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77Y1 - 막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막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77Y1
KR200432977Y1 KR2020060025213U KR20060025213U KR200432977Y1 KR 200432977 Y1 KR200432977 Y1 KR 200432977Y1 KR 2020060025213 U KR2020060025213 U KR 2020060025213U KR 20060025213 U KR20060025213 U KR 20060025213U KR 200432977 Y1 KR200432977 Y1 KR 200432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plate
rubber member
fram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to KR2020060025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돔이나 돔구장 등의 천장에 구비되는 막(fabric)과 프레임 사이에 러버부재를 프레임에 감싸도록 개재하여 서로 체결함으로써 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러버부재에 의한 방수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러버부재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막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에어돔, 막, 프레임, 러버부재

Description

막 설치구조{structure of mounting fabric}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막 20: 플레이트
30: 러버부재 40: 고정부재
50: 지지부 60a,60b: 커버부재
본 고안은 막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돔이나 돔구장 등의 천장에 구비되는 막(fabric)과 프레임 사이에 러버부재를 프레임에 감싸도 록 개재하여 서로 체결함으로써 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러버부재에 의한 방수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러버부재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막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막구조은 정형화된 여러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며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막(幕,fabric)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막구조는 그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자체 내구성도 높아 새로운 건축양식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에 막을 지지시키는 방식도 두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프레임을 먼저 조립 구성하고 그 위에 막을 전체적으로 덮어씌워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그 테두리부를 두껍게 가공한 막의 테두리부를 프레임에 고정시켜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사이가 막으로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상기 막구조에 있어서 막구조를 구성하는 막을 보통 한 겹만 적용하지만 경우에 따라 막을 한 겹 더 설치한 이중막 구조의 막구조도 있다.
상기 이중막 구조의 막구조는 단열성과 보온성 및 흡음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 막구조는 막과 프레임이 직접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상호 마찰에 의해 프레임 상의 막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막구조는 서로 볼팅 처리되는 막과 프레임의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막을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러버부재를 개재하여 막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러버부재의 일측 또는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커버부재를 연장 형성하여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러버부재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막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붕 또는 천장을 이루는 막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막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막과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막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러버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막을 지지하여 설치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설치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상기 러버부재는 막의 인장력 발생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분리되지 않도록 양측 가장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 커버부재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설치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는 바닥이나 지지 구조물(도시하지 않음) 등에 연결되는 지지부(50) 상에 플레이트(20)를 형성하고, 이 플레이트(20)에 러버부재(30)와 막(10)을 고정부재(40)로 결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부(50)는 바닥이나 구조체 등에 연결되며, 지붕이나 천장을 형성하는 틀을 이룬다.
상기 지지부(50)는 아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정해진 외형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50)는 프레임(52)과 보강부재(54)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52)은 바닥이나 구조체 등에 연결되는 금속 파이프나 "I"형강이고, 편의상 금속 파이프로 도시한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52)은 지붕이나 천장을 이루는 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54)는 프레임(52)의 상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54)는 프레임(52)에 용접 처리될 수도 있고, 일체로 금형 제작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보강부재(54)는 프레임(52)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간격 유격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0)는 지지부(50)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20)는 사각 판 형상의 보강부재(54) 상면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54)는 플레이트(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호 용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러버부재(30)는 플레이트(20) 상에 구비된다.
즉, 상기 러버부재(30)는 플레이트(20)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러버부재(30)는 상면에 막(10)을 접하게 함으로써 막(10)과 금속성인 플레이트(20)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한다.
