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524B1 -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524B1
KR101284524B1 KR1020130036815A KR20130036815A KR101284524B1 KR 101284524 B1 KR101284524 B1 KR 101284524B1 KR 1020130036815 A KR1020130036815 A KR 1020130036815A KR 20130036815 A KR20130036815 A KR 20130036815A KR 101284524 B1 KR101284524 B1 KR 10128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edestal
main body
partition frame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희
Original Assignee
윤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희 filed Critical 윤종희
Priority to KR1020130036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62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resilient connectors,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공간을 보다 유용하고 기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다양한 구조로 구획시키는 칸막이에 사용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즉, 칸막이에 도어의 설치는 물론이고 단창 또는 단열재 또는 평판 등과 같은 소재를 단일 또는 이중으로 설치하거나, 이중 설치시에는 그 내부에 단열재나 흡음재나 블라인더 또는 인테리어 소재를 삽입 또는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용이하게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는 칸막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아노 학원이나 음향실 등의 특수한 치수를 요구하는 곳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면이 'ㅁ'형 형태를 가진 긴 형강의 본체; 본체의 양측에 피스 또는 스크류 등의 고정구로 고정되고, 'ㄷ'형의 긴 형강의 받침대; 긴 판형의 가압부와, 가압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고 받침대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받침대와 결합되는 체결편으로 구성된 압지대;로 구성된 칸막이 프레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Partition frame}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공간을 보다 유용하고 기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다양한 구조로 구획시키는 칸막이에 사용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즉, 칸막이에 도어의 설치는 물론이고 단창 또는 단열재 또는 평판 등과 같은 소재를 단일 또는 이중으로 설치하거나, 이중 설치시에는 그 내부에 단열재나 흡음재나 블라인더 또는 인테리어 소재를 삽입 또는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용이하게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는 칸막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아노 학원이나 음향실 등의 특수한 치수를 요구하는 곳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에 특징이 있다.
칸막이라 함은 건물 내부에 부가적으로 시공하여 그 실내 공간을 필요한 수만큼 복수로 구획시킴으로써 건물 내부의 한정된 실내 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벽으로서, 건물의 바닥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보와 같은 골조를 이루거나 천장과 바닥을 연결하는 기둥의 역할을 하거나 내벽에 고정되어 골조를 이루는 칸막이 프레임과, 칸막이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격벽을 이루도록 유리창 또는 격판(합판, 금속판, 합성수지판 등) 또는 다른 여러 재질의 평판과 같은 소재와, 칸막이 프레임의 내측 일부에 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의 소재는 하나의 단판인 단창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띄워 설치된 두 개의 단창에 의해 이중창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단창 두 개가 겹쳐진 구성일 수도 있으며, 이중창의 내부에 단열 및 방음을 위해 단열재 또는 흡음재가 충진되어 단열벽체 또는 방음벽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임의 내측에 유리창 등의 두 개의 단창으로 이중창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단창 사이에 블라인드 또는 롤스크린 또는 인테리어 소재가 설치되기도 한다.
특히 칸막이는 사용처에 따라 특수한 두께 등의 치수가 요구되는데, 이는 단열용 또는 불연용 또는 장식용 또는 결로 방지용 등의 특수 목적에 의하여 그러하다.
즉, 방음 칸막이는 피아노 학원 및 음향실 등의 특수한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방음을 위한 특별한 두께와 치수가 요구된다. 그리고 단열칸막이는 결로가 있는 지하 또는 열이 있는 주물공장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 또한 특수한 두께의 치수가 요구된다. 그리고 불연 칸막이는 불을 사용하는 주방과 같이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곳에도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식용 칸막이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장식 기능을 하는 물건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특별한 두께와 치수가 요구된다. 그리고 결로 방지형 칸막이는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는 차단형 칸막이로서 이 또한 특수한 두께와 치수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칸막이 프레임은 하나의 소재(유리창, 합판, 금속판, 합성수지판 등)로 단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소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프레임과 다른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야 하고, 두 개의 소재로 이중창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소재로 이중창을 형성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진 프레임 및 다른 요소들을 사용하여야 했다.
