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716Y1 - 조립식 패널 - Google Patents

조립식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716Y1
KR200432716Y1 KR2020060024347U KR20060024347U KR200432716Y1 KR 200432716 Y1 KR200432716 Y1 KR 200432716Y1 KR 2020060024347 U KR2020060024347 U KR 2020060024347U KR 20060024347 U KR20060024347 U KR 20060024347U KR 200432716 Y1 KR200432716 Y1 KR 200432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ell
prefabricated panel
panel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택원
Original Assignee
임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택원 filed Critical 임택원
Priority to KR2020060024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7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2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 E04F2203/026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having hexagonal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패널은, 상면에는 도관이 안착되는 도관홈이 연장형성되며, 타 본체와 체결되도록 조립홈부 및 조립돌기부가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가 설치되는 면과 상기 본체가 이격되도록 하며, 본체로부터의 진동이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진 유닛;을 포함하며, 본체의 도관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육각형 모양의 셀을 가지는 벌집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본체가 벌집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그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셀구조 및 셀에 충진되는 입자의 특성에 의하여 본체로부터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경친화적인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황토 고유의 효과인 원적외선 방출에 의한 생체 활성화 및 탁월한 축열기능에 의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패널, 조립, 방진, 벌집구조, 황토, 원적외선

Description

조립식 패널 {sectional panel}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패널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패널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패널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111 : 조립돌기부
113 : 조립홈부 115 : 벌집구조
115a : 셀 117 : 도관홈
120 : 방진 유닛 121 : 스크류바
123 : 탄성체 130 : 너트
140 : 실링부재
본 고안은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비용으로 방진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층간 소음 방지 및 설치면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류를 미관상 보이지 않게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패널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패널(10)은 평탄한 패널 본체(11) 및 본체(11)의 하면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13)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크류(13)는 다수개 설치되어 본체(11)를 지지 및 본체(11)와 설치면(F)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다수개 설치된다.
하나의 패널 본체(11)가 적절하게 스크류를 조이거나 풀어 그 높이를 조절한 후, 다른 패널 본체(11)를 연이어 밀접하게 위치시킨 후 양 패널(10)의 평탄도를 유지하도록 스크류(13)를 조이거나 풀어 높이를 맞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패널(10)은, 스크류(13)가 패널 본체(11)를 관통하지 않고 스크류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10)간 평탄도를 맞추기 위하여 패널(10)을 뒤집은 후 스크류(13)를 조절 한 후, 다시 맞춰보고 맞지 않으면 다시 패널(10)을 뒤집어서 타 패널(10)과의 평탄도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패널 본체(11)가 석재나 대리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중량에 의하여 뒤 집는 거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패널 본체(11)가 습식고정에 의한 몰탈로 형성되어 고체(solid) 상태로 제조됨에 따라 그 제조공정이 길어지며, 또한 고체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방진을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으며, 속이 꽉찬 고체상태로 형성되어야 함에 따라 재료비가 증대하여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체 상태로 제조됨에 따라 본체(11)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재활용하지 못하고 본체(11) 전부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방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새집증후군과 같이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요소를 최소화하여 황토와 같은 환경 친화적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파손되더라도 재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패널은, 상면에는 도관이 안착되는 도관홈이 연장형성되며, 타 본체와 체결되도록 조립홈부 및 조립돌기부가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면과 상기 본체가 이격되도록 하며, 본체로부터의 진동이 상기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도관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육각형 모양의 셀을 가지는 벌집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셀은, 얇은 박판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이 차단되며 셀에는 황토 또는 모래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하면의 셀에는, 육각형 너트가 삽압되어 고정되며, 상기 방진 유닛은, 상기 박판을 관통하며 상기 너트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바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설치면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에 충진되는 황토 또는 모래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패널의 설치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패널(100)은, 건축물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본체(110) 및 본체(110)로부터 설치면으로 진동 전달을 최소화하는 방진유닛(12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그 상부면에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냉, 온수가 흐르는 도관(P)이 안착되는 도관홈(117)이 형성되며, 도관홈(117)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육각형 모양의 셀(115a)을 가지는 벌집구조(115)가 형성된다.
이러한 벌집구조(115)에 의하여, 일정한 경도를 유지하면서도 내부가 꽉 찬 고체상태로 형성되는 종래의 패널에 비하여 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셀(115a)은 얇은 박판(115b : 도 3 참조)에 의하여 본체(110)의 상면과 하면이 차단되며, 이러한 셀(115a) 각각에는 황토, 모래 또는 세라믹 입자(H)가 충진된다.
