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658Y1 - 칸막이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칸막이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658Y1
KR200254658Y1 KR2020010024293U KR20010024293U KR200254658Y1 KR 200254658 Y1 KR200254658 Y1 KR 200254658Y1 KR 2020010024293 U KR2020010024293 U KR 2020010024293U KR 20010024293 U KR20010024293 U KR 20010024293U KR 200254658 Y1 KR200254658 Y1 KR 200254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oupling
fixing
connect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존일
김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Priority to KR2020010024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658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수단과 연결수단을 갖는 칸막이 연결부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칸막이 연결부재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고, 칸막이의 위치를 잡아주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수단 외에 견고한 체결력을 갖는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칸막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돌기가 형성된 몸체가 칸막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의 타측에 요홈이 형성된 몸체가 설치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견고한 결합력과 고정력이 있으므로, 시공작업 도중 부주의로 인하여 칸막이의 연결상태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칸막이와 칸막이가 연결되는 단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마감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미관이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칸막이의 고정력과 결합력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등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칸막이 연결부재{Paritioning Commection Material}
본 고안은 칸막이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수단과 연결수단을 갖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를 구획하는 칸막이는 구획하고자 하는 공간 위에 다수개의칸막이를 연결부재로 연결시켜 시공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벽체를 시공하는 것보다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해체가 용이하여 대다수의 사무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칸막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의 형태는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나, 그 구성은 고정돌기와 요홈이 각각 형성된 몸체 한 쌍이 서로 다른 칸막이의 선단에 설치되어 결합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와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칸막이를 시공한 예를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하였다.
즉, 연결부재(100)는 고정돌기(102)가 형성된 몸체(101)와 요홈(104)이 형성된 몸체(103)로 되며, 칸막이(106)는 한 쌍의 패널(107) 내부에 방음, 단열 등의 기능이 우수한 유리면, 암면, 스티로폼 등으로 된 충진재(108)가 채워진 것이다.
이러한 칸막이(106)의 일측 선단에 고정돌기(102)가 형성된 몸체(101)를 설치하고, 타측 선단에 요홈(104)이 형성된 몸체(103)를 설치하여 각 칸막이(106)가 서로 연결되도록 시공하는데, 그 방법은 칸막이(106)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돌기(102)를 다른 칸막이(109)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요홈(104)에 삽입시키고, 상기 칸막이(106)의 타측에 설치된 고정요홈(104)에는 또 다른 칸막이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돌기(102)를 삽입시키며, 상기 칸막이(106)와 칸막이(109)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미관을 위하여 석고보드, 무기섬유보드 등 각종 판재류로 된 마감재(105)를 설치하여 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부재(100)는 두 개의 몸체(101,103), 즉 고정돌기(102)가 형성된 몸체(101)와 고정요홈(104)이 형성된 몸체(103)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많아 관리가 어렵고 제품의 제조비용이 비싸며, 칸막이(106)를 시공할 때 상기 고정돌기(102)와 고정요홈(104)은 서로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칸막이(106)의 위치를 잡아주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어서, 시공과정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고정돌기(102)가 고정요홈(104)에서 빠져 나와 연결상태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칸막이 연결부재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고, 칸막이의 위치를 잡아주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수단 외에 견고한 체결력을 갖는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칸막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칸막이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칸막이 연결부재로 칸막이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칸막이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칸막이 연결부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칸막이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부재 11 : 몸체 12 : 결합돌기
13 : 단턱 14 : 고정돌기 15 : 결합홈
16 : 결합턱 17 : 요홈 18 : 개구부
19 : 마감재 20 : 칸막이 21 : 패널
22 : 충진재
이러한 본 고안은 결합돌기가 형성된 몸체가 칸막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의 타측에 요홈이 형성된 몸체가 설치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연결부재의 부품이 하나가되어 제조비용이 저렴해지고 칸막이를 연결시키면 인위적으로 분리시키지 않는 한 연결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칸막이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칸막이 연결부재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몸체(11)의 일측에 고정돌기(14)를 형성하고, 선단이 쐐기형상으로 되며 쐐기형상의 후방에 단턱(13)을 갖는 결합돌기(12)를 상기 고정돌기(14)의 양 측부에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1)의 타측에 결합홈(15)을 형성하되, 결합돌기(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하며, 개구부(18)측에 위치한 결합홈(15)의 양측 선단 중 어느 일측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턱(16)을 형성하고, 결합홈(15)과 결합홈(15) 사이에 고정돌기(14)가 삽입되는 요홈(17)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부재(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개구부(18)측에 위치한 결합홈(15)의 양측 선단 각각에 결합턱(16)을 형성한 것이다.
