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827Y1 - 연속식 사혈침 기구 - Google Patents

연속식 사혈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827Y1
KR200432827Y1 KR2020060019329U KR20060019329U KR200432827Y1 KR 200432827 Y1 KR200432827 Y1 KR 200432827Y1 KR 2020060019329 U KR2020060019329 U KR 2020060019329U KR 20060019329 U KR20060019329 U KR 20060019329U KR 200432827 Y1 KR200432827 Y1 KR 200432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oupled
main body
ai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이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준 filed Critical 이경준
Priority to KR2020060019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관한 것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구비된 결합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선단에 다수개의 침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속, 사혈, 회전, 직진, 침

Description

연속식 사혈침 기구 { virulent blood eliminate apparatus }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대한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적용되는 에어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사혈침 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동력발생수단 4 : 동력전달부
8 : 침부재 10 : 본체
22 : 회전판 24 : 유입호스
25 : 스위치 26 : 유출호스
42 : 구동축 44 : 연결축
46 : 결합부 81 ; 침핀
본 고안은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수단에 의해 연속으로 작동될 수 있어 넓은 환부에 대한 치료가 용이하도록 한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혈침 기구는 인체의 어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환부에 대해 부항기를 이용하여 피가 고이게 한 후 사혈침을 찔러 피하층에 고였던 피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종래 사혈침 기구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3543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20-0283543호에 대해 살펴보면, 중공의 원통형인 몸체 하부에 사혈침고정봉의 일측에 사혈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몸체 상부로부터 복귀용스프링을 매개로 충격받이봉이 삽입되어 사혈침고정봉의 타측에 연결되는 작동부; 중심축에 대해서 대향하는 핀작동공이 하부에 형성된 누름부재의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충격전달봉이 충격전달봉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매개로 내재되고, 누름부재의 외부에는 중심축에 대해서 대향하는 꺽쇠 모양의 핀가이드공이 형성된 핀가이드부재가 핀가이드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며, 충격전달봉의 관통공에 삽입된 작동핀이 상기 누름부재의 핀작동공 및 핀가이드 부재의 핀가이드공을 서로 연결시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설치되는 충격발생부;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사혈침을 감싸며 외주면에 나선모양의 홈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의 외주면에 길이조 절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조절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된 하부캡의 회전에 의해서 하부케이스와 하부캡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사혈침은 단일의 침핀이 사용되고, 환부가 넓은 경우 사혈침의 작동을 수 회에 걸쳐 수행하고 있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종래 사혈침은 스프링에 의한 탄동식이라 사용할 때마다 손으로 일일이 눌러 주어야 하므로 연속 작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개의 침핀이 형성됨으로써 일회 타격으로 다수개의 사혈침을 사용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아울러 동력수단을 이용하여 침핀을 연속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편리성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속식 사혈침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구비된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와 결합부가 삽입되는 안내통로가 형성된 본체와, 선단에 다수개의 침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통로에 삽입되는 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 혈침 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대한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적용되는 에어모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사혈침 기구(A)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2)과, 상기 동력발생수단(2)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4)와, 상기 동력전달부(4)에 구비된 결합부(46)로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4)와 결합부(46)가 삽입되는 안내통로(43)가 형성된 본체(10)와; 선단에 다수개의 침핀(81)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결합부(46)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통로(43)에 삽입되는 침부재(8);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건타입이나 봉타입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동력발생수단(2)과, 동력전달부(4), 결합부(46)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와 결합부(46)가 삽입되는 안내통로(43)의 전단 개구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후술될 침핀(81)을 보호하기위해 캡(5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도 4 참조).
상기 동력발생수단(2)은 후술될 침부재(8)를 연속으로 발사할 수 있는 동력 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첫번째 실시예에서는 에어모터(20)를 제안한다.
