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146Y1 -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 Google Patents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146Y1
KR200433146Y1 KR2020060027099U KR20060027099U KR200433146Y1 KR 200433146 Y1 KR200433146 Y1 KR 200433146Y1 KR 2020060027099 U KR2020060027099 U KR 2020060027099U KR 20060027099 U KR20060027099 U KR 20060027099U KR 200433146 Y1 KR200433146 Y1 KR 200433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reflector
jeonju
vin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자
백재선
백승호
백정윤
백남두
이범구
박종섭
박준모
Original Assignee
(주)호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호명기술단
Priority to KR2020060027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1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2Apparatus for mechanical de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에 전주가 통과하는 홀을 구비한 원뿔 형상의 삿갓을 절개한 형태의 제1반삿갓체과 제2반삿갓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반삿갓체과 상기 제2반삿갓체는 갓부 일단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개 및 접음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반삿갓체와 상기 제2반삿갓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음 동작하여 상기 전주를 둘러싸도록 설치할 때, 상기 제1반사갓체와 제2반사삿체의 둘레 단부들이 중첩 길이를 갖도록 둘레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반사갓체 및 제2반삿갓체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전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호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반삿갓체 및 상기 제2반사갓체의 둘레 단부 측과, 상기 체결부에는 각각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조임에 의해 상기 전주에 고정가능하게 구성된다.
전주, 넝쿨, 방지구

Description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DEVICE FOR STOPPING A VINE FROM CLIMBIBG CLIMBING IN AN ELECTRIC POL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를 약간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의 전주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지구 12: 제1반삿갓체
14: 제1반삿갓체 11,13: 둘레 단부
16: 힌지부 18: 체결부
19,15: 고정돌기 22: 체결부재
23: 돌기
본 고안은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를 감고 올라가 넝쿨성 식물이 전력선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주의 넝 쿨성 식물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칡 넝쿨이나 담쟁이 넝쿨과 같은 넝쿨성 식물은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며, 땅 바닥으로 벋거나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산악 및 들판에 많이 자생하는 칡 넝쿨은 배전 선로를 위해 땅에 설치한 전주를 타고 올라가 전력선에 접촉하여 합선을 일으킴으로써 단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한전에서는 매년 수많은 비용과 인원을 투여하여 전주 주변의 칡넝쿨을 제거하지만 칡 넝쿨 성장속도가 워낙 빨라 칡넝쿨에 의한 단선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근래에는 산에 수풀이 우거지면서 넝쿨성 식물이 번성하고 있는 바, 넝쿨성 식물이 전주를 타고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주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넝쿨성 식물이 전주를 타고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는, 중심부에 전주가 통과하는 홀을 구비한 원뿔 형상의 삿갓을 절개한 형태의 제1반삿갓체과 제2반삿갓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반삿갓체과 상기 제2반삿갓체는 갓부 일단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개 및 접음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반삿갓체와 상기 제2반삿갓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음 동작하여 상기 전주를 둘러싸도록 설치할 때, 상기 제1반사갓체와 제2반사삿체의 둘레 단부들이 중첩 길이를 갖도록 둘레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반사갓체 및 제2반삿갓체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전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호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반삿갓체 및 상기 제2반사갓체의 둘레 단부 측과, 상기 체결부에는 각각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조임에 의해 상기 전주에 고정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를 보인 도면으로 약간 펼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를 전주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10)는 전체적으로 원뿔 형상의 삿갓 모양을 이루며, 중심부에 전주(20)가 통과되는 홀(17)이 형성된 형태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1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제 박판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넝쿨성 식물 방지구(10)가 전주(20)에 설치되면, 전주(20)를 타고 올라오던 넝쿨성 식물이, 넝쿨성 식물 방지구(10)에 막혀, 전주를 타고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10)는 원뿔형의 삿갓 모양을 이루면서도 전주(2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삿갓을 반으로 절개한 형태의 제1반(半)삿갓체(12)와 제2반삿갓체(14)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1반삿갓체(12)의 둘레 일측 단부과 제2반삿갓체(14)의 둘레 일측 단부가 힌지부(16)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부(16)를 중심으로 제1반삿갓체(12) 및 제2반삿갓체(14)를 펼치거나 접는 것이 가능하다. 펼친 상태에서는 힌지부(16) 반대편으로 전주(20)를 끼우는 것이 가능하고, 접힘 상태에서는 삿갓 모양을 이룬다. 따라서 펼친 상태에서 전주(20)에 끼우고, 힌지부(16)를 중심으로 접는 방식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10)가 전주(20)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반삿갓체(12,14)의 상단이 전주(20)를 둘러싸게 된다. 즉, 접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반삿갓체(12,14)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는 부분이 홀(17)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식물성 덩굴 방지구에서,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를 접으면 삿갓 모양을 이루는 데, 이때 각 반삿갓체(12,14)는 접힘에 의해 삿갓모양을 이룰 때, 힌지부(16)의 반대편의 단부(11,13)들이 서로 중첩될 수 있는 둘레 길이(L1,L2)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주(10)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둘레의 길이가 고정된 경우 하나의 단품으로 이루이전 방지구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 위치가 제한되게 된다. 즉, 하부의 직경이 큰 부분에 맞추어진 경우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 전주와 홀 사이의 틈을 통해 넝쿨이 타고 오를 가능성이 있으며, 상부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 맞추어진 경우 전부 하측 부분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아울러 하나의 단품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전력선, 변압기 등이 이미 설치한 전주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본 고안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접힘 상태에서 원뿔형 삿갓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직경이 작은 부분과 큰 부분에 관계없이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의 둘레 단부(11,13)가 서로 중첩되어 중첩 길이(L3)를 가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의 상단에는 전주의 주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호 형상의 체결부(18)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각 체결부(18)는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를 펼쳤을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힌지부(16)의 상단 및 둘레 단부(11,13)의 상단에는 갭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즉, 체결부(18)는 제1반삿갓체(12), 제2반삿갓체(14)의 상단 끝부분에는 존재하지 않고 그 사이로 형성시킨다. 고정력 강화를 위해 체결부(19)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돌기(23)를 형성시킨다.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을 접은 상태에서 체결부(18) 내측 공간이 전주가 통과하는 홀(17)이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의 상단의 체결부(18)의 양 가장자리에 고정돌기(19)가 형성되며, 둘레측 단부(11,13) 측으로 각각 고정돌기(15)를 형성한다. 이때 고정돌기(15)는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 체(14)을 겹친 상태에서 중첩되지 않는 곳에 위치한다.
이들 고정돌기(19,15) 사이에 와이어 등의 체결부재(22)가 결합됨으로써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이 서로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의 조립 상태를 설명한다.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을 힌지부(16)를 중심으로 펼친 상태에서 전주(20)에서 고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놓고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을 접는다. 이때 홀(17)과전주(2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을 조립하는 경우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둘레에서는 중첩 길이(L3)를 가지게 된다.
그 후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의 상단 체결부(18)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9) 사이에 와이어 체결 부재(22) 등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조임으로써 원뿔형 삿각 형태가 유지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가 전주에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 체결부재(22)는 서로 반대방향에서 각각 고정돌기(19) 사이를 조임으로써 전주(20)와 홀(17)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다. 고정력 강화를 위해 체결부(19)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돌기(23)가 전주의 주면에서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그 후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의 둘레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5) 사이에 와이어 체결부재(22)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속시킴으로써 갓부가 서로 단단히 결속되면서 갓부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서로 결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는 전주에서 설치 위치에 따른 전주의 직경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주가 통과하는 홀(17)이나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L2) 사이에 틈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주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에 의하면, 전 설치 높이에 따른 전주의 직경 차이에도 불구하고 넝쿨성 식물이 올라갈 수 있는 틈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력선, 변압기 등 다른 구조물들이 이미 설치된 상태의 전주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Claims (2)