첨부한 도면의 부호 중 미설명 부호 19은 석고보드, 무기섬유보드 등 각종 판재류로 된 마감재이고, 20은 칸막이이며, 21는 패널, 22은 방음, 단열 등의 기능이 우수한 유리면, 암면, 스티로폼 등으로 된 충진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칸막이(20)를 시공하기에 앞서 상기 칸막이(20)의 양측 선단에 연결부재(10)를 설치하는데, 상기 칸막이(20)의 일측 선단에는 연결부재(10)의 결합돌기(12)와 고정돌기(14)가 칸막이(20)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하고, 타측 선단에는 결합홈(15)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0)가 설치된 칸막이(20)를 시공장소로 이동시킨 다음,칸막이(20)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부재(10)의 결합홈(15)에 다른 칸막이(20)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부재(10)의 결합돌기(12)를 삽입 체결시키고, 상기 칸막이(20)의 타측에 설치된 연결부재(10)의 결합돌기(12)는 또 다른 칸막이(20)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부재(10)의 결합홈(15)에 삽입 체결시켜 다수의 칸막이(2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돌기(12)는 선단이 쐐기형상으로 되었기 때문에 결합돌기(12)의 선단부분이 삽입될수록 결합홈(15)의 선단이 외측으로 벌어지고, 상기 결합돌기(12)의 선단부분이 완전 삽입되면 결합홈(15)의 선단은 자체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되어 결합돌기(12)의 단턱(13)이 결합홈(15)의 결합턱(1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결합홈(15)에 삽입된 결합돌기(12)는 인위적으로 분리시키지 않는 한 상기 결합홈(15)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고정돌기(14)는 결합홈(15)과 결합홈(15) 사이에 형성된 요홈(17)에 삽입되어 칸막이(20)를 지지하기 때문에, 칸막이(20)가 연결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시공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칸막이(20)가 서로 연결되면 상기 칸막이(20)가 연결되는 단부에 마감재(19)를 설치하여 칸막이(20)의 시공을 완료하는데, 상기 마감재(19)는 연결부위의 틈새로 인해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틈새를 막는 것이므로, 본 고안에 의한 연결부재(10)로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마감재(19)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본원 고안에 의한 연결부재(10)는 견고한 결합력과 고정력이 있어 유격발생이억제되므로, 칸막이(20)가 연결된 단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감재(19)를 설치하지 않아도 미관이 저해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마감재(19)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마감재(19)가 장식미를 가지고 있을 경우 칸막이(20)가 연결된 단부에 틈새를 만들고, 상기 틈새에 마감재(19)를 설치하여 실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합홈(15)에 삽입된 결합돌기(12)는 상기 결합홈(15)의 양측 선단에 형성된 결합턱(16)으로 인하여 더욱 강력한 결합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결합돌기(12)를 결합홈(15)에서 인위적으로 분리시킨다 하여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결합수단과 고정수단을 하나의 몸체에 형성하여 된 것으로,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견고한 결합력과 고정력이 있으므로, 시공작업 도중 부주의로 인하여 칸막이의 연결상태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칸막이와 칸막이가 연결되는 단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마감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미관이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칸막이의 고정력과 결합력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등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결합돌기(14)가 형성된 몸체(11)가 칸막이(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20)의 타측에 요홈(17)이 형성된 몸체(11)가 설치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4)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와, 상기 결합돌기(12)가 삽입되는 결합홈(1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연결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돌기(12)의 일측에 단턱(13)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연결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홈(15)의 양측 선단 중 어느 일측 선단에 결합턱(16)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연결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홈(15)의 양측 선단에 결합턱(16)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연결부재.
KR2020010024293U 2001-08-10 2001-08-10 칸막이 연결부재 KR200254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293U KR200254658Y1 (ko) 2001-08-10 2001-08-10 칸막이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293U KR200254658Y1 (ko) 2001-08-10 2001-08-10 칸막이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658Y1 true KR200254658Y1 (ko) 2001-12-01

Family

ID=7310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293U KR200254658Y1 (ko) 2001-08-10 2001-08-10 칸막이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6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540B1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모듈형 단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29968B1 (ko) 조립식 건축자재용 샌드위치패널
KR200433883Y1 (ko)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KR200432623Y1 (ko) 경량벽체 지지유닛
KR200254658Y1 (ko) 칸막이 연결부재
KR200399628Y1 (ko) 건축물 내,외장용 패널의 코너 연결구
KR20110039933A (ko)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KR102257324B1 (ko) 외벽 치장재 고정용 클립의 고정구조
KR20200088728A (ko) 벽돌 판넬 조립체
KR100446128B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101083760B1 (ko) 흡음패널이 결합된 벽체구조물
KR20050046026A (ko) 건축물의 경량 벽체 내화 구조
KR102226181B1 (ko) 진공단열재 브라켓
KR101010353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JP2011026926A (ja) 中空パネル用補強材および壁体
KR200219926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KR200200432Y1 (ko) 차음성을 향상한 칸막이용 구조물
JP3065147B2 (ja) ユニットつなぎ部用内壁パネルおよびユニット住宅の内壁材取付け構造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JP3969353B2 (ja) 壁パネルの連結構造
KR100501772B1 (ko) 공동주택 앵커 체결식 칸막이 설치구조
KR200329027Y1 (ko) 경량 칸막이 조립장치
KR101763539B1 (ko) 모듈형 단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00259A (ko) 조립식 패널 조립체
KR200141309Y1 (ko) 분전반 베이스의 철근 고정용 후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