즉, 단창을 위한 프레임의 구조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어 한 장의 소재를 고정하는 소재 고정체로 구성되었고, 이중창을 위한 프레임의 구조는 본체와, 본체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두 개의 소재를 고정하는 내측 압지체와, 내측 압지체 양측에 접하는 각각의 소재를 고정하면서 본체에 체결되는 압지 커버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프레임은 단창을 형성시키든가 아니면 이중창을 형성시키는가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어 조합되는 프레임을 별도로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칸막이 설치는 여러 형태의 프레임을 조합하여야 하므로 설치에 있어 번거롭고, 따로따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별도 제조에 따른 비용의 증대 문제는 물론이고, 단창과 이중창의 연결부분이 매끈하게 연결되지 않고 끊기는 문제가 있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연결성이 나쁘며 한 제품 같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경우는 본체가 미리 성형되거나 압출된 규격품이어서 다양한 사용처에서 요구되는 폭을 가진 본체가 없는 경우, 다른 것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설계도나 수요자의 요구보다 과다하거나 못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칸막이는 장소와 목적에 따라 본체의 폭 치수가 특정된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본체는 미리 압출성형된 형강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설계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본체를 생산하여야 하므로 사실상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유동적인 치수에 대처 하는 구조를 가진 칸막이 프레임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구성으로 되어, 단창 또는 이중창 또는 단열벽체를 칸막이에 형성시키고자 할 때 적절한 구성의 선택만으로 용이하게 다양한 구조를 하나의 칸막이에 형성시킬 수 있는 프레임이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 장소 및 목적에 맞는 다양한 치수에 대응할 수 있는 본체의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즉, 기능과 용도에 맞게 선택된 소재의 두께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고, 본체가 아연도금 철판이나 알루미늄판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필요에 따라 절곡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필요한 치수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이 다수 개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구성이 단창, 이중창, 단열벽체 등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고, 선택된 구성으로 칸막이가 완성됨으로써, 설치에 있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한 벌의 칸막이 프레임을 제조하면 되기 때문에, 단창을 위한 프레임, 이중창을 위한 프레임, 단열벽체를 위한 프레임과 같이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상의 잇점 또한 크다.
뿐만 아니라 단순한 시야 확보를 위한 유리 한 장의 설치가 목적인 단층 구조 칸막이나, 내부에 블라인더 또는 장식물을 설치하기 위한 복층 구조 칸막이나, 똑 같은 프레임에 단창과 이중창 등의 설치가 가능한 복합 칸막이 형태의 설치는 물론이고, 특수한 요구나 상황 또는 환경과 치수에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고, 별도로 본체를 제작할 필요가 없는 산업상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칸막이의 정면도
도 2는 칸막이 프레임의 실시예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칸막이 프레임의 다양한 실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 조합에 의한 실시예시도
도 6은 도 4의 "B" 조합에 의한 실시예시도
도 7은 도 4의 "C" 조합에 의한 실시예시도
도 8은 도 4의 "D" 조합에 의한 실시예시도
도 9는 도 4의 "E" 조합에 의한 실시예시도
도 10은 도 4의 "F" 조합에 의한 실시예시도
도 11은 도 4의 "G" 조합에 의한 실시예시도
도 12는 도 4의 "H" 조합에 의한 실시예시도
도 13은 압지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14는 받침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15는 압지대와 받침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16은 압지대와 받침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17은 받침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18은 압지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19는 압지대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20은 본체와 받침대의 사이에 패드가 설치된 상태도
도 21은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되어 기둥 역할을 하는 본체의 상태도
도 22는 가체결 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칸막이 프레임은 본체(50)와, 본체(50)에 고정되는 다양한 폭을 가진 받침대(60)와, 받침대(60)와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압지대(70)로 구성되어, 구성 부분의 취사 선택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칸막이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받침대(60)의 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소재(7) 하나가 설치되는 경우와, 우측의 소재(7) 두 개가 겹쳐 설치되는 것과 같이 규격화되어 있는 소재(7)의 두께에 대응되게 기본적인 받침대(60)가 형성되고, 소재(7)가 두 개 이상이 겹치는 경우에 각각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다양한 폭으로 형성된 받침대(60)가 구비된다.
