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883Y1 -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883Y1
KR200433883Y1 KR2020060026142U KR20060026142U KR200433883Y1 KR 200433883 Y1 KR200433883 Y1 KR 200433883Y1 KR 2020060026142 U KR2020060026142 U KR 2020060026142U KR 20060026142 U KR20060026142 U KR 20060026142U KR 200433883 Y1 KR200433883 Y1 KR 200433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wall panel
prefabricated partition
finis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Original Assignee
박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철 filed Critical 박상철
Priority to KR2020060026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8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지지 고정할 수 있어서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칸막이 벽체패널이 변형되거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축물 벽체와의 마감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 및 길이 방향에 대해 마주하는 양단부 내측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홈에 대해 끼워지는 끼움 돌기가 배열된 한 쌍의 마감판;으로 구비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제공한다.
칸막이 벽체패널, 홈, 끼움 돌기, 걸림턱, 지지대, 석고보드, 유리섬유

Description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FINISHING MATERIAL FOR PARTITION PANEL}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홈
12a: 걸림턱 20: 마감판
22: 끼움 돌기 22a: 절개부
30: 칸막이 벽체패널 32: 판재
34: 석고보드 36: 유리섬유
40: 지지대 50: 나사
100a, 100b, 100c: 마감재 200: 벽체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지지 고정할 수 있어서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칸막이 벽체패널이 변형되거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축물 벽체와의 마감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를 구획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은 한 쌍의 판재 사이에 단열보온재 또는 방음부재를 충진시킨 후, 판재의 양단단을 천정재와 바닥재에 양측단이 고정된 금속 재질의 지지부로 마감 처리한 것으 로, 칸막이 벽체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칸막이 벽체패널을 천정재 또는 바닥재에 고정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런너를 만들고 그 표면에 페인트로 마감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을 시공하게 되면 건축물의 벽체에 맞닿는 부분의 마감처리가 쉽지 않아 일선에서는 통상 "ㄷ"자 형상을 갖는 마감재를 마감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에 부착한 후 이 마감재 내에 칸막이 벽체패널의 일부를 끼워넣는 것으로 시공을 마무리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을 시공하게 되면 건축물의 벽체와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맞닿는 면이 완전 밀착되지 않고 틈새가 생기므로 이웃하는 실과 실 사이의 방음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이 벽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외력에 대항하는 지지구조가 약하여 칸막이 벽체패널이 변형되거나 심할 경우 쓰러져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 벽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지지 고정할 수 있어서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건축물 벽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지지 고정할 수 있어서 외력에 의해 칸막이 벽체패널이 변형되거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 벽체와의 마감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조립 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 및 길이 방향에 대해 마주하는 양단부 내측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홈에 대해 끼워지는 끼움 돌기가 배열된 한 쌍의 마감판;으로 구비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홈은 입구 측에 마주하며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홈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마감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 수개가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100a)는 본체(10)와 한 쌍의 마감판(2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판상으로 구성되고,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도록 홈(12)이 형성된다.
이때, 홈(12)은 하기에 서술하는 끼움 돌기(22)가 홈(12)에 장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 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걸림턱(12a)이 형성된다.
마감판(20)은 전술한 본체(10)의 양측에 배치되는데, 마감판(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마주하는 양단부 내측에 직각 방향으로 끼움 돌기(2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끼움 돌기(22)가 본체(10)의 홈(12)에 끼워져 고정 장착된다.
여기서 끼움 돌기(22)는 홈(12)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홈(12)의 입구 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걸림턱(12a)이 형성되게 되므로 끼움 돌기(22)는 걸림턱(12a)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즉 홈(12)에 끼움 돌기(22)를 삽입할 때 끼움 돌기(22)가 걸림턱(12a)을 지나는 부분이 라운드지도록 구성된다.
도 4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100b)는 마감판(20)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끼움 돌기(22)가 제1 실시예에 나타난 끼움 돌기(22)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본체(10)의 홈(12)은 끼움 돌기(22)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끼움 돌기(22)는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화살표 형상을 갖게 되는데 화살촉 부분의 중앙측에 절개부(22a)가 형성되어 본체(10)의 홈(12)에 마주하며 형성된 걸림턱(12a)을 통하여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100c)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100a)와 유사하게 형성되나 마감판(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끼움 돌기(22)가 마감판(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 수개로 배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끼움 돌기(22)가 다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본 고안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벽체패널(30)은 한 쌍의 판재(32)가 외곽에 배치되게 되는데, 판재(32)의 양단은 절곡되어 형성된다.
판재(32)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는 불연 재질의 패널, 예를 들어 석고보드(34)가 배치되게 되고, 그 내부에는 마찬가지로 불연 재질의 물질, 예를 들어 유리섬유(36)가 마련되게 된다.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시공하는 경우 먼저 조립 시공하고자 하는 칸막이 벽체패널(30)의 폭 넓이마다 지지대(40)를 세워 고정하게 되고, 이렇게 고정 된 지지대(40)의 일면에 하나의 판재(32)의 절곡된 부분과 다른 하나의 판재의 절곡된 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지지대(40)에 나사(50)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판재(32)의 내측에는 석고보드(34)가 배치되고, 지지대(40)의 반대면에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판재(32)를 고정한 후 그 사이에 유리섬유(36)를 채워넣게 된다.
이렇게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벽체(200)까지 오게 되면 칸막이 벽체패널(30)이 벽체(200)에 닿는 부분에 먼저 본체(10)를 고정 배치하게 된다.
이때, 본체(10)는 나사(50)에 의해 벽체(20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본딩 처리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0)에 칸막이 벽체패널(30)의 최말단에 배치된 지지대(40)가 닿도록 하여 고정한 후 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12)에 마감판(20)을 각각 억지끼움하여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의 시공이 마무리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조립하여 벽체(200)를 구성하는 경우 전술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벽체패널(30)과 벽체(200)와의 거리가 좁아서 하나의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시공할 수 없을 때에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일정 길이로 잘라서 써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사용하고자 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벽체(200)에 고정할 때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절단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을 벽체(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100a)보다 본체(10)의 폭을 더 넓게 구성함으로써 마감재(100a) 내에 벽체패널(30)의 외곽을 구성하는 판재(32)와 판재(32)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절단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의 내부에는 지지대(40)가 삽입되고, 판재(32)의 외면으로부터 지지대(40)를 관통하도록 나사(50)를 장착하여 벽체패널(30)을 지지대(40)에 고정한 후 벽체(200)에 고정된 본체(10)에 지지대(40)를 고정하고 마감판(20)을 본체(10)의 홈(12)에 끼워 마무리하면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의 시공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조립하여 벽체(200) 근처에 오게 되면 마감재(100a, 100b, 100c)의 본체(10)를 벽체(200)에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칸막이를 시공하고자 하는 곳에 미리 본체(10)를 고정킨 후 칸막이 시공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벽체(200)에 마감재(100a, 100b, 100c)의 본체(10)를 고정한 후 칸막이 벽체패널(30)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대(40)를 본체(10)에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체(10)에 지지대(40)를 먼저 고정한 후 칸막이 벽체패널(30)을 지지대(40)에 고정하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의 폭이 두꺼운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고자 과장하여 두껍게 도시한 것일 뿐 실제로는 얇은 폭으로 제작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에 의하면, 건축물 벽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지지 고정할 수 있어서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외력에 의해 칸막이 벽체패널이 변형되거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건축물 벽체와의 마감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대칭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 및
    길이 방향에 대해 마주하는 양단부 내측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홈에 대해 끼워지는 끼움 돌기가 배열된 한 쌍의 마감판;으로 구비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입구 측에 마주하며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홈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마감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 수개가 배열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KR2020060026142U 2006-09-27 2006-09-27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KR200433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42U KR200433883Y1 (ko) 2006-09-27 2006-09-27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42U KR200433883Y1 (ko) 2006-09-27 2006-09-27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063A Division KR20070072097A (ko) 2005-12-30 2005-12-30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883Y1 true KR200433883Y1 (ko) 2006-12-13