에어모터(20)는 각종의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일예로 에어그라인더와 같은 연삭. 연마작업에 이용하는 공업용기구, 혹은 치과용 핸드피스등에 적용되는 의료용기구등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에어모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되게 삽입공(203)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스(202)와, 외주면의 다수개의 요홈(206)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206)에 회전날개(205)가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203)에 결합되는 회전자(204)와, 상기 케이스(202)의 삽입공(203)과 통하도록 외부에 설치된 유입 및 유출호스(24,26)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호스(24)에는 스위치(25)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25)의 온(on)작동에 의해 고압의 공기가 에어모터(20)로 주입되면, 상기 회전자(204)에 결합된 회전판(22)이 고속으로 편심회전하게 되고, 이에 종동된 동력전달부(4) 및 침핀(81)이 출몰작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동력발생수단(2)을 에어모터로 예를 들었으나, 이외에도 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동력전달부(4)는 전술한 동력발생수단(2)인 에어모터(20)의 회전자(204)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판(22)과, 회전판(22)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된 구동축(42)과, 구동축(42)에 힌지결합된 연결축(44)으로 구성됨으로써 회전자(204)의 회전운동을 받아 구동축(42) 및 연결축(44)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전술한 동력전달부(4)의 연결축(44)은 그 선단에 후술될 침부재(8)가 결합되 는 결합부(46)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46)는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경사부(462)를 가지며, 경사부(462)는 안쪽의 안착홈(464)에 이어지도록 하여 형성된다.
상기 침부재(8)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부(46)에 결합되도록 확대부(83)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침핀(81)이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확대부(83)가 전술한 결합부(46)의 안착홈(464)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침핀(81)의 길이는 약 2 ∼ 3mm 가 적당하며, 피부에는 약 1 ∼ 2mm가 찔러질 수 있도록 깊이를 조절한다.
상기 캡(50)은 외경은 본체의 안내통로에 내접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건타입 또는 봉타입으로 된 본체(10) 내에 동력발생수단(2)인 에어모터(20)를 장착하고, 에어모터(20)에는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유입호스(24)와 유출호스(26)가 연결되고, 이들 유입 및 유출호스(24,26)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콤프레셔와 같은 공기발생장치와 연결된다.
이후, 상기 에어모터(20)의 회전자(204)의 단부에는 회전판(22)이 편심결합되고, 회전판(22)의 타측에는 구동축(42)이 편심되게 힌지결합되며, 구동축(42)에는 연결축(44)이 힌지결합되어 동력전달부(4)가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축(44)의 단부에 마련된 결합부(46)에는 침부재(8)가 결합됨으 로써 본 고안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침부재(8)의 전단에 마련된 침핀(81)은 평상시에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이고, 캡(50)이 본체(10)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보관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형상(50')일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단 개구부에 삽입되어 침부재(8')의 선단에 결합되는 형상(5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25)를 온(on)시키면, 고압의 공기가 유입호스(24)를 통해 에어모터(20)로 공급됨으로써, 회전자(204)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종동되어 회전판(22)이 편심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판(22)에 연결된 구동축(42)이 회전판(22)의 궤적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전후로 직진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직진운동은 연결축(44)에 의해 더욱 분명한 직진운동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연결축(44)에 결합된 침부재(8)가 전후로 직진하게 됨으로써 본체(10)로부터 연속으로 출몰작동함으로써, 그 전단의 침핀(81)이 환부를 연속으로 찌를수 있다.
이때, 상기 침핀(81)은 광범위한 반경에 걸쳐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 대한 사혈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사혈침 기구의 다른 실 시예(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에어타격기(20')와, 상기 에어타격기(20')에 연결된 샤프트(22')가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안내통로(43')가 내부에 형성된 연결부(10")가 전단에 나사결합된 본체(10')와; 선단에 다수개의 침핀(8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0")의 안내통로(43')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22')에 연결는 침부재(8');로 구성된다.
즉, 내측에 안내통로(8')가 형성된 연결부(10")가 전단에 나사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10') 내에 에어타격기(20')를 설치하고, 에어타격기(20')의 샤프트(22')에 침부재(8')를 나사결합시키며, 연결부(10")의 선단에 마련된 개구부에는 캡(50',5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부(10")와 본체(10')의 나사결합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피부에 삽입되는 침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연결부(10")를 본체(10')에 덜 결합시키면 침의 돌출길이가 짧아짐으로써 침이 얕게 삽입될 수 있고, 반대로 연결부(10")를 본체(10')에 깊이 결합시키면 침의 돌출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침이 깊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침부재(8')와 샤프트(22')의 나사결합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서도 침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타격기(20')는 내부에 피스톤(미도시)과 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되어 구성되며, 본체(10')의 후단에 연결된 공기연결관(24')을 통해 에어콤프레셔(미도시) 와 연결되고, 전원선(25')에는 풋스위치(30')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미설명부호 (11')는 주전원스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풋스위치(30')를 온(on)작동시킴에 따라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강,약을 반복하면서 에어타격기(20') 내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내부의 피스톤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전후진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콤프레셔를 이용한 에어타격기(20')는 당업계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에어타격기(20')가 작동되면 그 선단에 마련된 샤프트(22')가 전후방으로 작동되고, 이에 동반하여 샤프트(22')에 연결된 침부재(8')가 연속으로 출몰작동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사혈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에어타격기(20')는 본체(10')에 마련된 모드선택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연속/자동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아울러 에어타격기(20')의 작동속도를 세분하여 대략 0 ∼ 9단계로 설정할 수 있고, 단계가 상승할수록 작동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속식 사혈침 기구에 따르면, 다수개의 침핀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사혈기능이 가능하게 되며, 아울러 연속작동에 의해 사혈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 편리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Claims (8)