기본적인 실시예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에서 "A"부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의 본체(50)는 수직으로 입설된 것으로 천장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본체(50)와 바닥에 설치되는 본체(50)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단면이 'ㅁ'형 형태를 가지거나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ㅁ'형태를 가진 긴 형강의 본체(50)와; 본체(50)의 양측에 피스 또는 스크류 등의 고정구(1)로 고정되고, 다양한 폭 중에서 선택된 'ㄷ'형의 긴 형강의 받침대(60)와; 긴 판형의 가압부(2)와, 가압부(2)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고 받침대(60)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받침대(60)와 결합되는 체결편(3)으로 구성된 압지대(7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받침대(60)의 폭은 소재(7)의 폭에 대응되는 것으로, 두 개의 소재(7)가 겹쳐 설치되는 경우에는 소재(7) 두께의 두 배의 폭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받침대(60)는 소재(7) 두께의 1배, 2배, 3배 등과 같이 정수 배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가 구비되고, 설치시 적합한 것이 선택된다.
상기의 압지대(70)는 상기와 같이 높은 가압부(2)를 가질 수도 있으나,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의 높이가 받침대(60)의 높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지대(70)는 SGP(10)의 사용을 유용하게 할 수 있다. SGP(10)는 석고보드(11)의 일면에 철판(12)이 부착되어 형성된 Steel Gypsum Panel이다. 이와 같이 SGP(10)의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철판(12)이 겹치게 설치되고, 이에 받침대(60)가 밀착된 후, 고정구(1)가 받침대(60)를 철판(12)에 밀착 고정시킨다. 그리고 빈 공간에 압지대(70)를 삽입시키면 가압부(2)에 의해 공간이 가려져 깔끔하게 처리된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경우에는 단지 고정구(1)로 체결한 후, 공간부에 고무를 끼워 마무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미려하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고,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체결편(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에 연결된 부분의 간격(a)보다 끝단의 간격(b)이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의 양쪽 측단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체결편(3) 쪽으로 길게 돌출된 소재가압부(4)가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대(60)와 압지대(70)의 체결편(3)은 돌조 끼리의 결합 또는 돌조와 요홈의 요철 결합으로 체결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60)에는 체결돌조(5a)가 형성되고, 압지대(70)의 체결편(3)에는 체결홈(6)이 형성된 구조로 요철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60)에 체결돌조(5a)가 형성되고, 체결편(3)에 체결돌조(5b)가 형성되어 돌조 끼리의 결합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50)는 도 15 내지 도 17,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폐구된 'ㅁ'의 형상이 아니라 일측이 절개된 것과 같은 개구형의 'ㅁ' 형상이다. 이는 프레임의 설치 장소 및 목적에 의해 본체(50)의 폭이 다양할 수 있는데, 이 때 폐구된 'ㅁ' 형태의 기성품의 치수가 없는 것일 경우 본 발명은 본체(50)를 철판 등으로 절곡하여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체(50)와 받침대(60)와 압지대(70)의 다양한 변형으로 인하여 많은 형태의 칸막이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데, 도 1과 도 4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A"는 이중창과 석고보드가 내장되는 프레임 부분으로, 가압부(2)의 가운데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체결편(3)이 형성된 압지대(70)와, 'ㅁ'의 단면형상을 가진 본체(50)와, 본체(50)의 측면 가운데 부분에 고정구(1)로써 고정되는 받침대(60)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60)의 상하부에 소재(7)가 설치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압지대(70)의 체결편(3)을 받침대(60)의 개구부로 삽입하면, 받침대(60)에 형성된 체결돌조(5a)와 체결편(3)에 형성된 체결홈(6)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본체(50)의 양측에 각각 소재(7)가 설치된 칸막이가 형성된다. 물론 이 경우는 받침대(60)에 하나의 소재(7)가 지지되어 설치되는 경우이므로, 받침대(60)의 폭은 소재(7)의 두께와 같은 것이 선택된다. 또한 소재(7)와 접하는 본체(50)와 가압부(2)의 면에는 패드(9)가 설치되는데, 이의 자세한 실시예는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드(9)는 접촉부에서의 진동과 소음의 방지는 물론이고, 습도와 열 및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성애와 결로의 방지, 단열 및 방음 효과의 증진의 이유로 설치된다. 그리고 비틀림 등에 의한 소음의 저감과 녹 발생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구(1)는 합성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재(7)의 고정은 아랫부분은 받침대(60)가 지지하고, 양측면은 각각 압지대(70)의 가압부(2)와, 본체(50)가 지지하게 된다. 이 때, 체결편(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의 폭(b)이 가압부에 연결되는 부분의 폭(a)보다 넓기 때문에 받침대(60)의 개구부로 삽입하였을 때 완전히 체결하지 않더라도 빠지지 않게 되어 가조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물론 소재(7)의 두께에 따라 받침대(60)의 폭이 결정되고, 소재(7)와 압지대(70)의 접촉 부분에 쿠션재인 패드(9)가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a)와 4(b)는 받침대(60)와 압지대(70)의 결합 관계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체결돌조(5a)와 체결홈(6)에 의한 요철결합이고, 도 4(b)는 돌조 끼리의 돌조 결합 구성이다.
