선 영역을 제거하는 IR(Infra Red) 필름과, 좌안용 렌즈를 투과한 후 IR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복수 개의 열(column)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열 영역을 교번적으로 투과 및 차단하는 좌안용 배리어 필름과, 우안용 렌즈를 투과한 후 상기 IR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복수 개의 열(column)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열 영역을 교번적으로 투과 및 차단하는 우안용 배리어 필름과, 좌안용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을 투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과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에서 각각 투과되는 영역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가 제시된다.
스테레오 카메라

Description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WITH ONE IMAGE SENSOR}
도 1은 종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사용되는 종래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
도 4는 좌안용 배리어 필름 및 우안용 배리어 필름의 일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
***** 도면의 주요 기호에 대한 설명 *****
11: 좌안용 렌즈 12: 우안용 렌즈
20: IR 필름 31, 32: 배리어 필름
41, 42: 편광 필름 51, 52: 반사판
61, 62: IR 및 배리어 필름 71, 72: 배리어 및 편광 필름
80: 프리즘
본 고안은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카메라 렌즈와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갖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특수한 안경 없이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과 렌티큘라 렌즈 방식을 들 수 있다. 이 중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1), 표시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2) 및 액정 패널(2)의 관찰자측에 배치되는 패럴랙스 배리어(3)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패럴랙스 배리어(3)는 유리 혹은 투명 수지 등의 기판(31) 위로 다수의 스트라이프 모양의 차광 박막(32)을 형성하는 것이다. 액정 패널(2)은 유리 기판(22)과 유리 기판(24) 사이에 액정층(23)이 설치되고, 또한 광출신측의 유리기판(22)에는 편광판(21)이 광입사측의 유리기판(24)에는 입사측 편광판(25)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액정 패널(2)의 액정층(23)에 우(右)안용 화상과 좌(左)안용 화상이 1열씩 걸러서 구비된다. 백라이트(1)로부터 투사된 광은 패럴랙스 배리어(3)에 의해 분리되어, 관찰자의 좌안(10L)에는 좌안용 영상만이 인식되고, 우안(10R)에는 우안용 영상만이 인식되도록 하여 입체 영상을 인식한다.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사용되는 종래 입체 영상은 도 2와 같은 방식으로 저장된다. 좌측 영상을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한 후,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영상이 삽입될 부분을 제거하는 이미지 처리를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우측 영상을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한 후,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영상이 삽입될 부분을 제거한다. 도 2 (a) 및 도 2 (b)의 좌우측 영상을 합성하면, 도 2 (c)의 입체 영상이 생성된다.
상기와 같은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입체 영상을 촬영할 좌측 및 우측 카메라 모듈이 필요하며, 좌측 및 우측의 듀얼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두 개의 이미지 센서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두 개의 카메라 렌즈에 두 개의 이미지 센서를 적용하는 방식은 카메라 모듈의 부피가 커지고, 비용이 증가되어 스테레오 카메라를 보급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두 개의 카메라 렌즈에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갖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좌안으로 입사되는 광을 처리하는 좌안용 렌즈와, 우안으로 입사되는 광을 처리하는 우안용 렌즈와, 상기 좌안용 렌즈 및 상기 우안용 렌즈로부터 출사되는 광으로부터 적외선 영역을 제거하는 IR(Infra Red) 필름과, 상기 좌안용 렌즈를 투과한 후 상기 IR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복수 개의 열(column)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열 영역을 교번적으로 투과 및 차단하는 좌안용 배리어 필름과, 상기 우안용 렌즈를 투과한 후 상기 IR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복수 개의 열(column)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열 영역을 교번적으로 투과 및 차단하는 우안용 배리어 필름과,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을 투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과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에서 각각 투과되는 영역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가 제시된다.
본 고안의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용 배리어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좌안용 편광필름 및 우안용 배리어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우안용 편광필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좌안용 편광 필름의 편광축과 상기 우안용 편광축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안용 편광축을 통과한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좌안용 편광축을 통과한 광은 투과시키는 복수 개의 우안용 반사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좌안용 렌즈의 수직 방향의 아래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IR(Infra Red) 필름과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이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IR(Infra Red) 필름과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이 하 나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좌안용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상기 우안용 편광필름의 편광축이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고체 촬상 소자(Charge Coupled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안용 배리어 필름과 이미지 센서 사이 및 우안용 배리어 필름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복수 개 프리즘을 더 구비하며, 프리즘을 갖는 구성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는 좌안용 렌즈와 우안용 렌즈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하우징(100) 내에 좌안용 렌즈(11), 우안용 렌즈(12), 두 매의 IR(Infra Red) 필름(20), 좌안용 배리어 필름(31), 우안용 배리어 필름(32), 좌안용 편광 필름(41), 우안용 편광 필름(42), 우안용 반사판(51, 52) 및 이미지 센서(60)를 구비한다.
