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756Y1 -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756Y1
KR200433756Y1 KR2020060025996U KR20060025996U KR200433756Y1 KR 200433756 Y1 KR200433756 Y1 KR 200433756Y1 KR 2020060025996 U KR2020060025996 U KR 2020060025996U KR 20060025996 U KR20060025996 U KR 20060025996U KR 200433756 Y1 KR200433756 Y1 KR 200433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 pipe
connection
injection mol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한
Original Assignee
박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현 filed Critical 박제현
Priority to KR2020060025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7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3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using gas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스팀파이프의 체결단부와 상기 스팀파이프가 연결되는 캐비티 블럭의 파이프 연결공의 구성을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구성으로 형성하고, 그 다단구성 취하는 연결부위에 나사탭을 가공하여, 밀폐가스켓과 연계된 구조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사출성형 공정시 불필요한 스팀매체의 누출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한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캐비티 블럭 내측면에 스팀 인/아웃 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팀 인/아웃 홀에 스팀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스팀파이프가 연결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블럭 일측면에 스팀 인/아웃 홀의 연결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입구는 다단 관통구조로서,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과, 밀폐가스켓이 접착결합되는 제1단턱과, 스팀파이프의 외경을 지지되게 하는 제2 단턱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스팀파이프는, 그 일측 단부에 불완전 나사면과 수나사면이 형성된 볼트구조의 체결관과, 밀폐가스켓을 압착되게 하는 다단구조의 밀착턱을 형성한 장착연결부로 구성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The steam pipe connection structure that is applied to an ejection die}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갖는 사출금형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갖는 사출금형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갖는 사출금형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티 플레이트 2 : 코어 플레이트
3 : 스팀 인/아웃 홀 4 : 스팀파이프
11 : 캐비티 블럭 21 : 코어블럭
31 : 연결입구 32 : 체결공
33 : 제 1단턱 34 : 제 2단턱
41 : 장착연결부 N : 불완전 나사면
N' : 수나사면
본 고안은 스팀형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재료를 용융시키기거나 고형화를 방지하기 위해 흐름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매체(수증기, 오일 등)가 스팀파이프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되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을 보다 향상되도록 한 스팀형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란 플라스틱 수지를 고온의 열에 의해 용융시키고, 이와 같이 용융된 플라스틱 수지를 높은 사출 압력을 통해 금형내의 공간으로 주입하여 원하는 성형품을 생산하는 기계를 통칭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이라 함은 사출 성형공정을 통해 얻고자 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일정한 형태의 틀로서, 이는 상기 사출성형기에 장착된 상태로 일련의 성형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동 공정은 금형닫힘, 사출, 보압, 냉각, 금형열림, 제품취출 등의 공정을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사출성형용 금형은, 그 금형을 이용하여 일련의 사출성형을 행함에 있어, 상기 금형내로 주입되는 수지의 흐름이 부족할 경우, 혹은 주입시 온도 하강에 따른 용융수지의 고착현상 등으로 인해, 웰드부까지 용융수지의 흐름이 여의치 못하게 되어, 최종 접합시에 웰드라인(WELDLINE)이 선명해지고 강도 저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웰드라인 까지 고온, 고압상 태로 용융수지가 원할하게 흐름, 공급될수 있도록 금형의 온도를 높여줄 필요가 있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조치로서, 통상 금형내에는 스팀매체가 흐름될 수 있도록 스팀파이프와 연결되는 스팀 인/아웃 홀이 구비되게 함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종래의 스팀파이프는 스팀 인/아웃 홀이 구비된 캐비티 블럭 일측면에 스팀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 그 연결부위를 단순한 탭 구조로 형성하여, 일반적인 배관연결과 같이 나사결합되게 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스팀파이프는 단순한 나사체결구조로서, 그 내부로 수증기, 물, 