  1. 중심부에 전주(20)가 통과하는 홀(19)을 구비한 원뿔 형상의 삿갓을 절개한 형태의 제1반삿갓체(12)과 제2반삿갓체(14)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반삿갓체(12)과 상기 제2반삿갓체(14)는 힌지부(1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개 및 접음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반삿갓체(12)와 상기 제2반삿갓체(14)가 힌지부(16)를 중심으로 접음 동작하여 상기 전주를 둘러싸도록 설치할 때, 상기 제1반사갓체(12)와 제2반사삿체(14)의 단부들(11,13)이 중첩되는 부분(L3)을 갖도록 둘레 길이(L1,L2)를 가지며, 상기 제1반사갓체(12) 및 제2반삿갓체(14)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전주(2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호 형상의 체결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반삿갓체(12) 및 상기 제2반사갓체(14)의 둘레 단부(11,13) 측과, 상기 체결부(18)에는 각각 고정돌기(15,19)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5,19) 사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2)에 의해 조임에 의해 상기 전주(20)에 고정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8)의 내주면에는 돌기(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KR2020060027099U 2006-09-29 2006-09-29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KR200433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99U KR200433146Y1 (ko) 2006-09-29 2006-09-29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99U KR200433146Y1 (ko) 2006-09-29 2006-09-29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146Y1 true KR200433146Y1 (ko) 2006-12-11

Family

ID=4178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099U KR200433146Y1 (ko) 2006-09-29 2006-09-29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65Y1 (ko) 2009-07-15 2009-10-13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배전 전주용 불법 부착물 방지 및 넝쿨 오름 방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65Y1 (ko) 2009-07-15 2009-10-13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배전 전주용 불법 부착물 방지 및 넝쿨 오름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461B1 (ko) 회전과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33146Y1 (ko) 전주의 넝쿨성 식물 방지구
KR102233168B1 (ko) 전주용 넝쿨식물 오름 방지장치
KR100673388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US6227251B1 (en) Wire protecting structure
JP4892325B2 (ja) 鳥類の駐留防止器
KR102305799B1 (ko) 전신주용 지선 보호커버
KR100590408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WO2008057279A3 (en) Fence post cap assembly
US20100200292A1 (en) Secondary cap
KR20080011840A (ko) 전주용 새둥지 방지갓
KR200462373Y1 (ko) 단일형 내장완철 피뢰기 취부용 금구
JP4797040B2 (ja) 配電線係留装置
KR200446007Y1 (ko) 조류 집짓기 방지용 애자덮개
JP2004159452A (ja) 電線保護カバ−、及びその取付け方法
KR100880565B1 (ko) 강교용 조명장치
KR20200055419A (ko) 현수애자 절연보호 구조체
KR200387081Y1 (ko) 분할식 수목 보호덮개의 결합구조
KR200247437Y1 (ko) 수목 보호덮개의 결합구조
KR200263846Y1 (ko) 수목 보호덮개의 결합구조
KR20190139728A (ko) 전주 고정용 지선로드 조립체
KR200361595Y1 (ko) 조류접근 방지구
KR100867344B1 (ko) 내장형 안정장치
KR200309525Y1 (ko) 자재(自在)부를 구비한 분기 슬리브 커버
KR101313985B1 (ko) 전신주 내 까치집 생성방지기구를 설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