좌안용 렌즈(11)와 우안용 렌즈(12)는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렌즈부로서 촛점 거리가 변하지 않는 고정 촛점 렌즈 또는 촛점 거리를 임의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촛점 렌즈로 구비한다. 두 매의 IR 필름(20)은 좌안용 렌 즈(11) 및 우안용 렌즈(12)로부터 입사되는 광에서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이다.
좌안용 배리어 필름(31) 및 우안용 배리어 필름(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합성시 좌안의 영상만을 통과하기 위한 필름 및 합성시 우안의 영상만을 통과하기 위한 필름이다. 도 4에서 빗금친 부분은 광이 차단되는 부분이며, 나머지 부분이 광이 투과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좌안용 배리어 필름(31)을 통해서 좌안용 영상만이 투과되며, 우안용 배리어 필름(32)을 통해서 우안용 영상만이 투과한다.
좌안용 편광 필름(41)은 좌안용 배리어 필름(31)을 투과한 광을 편광시키기 위한 필름이며, 우안용 편광 필름(42)은 우안용 배리어 필름(32)을 투과한 광을 편광시키기 위한 필름이다. 이때 좌안용 편광 필름(41)과 우안용 편광 필름(42)의 편광축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좌안용 편광 필름(41)이 "S파"만을 통과시키는 편광 필름으로 형성할 경우, 우안용 편광 필름(42)은 좌안용 편광 필름(41)과는 직교하는 방향인 "P파"만을 통과시키는 편광 필름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안용 반사판(51, 52)은 우안용 편광 필름(42)을 투과한 빛만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광은 투과시키는 반사판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안용 반사판(52)의 상부에서 입사되는 좌안용 투사광은 반사되지 않고 투과시키게 된다.
이미지 센서(60)는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고체촬상소자(120,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센서를 의미 한다.
이하, 도 3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좌안용 렌즈(11)로 입사된 광은 IR 필름(20)에 의해 적외선 영역이 제거된 후, 좌안용 배리어 패널(31)로 입사된다. 좌안용 배리어 패널(31)은 좌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영상은 차단하게 된다. 좌안용 배리어 패널(31)을 통과한 광은 좌안용 편광 필름(41)으로 입사된다. 좌안용 편광 필름(41)은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키게 된다. 편광된 좌안용 입사 광은 우안용 반사판(52)을 그대로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60)에서 도달하게 된다.
한편 우안용 렌즈(12)로 입사된 광은 IR 필름(20)에 의해 적외선 영역이 제거된 후, 우안용 배리어 패널(32)로 입사된다. 우안용 배리어 패널(32)은 우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영상은 차단하게 된다. 우안용 배리어 패널(32)을 통과한 광은 우안용 편광 필름(42)으로 입사된다. 우안용 편광 필름(42)은 입사되는 광을 좌안용 편광 필름(41)에서 편광되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편광시킨다. 편광된 우안용 입사 광은 우안용 반사판(51, 52)에서 반사된 후, 이미지 센서(60)에서 도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용 광 및 우안용 광은 동시에 이미지 센서(60)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부가 회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두 개의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하나의 이미지 센서(60)로 촬영하여 입체 영상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이다. 도 5에 도 시된 스테레오 카메라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와 적외선 차단 기능과 배리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IR 및 배리어 필름(61, 62)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필름는 전체 영역을 복수 개 작은 열(column)로 구분하고, 구분된 열(column)을 번갈아 가면서 광을 차폐시키는 차폐 영역과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으로 형성하는 필터이다. 따라서 종래 IR 필름을 복수 개 작열 열로 구분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차폐 영역과 IR 필름 영역으로 변형하여 IR 및 배리어 필름(61, 62)를 형성하는 것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는 용이하게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도면상으로는 IR 및 배리어 필름(61, 62)이 마치 2개의 필터로 구분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도시일 뿐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기능성 필름으로 제공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와의 차이점은 배리어 기능과 편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배리어 및 편광 필름(71, 72)를 사용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필름는 전체 영역을 복수 개 작은 열(column)로 구분하고, 구분된 열(column)을 번갈아 가면서 광을 차폐시키는 차폐 영역과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으로 형성하는 필터이다. 따라서 종래 편광 필름를 복수 개 작열 열로 구분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차폐 영역과 편광 필름 영역으로 변형하여 배리어 및 편광 필름(71, 72)를 형성하는 것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는 용이하게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도면상으로는 배리어 및 편광 필름(71, 72)가 마치 두 개의 필름 으로 구분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도시일 뿐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기능성 필름으로 제공된다.