그래서, 상기 막(10)이 플레이트(20)와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러버부재(30)는 고무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플레이트(20), 러버부재(30) 및 막(10)은 고정부재(4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막(1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0)는 플레이트(20), 러버부재(30) 및 막(10)을 상호 분리와 결합 가능하도록 볼트와 너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러버부재(30)는 고정부재(40)에 의해 새어 들어오는 물기 등의 방수기능을 함께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는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54)가 프레임(52)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보강부 재(54)는 플레이트(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플레이트(20)와 러버부재(30) 및 막(10)을 결합하기 위해 고정부재(4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54)가 사각 판 형상일 경우, 플레이트(20)는 보강부재(54)와 보강부재(54) 사이에서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쉽게 플레이트(20)와 러버부재(30) 및 막(10)을 고정부재(40)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54)는 플레이트(2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플레이트(20)가 금속 파이프인 프레임(52)과 직접적으로 접할 경우 선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면적의 축소로 인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보강부재(54)는 플레이트(20)와 프레임(52)의 결속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러버부재(30)는 플레이트(20)에 접한 상태에서 조립 작업시 플레이트(20)와 분리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상기 러버부재(30)는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커버부재(60a)를 연장 형성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60a)는 러버부재(30)와 동일 재질로 일체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60a)는 각각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러버부재(30)를 플레이트(20)에 견고히 결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60a)는 막(10)의 장력이 발생하는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러버부재(30)의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러버부재(30)가 막(10)의 장력발생 방향으로 플레이트(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막(10)이 플레이트(20) 전체면에 걸쳐 접하기 때문에 러버부재(30)는 플레이트(20) 전체면에 걸쳐 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커버부재(60a)는 러버부재(30)의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60a)는 서로 대칭되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레이트(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막(10)은 상부에 보강판(70)을 덧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강판(70), 막(10), 러버부재(30) 및 플레이트(20)가 순서대로 층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70)은 고정부재(40)에 의한 막(10)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막(10)의 상측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설치구조에서 지지부(50)를 구성하는 프레임(56)은 "I"형강으로 도시함과 아울러 보강부재(58)는 프레임(56) 상에 일정 간격 유격된 상태로 비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0)는 지지부(50) 중 사각 판 형상인 보강부재(58) 상면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58)는 플레이트(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호 용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러버부재(30)는 플레이트(20)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플레이트(20)는 막(10)을 경사지게 설치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56)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58)는 상면을 경사지게 형성한 후 플레이트(20)를 용접 처리함으로써 플레이트(20)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한편, 상기 막(10)이 플레이트(20)보다 더 경사지게 펼쳐져 플레이트(20)와 전체적으로 접하지 않을 경우, 러버부재(30)는 막(10)과 플레이트(20)에 함께 결합되기 위해 플레이트(2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러버부재(30)는 플레이트(20)의 일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일측으로만 커버부재(60b)를 연장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60b)는 기울어진 플레이트(20)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삽입되도록 하여 막(10)의 장력 발생 방향으로 끌려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막(10)과 러버부재(30) 및 플레이트(20)는 볼트 및 너트인 고정부재(40)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러버부재(30) 및 커버부재(60b)는 마찰감소나 완충을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커버부재(60b)는 러버부재(30)의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서 '??'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플레이트(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도 막(10)의 상측에 보강판(70)을 덧되어 막(10)의 찢어짐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막 설치구조는 플레이트와 막 사이에 러버부재를 개재하여 플레이트와의 마찰에 의한 막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러버부재는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 커버부재를 연장 형성하여 플레이트와 감싸도록 함으로써 고정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지붕 또는 천장을 이루는 막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막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막과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막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러버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막을 지지하여 설치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와 러버부재 및 막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재는 상기 막의 인장력 발생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분리되지 않도록 양측 가장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 커버부재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막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설치 위치 확보 및 상기 플레이트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설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보강을 위해 상부에 보강판을 덧되고 나서 상기 고정부재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설치구조.