  1.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구비된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와 결합부가 삽입되는 안내통로가 형성되고, 전단에 개구부 형성된 본체와;
    선단에 다수개의 침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통로에 삽입되는 침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혈침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편심되게 삽입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스와, 외주면의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회전날개가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에 결합되는 회전자와, 상기 케이스의 삽입공과 통하도록 외부에 설치된 유입 및 유출호스로 구성된 에어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혈침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혈침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힌지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힌지결합된 연결축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혈침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부재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확대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전면에 다수개의 침핀이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혈침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내통로의 전단 개구부에는 착탈가능하도록 캡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혈침 기구.
  7.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에어타격기와, 상기 에어타격기에 연결된 샤프트가 내부에 설치되며, 안내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전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부가 전단에 나사결합된 본체와;
    선단에 다수개의 침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안내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침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혈침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내통로의 전단 개구부에는 착탈가능하도록 소정의 캡이 결합되되, 상기 캡이 침부재의 선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사혈침 기구.
KR2020060019329U 2006-07-18 2006-07-18 연속식 사혈침 기구 KR200432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29U KR200432827Y1 (ko) 2006-07-18 2006-07-18 연속식 사혈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29U KR200432827Y1 (ko) 2006-07-18 2006-07-18 연속식 사혈침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561A Division KR100770370B1 (ko) 2006-07-14 2006-07-14 연속식 사혈침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827Y1 true KR200432827Y1 (ko) 2006-12-08

Family

ID=4178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329U KR200432827Y1 (ko) 2006-07-18 2006-07-18 연속식 사혈침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8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22324B2 (en) Disposable dental instrument
US9504814B2 (en) Apparatus for applying a tattoo or permanent make-up
KR200365249Y1 (ko) 전동 퍼프
JPH0318356A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100565867B1 (ko) 칫솔 장치
KR101395100B1 (ko) 피부시술장치
JP2015528380A5 (ko)
KR100770370B1 (ko) 연속식 사혈침 기구
JP3122302B2 (ja) 小型流体駆動タービンハンドピース
KR200348032Y1 (ko) 전동퍼프
KR200432827Y1 (ko) 연속식 사혈침 기구
JP5360912B2 (ja) 回転カッターを具備する外科用ステイプラーヘッド機構部
US10022203B2 (en) Handpiece for endodontic treatment
JP5422044B2 (ja) 医療用ハンドピース
CN207856013U (zh) 脉冲冲洗装置
CN107397596A (zh) 一种牙科手机
JP7455988B2 (ja) ポンプ組立体
CN220876945U (zh) 一种牙钻手机的机柄和牙钻手机
CN219331988U (zh) 一种具有刹车自停功能的牙科手机
CN217828141U (zh) 一种多功能电动牙刷
JP3635509B2 (ja) 歯科用射出ハンドピース
JP4143755B2 (ja) 往復ピストン式原動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摺動型歯面清掃器
KR20200080862A (ko) 치간칫솔을 구비한 수압식 구강세정기
CN116849838A (zh) 一种牙钻手机的机柄和牙钻手机
CN213723432U (zh) 手持式筋膜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