편광 필름(polarizer film) 또는 편광 필터(polarizer filter)는 빛의 진동 방향이 진행방향과 수직인 점을 이용하여 빛의 진동 방향 중에서 일정 각도로 입사되는 광만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차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 또는 필터이다. 편광필름은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고분자 편광 매질을 중심으로 지지체 TAC(Tri-acetyl-cellulose)를 편광 매질의 양쪽에 사용한다. 편광필름은 모든 각도의 진동방향을 갖는 입사광 중에서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적당한 매질을 이용하여 흡수 또는 반사하여 특정한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하우징(100) 내에 좌안용 렌즈(11), 우안용 렌즈(12), 두 매의 IR(Infra Red) 필름(20), 좌안용 배리어 필름(31), 우안용 배리어 필름(32), 복수 개의 프리즘(80) 및 이미지 센서(60)를 구비한다.
좌안용 렌즈(11)와 우안용 렌즈(12)는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렌즈부로서 촛점 거리가 변하지 않는 고정 촛점 렌즈 또는 촛점 거리를 임의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촛점 렌즈로 구비한다. 두 매의 IR 필름(20)은 좌안용 렌즈(11) 및 우안용 렌즈(12)로부터 입사되는 광에서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이다.
좌안용 배리어 필름(31) 및 우안용 배리어 필름(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합성시 좌안의 영상만을 통과하기 위한 필름 및 합성시 우안의 영상만을 통과하기 위한 필름이다. 도 4에서 빗금친 부분은 광이 차단되는 부분이며, 나머지 부분이 광이 투과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좌안용 배리어 필름(31)을 통해서 좌안용 영상만이 투과되며, 우안용 배리어 필름(32)을 통해서 우안용 영상만이 투과한다.
복수 개 프리즘(80)은 입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렌즈의 일종이다. 좌안용 렌즈(11)를 통해 입사된 광은 이미지 센서(60)의 좌측에 촛점이 위치하므로 이를 우쪽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동일하게 우안용 렌즈(12)를 통해 입사된 광은 이미지 센서(60)의 우측에 촛점이 위치하므로 이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촛점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프리즘을 사용하였다.
이미지 센서(60)는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고체촬상소자(120,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이하, 도 7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좌안용 렌즈(11)로 입사된 광은 IR 필름(20)에 의해 적외선 영역이 제거된 후, 좌안용 배리어 패널(31)로 입사된다. 좌안용 배리어 패널(31)은 좌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영상은 차단하게 된다. 좌안용 배리어 패널(31)을 통과한 광은 프리즘(80)을 통과한 후 이미지 센서(60)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우안용 렌즈(12)로 입사된 광은 IR 필름(20)에 의해 적외선 영역이 제거된 후, 우안용 배리어 패널(32)로 입사된다. 우안용 배리어 패널(32)은 우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영상은 차단하게 된다. 우안용 배리어 패널(32)을 통과한 광은 프리즘(80)을 통과한 후 이미지 센서(60)에 도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용 광 및 우안용 광은 동시에 이미지 센서(60)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부가 회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두 개의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하나의 이미지 센서(60)로 촬영하여 입체 영상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스테레오 카메라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테레오 카메라와 적외선 차단 기능과 배리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IR 및 배리어 필름(61, 62)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필름는 전체 영역을 복수 개 작은 열(column)로 구분하고, 구분된 열(column)을 번갈아 가면서 광을 차폐시키는 차폐 영역과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으로 형성하는 필터이다. 따라서 종래 IR 필름을 복수 개 작열 열로 구분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차폐 영역과 IR 필름 영역으로 변형하여 IR 및 배리어 필름(61, 62)를 형성하는 것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는 용이하게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도면상으로는 IR 및 배리어 필름(61, 62)가 마치 두 개의 필름으로 구분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도시일 뿐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기능성 필름으로 제공된다.