오일 등과 같은 액체상태의 스팀매체가 흐름 될 경우, 기밀성의 저하로 인해, 그 파이프 연결부위로 스팀 매체가 누출되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되게 하는 것이었으며, 이와 같은 스팀매체의 누출 현상으로 인해 제품 불량률 증가 및 금형 오염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 소모되는 상당한 구조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종래 스팀파이프 연결구조의 제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팀파이프의 체결단부와 상기 스팀파이프가 연결되는 캐비티 블럭의 파이프 연결공의 구성을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구성으로 형성하고, 그 다단구성 취하는 연결부위에 나사탭을 가공하여, 밀폐가스켓과 연계된 구조로 결합 되게 함으로써, 사출성형 공정시 불필요한 스팀매체의 누출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한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 수단은;
캐비티 블럭 내측면에 스팀 인/아웃 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팀 인/아웃 홀에 스팀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스팀파이프가 연결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블럭 일측면에 스팀 인/아웃 홀의 연결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입구는 다단 관통구조로서,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공과, 밀폐가스켓이 접착결합되는 제1단턱과, 스팀파이프의 외경을 지지되게 하는 제2 단턱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스팀파이프는, 그 일측 단부에 불완전 나사면과 수나사면이 형성된 볼트구조의 체결관과, 밀폐가스켓을 압착되게 하는 다단구조의 밀착턱을 형성한 장착연결부로 구성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갖는 사출금형의 개략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갖는 사출금형의 요부 확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갖는 사출금형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캐비티 플레이트(1)와, 코어 플레이트(2) 이루어진 통상의 사출금형을 기초로하여, 여기에 스팀 인/아웃 홀(3)과, 스팀파이프(4)를 더 구비되게 함으로 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캐비티 플레이트(1)는 통상의 사출금형에 있어,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구비되는 일종의 상부측 성형틀로서, 이와 같은 캐비티 플레이트(1)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 중앙부에 캐비티 블럭(11)을 결합시킨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 플레이트(2)는 통상의 사출금형에 있어,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구비되는 일종의 하부측 성형틀로서, 이는 전술한 캐비티 플레이트(1)와 상호 대향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코어 플레이트(2)는 그 상부측 중앙부에 코어블럭(21)을 결합시킨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팀 인/아웃 홀(3)은 통상의 금형내에 스팀매체(수증기, 물, 오일등)가 흐름될 수 있도록 중공라인 형상으로 구비되는 통상의 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스팀 인/아웃 홀을 본 고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캐비티 블럭(11) 일측면에 스팀 인/아웃 홀(3)의 연결입구(31)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입구(31)는 내측으로 부터 외측면을 향해 점진 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다단 관통구조로 하여, 암나사(321)가 형성된 체결공(32)과, 밀폐가스켓(331)이 접착결합되는 제1단턱(33)과, 후술하는 스팀파이프(4)의 외경을 지지되게 하는 제2 단턱(34)으로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단턱에 결합되는 밀폐가스켓(331)은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얇은 면 형태를 취하며, 접착제에 의한 결합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스팀파이프(4)는 전술한 스팀 인/아웃 홀(3)에 스팀매체를 공급 하기 위한 통상의 배관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스팀파이프(4)를 본 고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파이프(4)의 일측 단부에 불완전 나사면(N)과 수나사면(N')이 형성된 볼트구조의 체결관(411)을 형성하고, 재차 상기 체결관(411) 후측에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서, 전술한 밀폐가스켓(331)을 압착되게 하는 다단구조의 밀착턱(412)을 형성시킨 장착연결부(41)로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볼트구조를 취하는 체결관(411)은 그 체결관(411)에 형성된 수나사면(N')과 불완전 나사면(N)이 0.25mm의 공차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캐비티 블럭(11) 내측면에 스팀 인/아웃 홀(3)이 구비되고, 상기 스팀 인/아웃 홀(3)에 스팀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스팀파이프(4)가 연결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블럭(11) 일측면에 암나사(321)가 형성된 체결공(32)과, 밀폐가스켓(331)이 접착결합되는 제1단턱(33)과, 스팀파이프(4)의 외경을 지지되게 하는 제2 단턱(34)으로 이루어진 연결입구를 구성시킨 후;