KR2020060025213U 2006-09-19 2006-09-19 막 설치구조 KR200432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13U KR200432977Y1 (ko) 2006-09-19 2006-09-19 막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13U KR200432977Y1 (ko) 2006-09-19 2006-09-19 막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77Y1 true KR200432977Y1 (ko) 2006-12-07

Family

ID=4178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213U KR200432977Y1 (ko) 2006-09-19 2006-09-19 막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77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72B1 (ko) 2006-12-29 2007-10-19 손영호 탄력성과 누수방지가 우수한 삽입막 지지용 연결장치
KR101262205B1 (ko) 2012-10-04 2013-05-15 손영길 구간별 교체가 용이한 막구조물 및 막구조 인장방법
KR101472958B1 (ko) 2013-04-09 2014-12-16 (주)에스플러스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천막용 둘레 고정구조
KR101524595B1 (ko) * 2015-01-15 2015-06-01 주식회사 동아스트 단일막 장력 도입 시스템
KR101634646B1 (ko) 2015-10-20 2016-06-29 (주) 스페이스업 방수기능이 향상된 막구조물 시스템
KR101945989B1 (ko) * 2017-12-29 2019-02-08 봉용범 강설방지 및 조도순응을 위한 터널용 캐노피
KR102123240B1 (ko) * 2020-02-13 2020-06-16 주식회사 엠테크 막구조 부상(浮上)방지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재인장 시스템
KR102515597B1 (ko) 2022-11-22 2023-03-30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시스템
KR102634235B1 (ko) 2022-11-22 2024-02-06 (주)스페이스업 차수보강 막구조물 접합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72B1 (ko) 2006-12-29 2007-10-19 손영호 탄력성과 누수방지가 우수한 삽입막 지지용 연결장치
KR101262205B1 (ko) 2012-10-04 2013-05-15 손영길 구간별 교체가 용이한 막구조물 및 막구조 인장방법
KR101472958B1 (ko) 2013-04-09 2014-12-16 (주)에스플러스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천막용 둘레 고정구조
KR101524595B1 (ko) * 2015-01-15 2015-06-01 주식회사 동아스트 단일막 장력 도입 시스템
KR101634646B1 (ko) 2015-10-20 2016-06-29 (주) 스페이스업 방수기능이 향상된 막구조물 시스템
KR101945989B1 (ko) * 2017-12-29 2019-02-08 봉용범 강설방지 및 조도순응을 위한 터널용 캐노피
KR102123240B1 (ko) * 2020-02-13 2020-06-16 주식회사 엠테크 막구조 부상(浮上)방지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재인장 시스템
KR102515597B1 (ko) 2022-11-22 2023-03-30 주식회사 스페이스업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시스템
KR102634235B1 (ko) 2022-11-22 2024-02-06 (주)스페이스업 차수보강 막구조물 접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977Y1 (ko) 막 설치구조
JP4976091B2 (ja) 止水構造
JP5116238B2 (ja) ソーラーパネルの固定構造
KR20140005533A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1047308B1 (ko)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101064235B1 (ko) 건축용 지붕판넬 설치구조
JP2008115556A (ja) 亀裂誘発目地部構造
KR20110009307A (ko) 단열재 패널의 설치를 위한 상,하 연결형 가드 트랙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구조
KR101228269B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050109427A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JP5156856B2 (ja) 止水構造
KR102272074B1 (ko) 지붕판넬 상의 구조물 연결 장치
KR20160025809A (ko) 지붕 열차단 연결부재
JP4602789B2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縦積み工法及びその構造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JP2007270576A (ja) 外装材の取付構造
JP4619425B2 (ja) 防音構造体および鋼製桁橋防音構造
KR102669433B1 (ko)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한 막구조 장력 조절 시스템
KR200299776Y1 (ko) 프리-패브식 건축물
JP6261959B2 (ja) 建物の止水構造
JP2006037490A (ja) スチールセグメントへの耐火板取付構造
KR200430415Y1 (ko) 조립식 벽체
KR200359197Y1 (ko) 지붕판넬과 채광판넬의 연결을 위한 이음부재
JP7157533B2 (ja) 壁板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タータ補助部材
JP5312732B2 (ja) 折板屋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