Family

ID=4178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42U KR200433883Y1 (ko) 2006-09-27 2006-09-27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88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05Y1 (ko) 2009-10-29 2012-07-04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KR101284524B1 (ko) 2013-04-04 2013-07-16 윤종희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KR101311068B1 (ko) 2012-04-19 2013-09-24 주식회사 서린 칸막이 벽체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칸막이 벽체 어셈블리
KR101648766B1 (ko) * 2015-04-30 2016-08-3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마감부 형성이 가능한 건축용 3차원 프린터의 노즐
KR20190055930A (ko) * 2017-11-16 2019-05-24 서원봉 유로폼
KR102098796B1 (ko) * 2019-08-30 2020-04-08 신현호 도어와 포스트를 가지는 화장실의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05Y1 (ko) 2009-10-29 2012-07-04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KR101311068B1 (ko) 2012-04-19 2013-09-24 주식회사 서린 칸막이 벽체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칸막이 벽체 어셈블리
KR101284524B1 (ko) 2013-04-04 2013-07-16 윤종희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KR101648766B1 (ko) * 2015-04-30 2016-08-3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마감부 형성이 가능한 건축용 3차원 프린터의 노즐
KR20190055930A (ko) * 2017-11-16 2019-05-24 서원봉 유로폼
KR102030249B1 (ko) * 2017-11-16 2019-11-29 서원봉 유로폼
KR102098796B1 (ko) * 2019-08-30 2020-04-08 신현호 도어와 포스트를 가지는 화장실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2097A (ko)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KR200433883Y1 (ko)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JP6336682B2 (ja) 壁構造物用建築ブロック
EP2898157B1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US10508433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729968B1 (ko) 조립식 건축자재용 샌드위치패널
KR102159837B1 (ko)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
KR200397821Y1 (ko) 샌드위치 패널
EP3194678B9 (en) Board mounting structure for building a corner element defining a corner
KR20200102211A (ko) 칸막이 연결구조
KR100889360B1 (ko) 커튼 월의 3차원 조립식 연결재의 시공방법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KR100460628B1 (ko) 내차판넬
JP2008223232A (ja) 仕切板および間仕切壁
KR200389820Y1 (ko) 건축용 내벽체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KR200319622Y1 (ko) 탄성 협지구를 갖는 파티션 본체지지부재
KR102102469B1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20050046026A (ko) 건축물의 경량 벽체 내화 구조
JP2006028835A (ja) ユニットルームの壁パネル、その接続構造及び接続材
KR200298613Y1 (ko) 목조 판넬의 조립구조
KR200261752Y1 (ko) 내차판넬
JP3206684U (ja) プレハブ式の壁組立セット
KR200378475Y1 (ko) 조립식 벽체의 벽면 고정장치
KR200254658Y1 (ko) 칸막이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