본 고안의 듀얼 카메라는 좌측 및 우측에서 입사되는 광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 가능하므로 듀얼 카메라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1)

  1.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좌안으로 입사되는 광을 처리하는 좌안용 렌즈;
    우안으로 입사되는 광을 처리하는 우안용 렌즈;
    상기 좌안용 렌즈 및 상기 우안용 렌즈로부터 출사되는 광으로부터 적외선 영역을 제거하는 IR(Infra Red) 필름;
    상기 좌안용 렌즈를 투과한 후 상기 IR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복수 개의 열(column)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열 영역을 교번적으로 투과 및 차단하는 좌안용 배리어 필름;
    상기 우안용 렌즈를 투과한 후 상기 IR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복수 개의 열(column)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열 영역을 교번적으로 투과 및 차단하는 우안용 배리어 필름;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 및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을 투과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과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에서 각각 투과되는 영역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좌안용 편광필름 및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우안용 편광필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좌안용 편광 필름의 편광축과 상기 우안용 편광필름의 편광축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용 편광필름의 편광축을 통과한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좌안용 편광필름의 편광축을 통과한 광은 투과시키는 복수 개의 우안용 반사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좌안용 렌즈의 수직 방향의 아래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R(Infra Red) 필름과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이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IR(Infra Red) 필름과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이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편광필름의 편광축과 상기 우안용 편광필름의 편광축이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고체 촬상 소자(Charge Coupled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과 이미지 센서 사이 및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복수 개 프리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좌안용 렌즈와 우안용 렌즈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IR(Infra Red) 필름과 상기 좌안용 배리어 필름이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IR(Infra Red) 필름과 상기 우안용 배리어 필름이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네 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KR2020060021566U 2006-08-11 2006-08-11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KR200435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66U KR200435384Y1 (ko) 2006-08-11 2006-08-11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66U KR200435384Y1 (ko) 2006-08-11 2006-08-11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384Y1 true KR200435384Y1 (ko) 2007-01-19

Family

ID=4156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566U KR200435384Y1 (ko) 2006-08-11 2006-08-11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3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098B1 (ko) * 2006-03-09 2007-10-01 (주)실리콘화일 3차원 영상 획득용 씨모스 스테레오 카메라
KR20120011618A (ko) * 2010-07-29 2012-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가 구비된 3차원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촬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098B1 (ko) * 2006-03-09 2007-10-01 (주)실리콘화일 3차원 영상 획득용 씨모스 스테레오 카메라
KR20120011618A (ko) * 2010-07-29 2012-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가 구비된 3차원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촬상방법
KR101661661B1 (ko) * 2010-07-29 2016-09-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가 구비된 3차원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영상 촬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0355B2 (ja) メガネなし表示システム
US20160077351A1 (en) Optical system, optical member, micro-mirror array, display device, and image pickup device
US20110242287A1 (en) Stereoscopic Objective
JP2018527829A (ja) 光学基板を有するマルチ開口撮像装置
JP2010243543A (ja) プロジェクター
JP5581782B2 (ja) 撮像装置
WO2017117973A1 (zh) 一种3d显示面板、显示装置
US8279269B2 (en) Mobile information kiosk with a three-dimensional imaging effect
US5694164A (en) Three-dimensional picture projecting device
TWI566577B (zh) 立體投影裝置
KR200435384Y1 (ko)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
JP2011215545A (ja) 視差画像取得装置
JP2012123098A (ja) 立体映像撮影アダプタ及び撮像装置
KR101826749B1 (ko) 카메라
KR101169064B1 (ko) 입체 동영상 촬영장치
KR20000008389A (ko) 입체 영상 프로젝터
US9807370B2 (en) Compact stereoscopic picture taking system
KR100851576B1 (ko) 3안 광학장치
JP3035129B2 (ja) ステレオ光学装置
JPH10150676A (ja) 画像表示装置
JP2999953B2 (ja) 偏光眼鏡を用いた立体映像表示装置
KR101790168B1 (ko) 포물경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161904A (ja) 光学素子、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KR101654686B1 (ko) 오목 거울을 이용한 영상 정보 획득 장치
KR0153171B1 (ko) 입체 프로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