"B"는 양측에 랩핑 보드와 석고보드가 각각 설치되는 프레임 부분으로서, 가압부(2)의 가운데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체결편(3)이 형성된 압지대(70)와, 'ㅁ'의 단면형상을 가진 본체(50)와, 본체(50)의 측면 아랫부분에 고정구(1)로써 고정되는 받침대(60)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본체(50)의 양측 상부에만 하나의 소재(7)가 각각 설치된 칸막이가 형성된다. 즉, 받침대(60)는 본체(50)의 양측 아랫 부분에 고정되기 때문에, 받침대(60)의 상부에만 하나의 소재(7)의 양측면을 가압부(2)와 본체(50)가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받침대(60)의 폭은 소재(7) 하나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이 선택된다.
도 6(b)의 경우 압지대(70)의 체결편(3)의 단부에는 체결돌조(5b)가 형성되고, 체결돌조(5b)와 가압부(2)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체결홈(6)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이는 가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칸막이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지대(70)를 밀어 끝단부의 체결돌조(5b)와 받침대(60)의 체결돌조(5a)를 결합하여 가체결을 하고, 전체적인 형태를 맞추던지 소재(7)를 올려 설치하던지 조립의 초기 단계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틀이 완성되면 압지대(70)을 밀어 넣어 체결돌조(5a)가 가압부(2)에 가까운 체결홈(6)에 체결되어 고정되면 도 6(b)와 같이 완전한 조립이 된다.
뿐만 아니라 체결편(3)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리, 석고보드 등의 두께에 따라 선택되어 체결되거나, 두께의 오차가 있더라도 용이하고 완전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체결홈(6)은 1mm 내지 5mm 간격과 같이 특정 치수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시키면, 적절한 체결홈(6)과 체결돌조(5a)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C"는 양측에 랩핑 보드가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가압부(2)의 가운데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체결편(3)이 형성된 압지대(70)와, 'ㅁ'의 단면형상을 가진 본체(50)와, 본체(50)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진 받침대(60)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물론 받침대(60)는 고정구(1)에 의하여 본체(50)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본체(50)의 상하부에 각각 두꺼운 벽체(8) 등과 같이 칸막이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때에는 본체(50)의 양측에 설치되는 압지대(70)의 가압부(2)가 벽체(8)의 양측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벽체(8)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본체(50)의 폭과 받침대(60)의 폭이 결정되고 이에 맞는 본체(50)와 받침대(60)를 선택하면 된다.