상기 연결입구(31)에 스팀파이프(4)의 일측 단부, 즉 불완전 나사면(N)과 수나사면(N')이 형성된 볼트구조의 체결관(411)과, 밀폐가스켓(331)을 압착되게 하는 다단구조의 밀착턱(412)을 형성한 장착연결부(41)를 삽입시켜, 이를 나사체결 관계 로 결합되게 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가스켓(331)은 체결관(411)에 있어, 0.25mm 공차를 갖는 불완전 나사면(N)에 삽입된 형태로 스팀 인/아웃 홀(3)의 제1 단턱(33)과, 스팀파이프(4)의 밀착턱(412)에 끼임, 압박된 상태로 기밀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는 스팀 인/아웃 홀(3)과 스팀파이프(4)의 연결부위를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 결합구조로 형성하고, 그 결합부위에 기밀성을 향상되게 하는 밀폐가스켓(331)을 추가 구성되게 하여, 사출금형 내로 스팀매체 흐름, 공급시 불필요한 누출현상을 방지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는 스팀파이프의 체결단부와 상기 스팀파이프가 연결되는 캐비티 블럭의 파이프 연결공의 구성을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구성으로 형성하고, 그 다단구성 취하는 연결부위에 나사탭을 가공하여, 밀폐가스켓과 연계된 구조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사출성형 공정시 불필요한 스팀매체의 누출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캐비티 블럭(11) 내측면에 스팀 인/아웃 홀(3)이 구비되고, 상기 스팀 인/아웃 홀(3)에 스팀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스팀파이프(4)가 연결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블럭(11) 일측면에 스팀 인/아웃 홀(3)의 연결입구(31)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입구(31)는 다단 관통구조로서, 암나사(321)가 형성된 체결공(32)과, 밀폐가스켓(331)이 접착결합되는 제1단턱(33)과, 스팀파이프(4)의 외경을 지지되게 하는 제2 단턱(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팀파이프(4)는, 그 일측 단부에 불완전 나사면(N)과 수나사면(N')이 형성된 볼트구조의 체결관(411)과, 밀폐가스켓(331)을 압착되게 하는 다단구조의 밀착턱(412)을 형성한 장착연결부(4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구조를 이루는 체결관(411)은 그 체결관(411)에 형성된 불완전 나사면(N)과 수나사면(N')이 0.25mm의 공차로 이루어짐을 특징을 하는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KR2020060025996U 2006-09-27 2006-09-27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KR200433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96U KR200433756Y1 (ko) 2006-09-27 2006-09-27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96U KR200433756Y1 (ko) 2006-09-27 2006-09-27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389A Division KR20080028067A (ko) 2006-09-26 2006-09-26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756Y1 true KR200433756Y1 (ko) 2006-12-12

Family

ID=4178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996U KR200433756Y1 (ko) 2006-09-27 2006-09-27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7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76B1 (ko) 2019-12-13 2020-05-21 이큐엠텍(주) 사출 금형 제조 공정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76B1 (ko) 2019-12-13 2020-05-21 이큐엠텍(주) 사출 금형 제조 공정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423B1 (ko) 하이드로 포밍을 이용한 워터 파이프 제조 방법
US20230060483A1 (en) Plastic faucet body and a die for molding the same
KR200433756Y1 (ko)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KR20080028067A (ko)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스팀파이프 연결구조
JP2012158114A (ja) ダイレクト成形機
CN208100998U (zh) 一种整体式注胶工装
KR200433758Y1 (ko) 스팀형 사출금형
KR20090020117A (ko) 사출 성형용 핫 런너 매니폴드
KR100927840B1 (ko) 항균력을 구비한 다층 상수도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력을 구비한 다층 상수도관
CN211566757U (zh) 一种pvc管道生产用水冷注塑模具
CN207915906U (zh) 一种注塑模具水路吹干装置
US11173641B2 (en)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CN204054508U (zh) 滴头模具用内加热喷嘴
KR20080028076A (ko) 스팀형 사출금형
CN109092967B (zh) 液注铝材多边异型管成形系统
CN210034769U (zh) 一种法兰根部带压密封装置
CN104307956A (zh) 太阳能热水器联箱内胆制造方法
CN215040013U (zh) 一种新型模具水路集中水排装置
US9186832B2 (en) Heat dissipating assembly and mold having the same
CN218315083U (zh) 一种易清洗模具冷却结构
CN108638463A (zh) 一种注塑模具型芯冷却装置
KR100661998B1 (ko) 튜브 연신 압출 다이
CN208392547U (zh) 一种分流管结构以及流道浇注装置
KR100997561B1 (ko) 이중강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N214820635U (zh) 一种鞋用圆盘注射成型机模具水冷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