특히 기성 제품에서 적절한 본체(50)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폭을 가지는 본체(50)로 간단하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성품의 없는 경우 압출 성형으로 새로운 본체(50)를 제작하기에는 매우 높은 경제적 부담이 있으므로 불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체(50)는 일측이 절개된 것과 같은 개구형의 형강의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재질의 철판이나 합성수지판을 절곡하여 형강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D"는 이중창의 상부를 지지하고 천장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가압부(2)의 아랫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체결편(3)이 형성된 압지대(70)와, 'ㅁ'의 단면형상을 가진 본체(50)와, 본체(50)의 아랫 부분에 고정된 받침대(60)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물론 받침대(60)는 고정구에 의하여 본체(50)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은 칸막이가 형성되는데, 본체(50)의 양측에서 상부로 향하여 소재(7)가 설치되는 칸막이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E"는 랩핑 보드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천장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가압부(2)의 아랫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체결편(3)이 형성된 압지대(70)와, 'ㅁ'의 단면형상을 가진 본체(50)와, 본체(5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자고 본체(50)의 양측에 고정된 받침대(60)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물론 받침대(60)는 고정구에 의하여 본체(50)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와 받침대(60)의 상부에 두꺼운 벽체(8)가 설치되는 칸막이의 구성이 가능하다.
"F"는 단창과 단창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기둥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압부(2)의 상하단부가 체결편(3)의 설치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소재가압부(4)를 형성한 압지대(70)와, 'ㅁ'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소재가압부(4)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본체(50)와, 본체(5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자고 본체(50)의 양측에 고정된 받침대(60)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물론 받침대(60)는 고정구에 의하여 본체(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도 10과 같이 본체(50)의 상하부 가운데 부분에 각각 소재(7)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구성이 가능해 진다.
"G"는 단창과 랩핑보드를 지지하는 기둥의 역할로서, 가압부(2)의 하단부가 체결편(3)의 설치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소재가압부(4)를 형성한 압지대(70)와, 'ㅁ'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소재가압부(4)에 지지되는 본체(50)와, 본체(5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자고 본체(50)의 양측에 고정된 받침대(60)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물론 받침대(60)는 고정구에 의하여 본체(50)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본체(50)의 상부에는 두꺼운 벽체(8)가 설치되고, 하부 중앙에는 양측의 소재가압부(4)에 의해 지지되는 소재(7)가 설치되는 칸막이가 형성된다.
"H"는 일측은 단창을 지지하고 타측은 벽체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가압부(2)의 상부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편(3)이 형성되고, 가압부의 하단부가 체결편(3)의 설치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소재가압부(4)를 형성한 압지대(70)와, 'ㅁ'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소재가압부(4)에 지지되는 본체(50)와, 본체(5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본체(50)의 양측에 고정된 받침대(60)로 프레임이 구성된다. 물론 받침대(60)는 고정구에 의하여 본체(50)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와 받침대(60)의 상면은 하나의 수평면을 이루고, 본체(50)의 하부 가운데 부분에 소재(7)가 설치되며, 소재(7)의 양측면이 각각 소재가압부(4)에 의해 지지된 칸막이가 형성된다.
"I"는 이중창과 단창을 각각 측면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50)와 받침대(60) 및 압지대(70)의 세 개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고, 그 각각은 다양한 형태에 맞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칸막이로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을 더 개량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는데, 다음과 같은 확장이 가능하다.
도 13의 경우 체결편(3)의 형상을 절곡된 형태로 하여 받침대(60)의 체결돌조(5a)와 걸림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14의 경우는 받침대(60)에 체결돌조(5a)가 형성되고, 압지대(70)의 체결편(3)에 돌조를 형성시켜 돌조끼리의 결합 구조이다.
도 15의 경우는 받침대(60)에 체결돌조(5a)가 형성되고, 압지대(70)는 하부가 돌출된 단면이 'ㅁ' 형상의 형강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가압부(2)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받침대(60)가 압지대(70)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체결돌조(5a)가 형강의 돌출 단부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16의 경우는 요철결합으로 받침대(60)와 압지대(70)가 체결되는 구조로서, 압지대(70)는 굴곡되어 받침대(60)의 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이고, 삽입된 분에 돌조와 요홈이 형성되어 요철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17은 받침대(60)에 홈이 형성된 구조는 체결편(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홈의 입구부에 경사면을 형성시킨 구조이다.
그리고 도 18과 19의 경우는, 압지대(70)의 가압부(2)가 벽체 또는 소재 등의 설치 각도에 맞게 일정 각도로 형성된 구조로서, 양측 가압부(2)가 둔각을 형성한 경우와 직각을 형성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칸막이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1 : 고정구 2 : 가압부
3 : 체결편 4 : 소재가압부
5a, 5b : 체결돌조 6 : 체결홈
7 : 소재 8 : 벽체
9 : 패드 10 : SGP
11 : 석고보드 12 : 철판
50 : 본체 60 : 받침대
70 : 압지대

Claims (7)

  1. 단면이 'ㅁ'형 형태를 가진 긴 형강의 본체(50); 본체(50)의 양측에 피스 또는 스크류 등의 고정구(1)로 고정되고, 설치되는 소재(7) 두께의 정수 배의 폭을 가진 'ㄷ'형의 긴 형강의 받침대(60); 가압부(2)와, 가압부(2)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고 받침대(60)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받침대(60)와 결합되는 체결편(3)으로 구성된 압지대(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체결편(3)은 가압부(2)에 연결된 부분의 간격(a)보다 끝단의 간격(b)이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가압부(2)의 양쪽 측단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체결편(3) 쪽으로 길게 돌출된 소재가압부(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대(60)와 압지대(70)의 체결편(3)은 돌기 끼리의 결합 또는 돌기와 요홈의 요철 결합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5. 제 1항에 있어서, 본체(50)는 일측이 절개된 것과 같은 개구형의 형강이고, 다양한 재질의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 또는 합성수지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6. 제 1항에 있어서, 압지대(70)의 체결편(3)의 단부에는 체결돌조(5b)가 형성되고, 체결돌조(5b)와 가압부(2)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체결홈(6)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받침대(60)의 돌출단부에 체결돌조(5a)가 형성되어; 체결돌조(5a)와 체결돌조(5b)가 가체결되고, 체결돌조(5a)가 어느 하나의 체결홈(6)에 체결되어 완전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7. 제 1항에 있어서, 가압부(2)는 받침대(60)의 마주보는 두 개의 나란한 체결돌조(5a)의 사이 공간을 막을 수 있을 만큼의 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KR1020130036815A 2013-04-04 2013-04-04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KR10128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815A KR101284524B1 (ko) 2013-04-04 2013-04-04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815A KR101284524B1 (ko) 2013-04-04 2013-04-04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524B1 true KR101284524B1 (ko) 2013-07-16

Family

ID=4899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815A KR101284524B1 (ko) 2013-04-04 2013-04-04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756A (zh)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组合式框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42U (ko) * 1999-03-05 1999-06-25 김계수 분리형칸막이의연결구조
KR200293137Y1 (ko)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KR200433883Y1 (ko) 2006-09-27 2006-12-13 박상철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KR20110004462U (ko) * 2009-10-29 2011-05-06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42U (ko) * 1999-03-05 1999-06-25 김계수 분리형칸막이의연결구조
KR200293137Y1 (ko)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KR200433883Y1 (ko) 2006-09-27 2006-12-13 박상철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KR20110004462U (ko) * 2009-10-29 2011-05-06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756A (zh)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组合式框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20895A (ja) ガラス壁
US3121264A (en) Door
US3033330A (en) Partition system
AU2016200453B2 (en) Spa cabinet attachment
CN103415667A (zh) 用于墙板安装的边沿衬条
KR101284524B1 (ko) 자유형 칸막이 프레임
KR102305528B1 (ko) 건축용 마감 패널 및 패널 설치 기구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JP2015187369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137140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방음패널
JP2018053680A (ja) 壁面構造
KR20070082479A (ko) 고층용 창호
KR101772001B1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KR101297456B1 (ko) 복합형 칸막이 프레임
JP5758607B2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JP2019116785A (ja) 天井パネル
KR100191351B1 (ko) 달반자 구조
RU123806U1 (ru) Обрамляющий профиль для потолоч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угловые элементы для него
JP7380038B2 (ja) 間仕切り用のパネル装置と、それを使用する間仕切り用のドア装置
RU49562U1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для сборки оконных и дверных блоков, перегородок, витрин и витражей
JP6913119B2 (ja) コーナー部材、クロス仕上施工構造及びクロス仕上施工方法
RU41042U1 (ru) Система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и внутренних помещений
GB2330593A (en) Trim strip for fittings in false ceilings
JP5274811B2 (ja) 遮音間仕切り壁の構造
JP2006263380A (ja) 洗面化粧台の壁面への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