따라서, 황토 또는 모래 입자형태로 충진됨에 따라, 종래의 조립식 패널에서 고체 상태로서 각각의 입자가 밀착되어진 습식공법에 의한 구조에서는 근접면으로의 진동에너지 전달이 용이하게 됨에 따라 방진효과가 미비한 반면, 본 고안에서는 각각의 입자가 별개로 운동하므로 운동에너지가 급격히 소모되어 근접면으로의 진동에너지 전달이 현저히 감소하여 방진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황토(H)가 충진되는 경우 환경 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열 공급시 즉 도관(P)에 온수가 흘러 열이 공급되는 경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신체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황토(H)에 의하여 축열기능이 탁월하여 전통 구들방처럼 바닥온도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110)의 측면에는 타 본체와 조립되도록 조립홈부(113) 및 조립돌기부(111)가 형성된다. 조립홈부(113)에는 타 본체의 조립돌기부가 삽입되며 조립돌기부(111)는 타 본체의 조립홈부에 삽입되어 여러 본체(100)(200)(300)(400)가 조립됨으로써, 설치면과 이격되어 바닥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방진 유닛(120)은 본체(110)로부터 설치면으로 진동전달을 최소화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면과 접하는 탄성체(123), 상기 본체(110)의 하면측 셀(115a)에 삽압되는 육각형 모양의 너트(130) 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바(121)로 구성된다.
탄성체(123)는 진동전달시 탄성변형됨으로써 진동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본체(110)로부터 설치면으로 진동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너트(130)는 본체(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육각형 모양의 셀(115a)에 삽압되어 고정되어 스크류바(121)와 스크류체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본체(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셀(115a)중 원하는 위치에 방진 유닛(12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 조립식 패널과 같이 고정된 위치에 방진 유닛이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설치면의 상태에 따라 방진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여 본체의 평탄도를 조절하기 용이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크류바(121)는 셀(115a)에 삽압되어 고정된 너트(130)에 스크류체결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스크류바(121)는 셀(115a)에 형성되는 박판(115b)을 관통하여 본체(110)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노출되는 스크류바(121)의 단면에는 드라이버홈(121a)이 형성되어 본체(110)의 상면에서 드라이버로 스크류바(121)을 스크류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조립식 패널(10)에서는 스크류(13)가 패널 본체(11)를 관통하 지 않고 스크류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10)간 평탄도를 맞추기 위하여 패널(10)을 뒤집은 후 스크류(13)를 조절 한 후, 다시 맞춰보고 맞지 않으면 다시 패널(10)을 뒤집어서 타 패널(10)과의 평탄도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없이, 패널(100)(200)(300)(400)간 조립된 후 상부에서 일괄적으로 스크류바(121)를 스크류회전시키면서 평탄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셀(115a)에 충진되는 황토, 모래 또는 세라믹 입자(H)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동을 재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실링패드(140)가 접착된다. 이로써, 진동흡수가 방진 유닛(120), 셀구조(115a), 셀에 채워지는 입자(H) 및 실링패드(140)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가 벌집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그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셀구조 및 셀에 충진되는 입자의 특성에 의하여 본체로부터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경친화적인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황토 고유의 효과인 원적외선 방출에 의한 생체 활성화 및 탁월한 축열기능에 의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부 파손시에도 내부에 충진되는 입자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셀에 충진되는 입자에 의한 방진뿐만 아니라 방진 유닛, 실링 패드에 의한 다단계 방진설계에 따라 저비용으로 방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된 위치에 방진 유닛이 설치되지 않아도 됨으로써 설치면의 상태에 따라 방진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여 본체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간 평탄도를 맞추기 위하여 패널을 뒤집지 않고도 패널과 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방진 유닛을 스크류회전하여 패널과 설치면간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면에는 도관이 안착되는 도관홈이 연장형성되며, 타 본체와 체결되도록 조립홈부 및 조립돌기부가 측면에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설치되는 면과 상기 본체가 이격되도록 하며, 본체로부터의 진동이 상기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도관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육각형 모양의 셀을 가지는 벌집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얇은 박판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에는 황토 또는 모래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면의 셀에는, 육각형 너트가 삽압되어 고정되며,
    상기 방진 유닛은, 상기 박판을 관통하며 상기 너트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바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설치면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패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에 충진되는 황토 또는 모래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패널.
KR2020060024347U 2006-09-11 2006-09-11 조립식 패널 KR200432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47U KR200432716Y1 (ko) 2006-09-11 2006-09-11 조립식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47U KR200432716Y1 (ko) 2006-09-11 2006-09-11 조립식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201 Division 2006-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716Y1 true KR200432716Y1 (ko) 2006-12-07

Family

ID=4178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347U KR200432716Y1 (ko) 2006-09-11 2006-09-11 조립식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7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95B1 (ko) 2010-01-06 2013-08-20 (주)엘지하우시스 이중바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95B1 (ko) 2010-01-06 2013-08-20 (주)엘지하우시스 이중바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492B1 (ko)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 마감 패널
CN201627336U (zh) 一种活动组合地板
KR200432716Y1 (ko) 조립식 패널
KR20070014427A (ko) 이중바닥 방음장치
WO2008136228A1 (ja) 基板温度制御装置用ステージ
KR101011792B1 (ko) 건축물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광 전지판 고정체결장치
CN213421701U (zh) 一种建材用烘干装置
KR100585986B1 (ko) 모서리 크랙 방지제
CN113446759B (zh) 具有节能功能的地源热泵的安装结构
CN215889129U (zh) 一种装配式墙板的多向调平模块
KR19990013136A (ko) 개선된 조립식 온돌난방 시스템
KR101125323B1 (ko) 히트 파이프 난방장치
CN2651633Y (zh) 远红外辐射电热膜热地板取暖装置
KR200431403Y1 (ko) 뜬 바닥구조 방진패드를 이용한 방진방음바닥
CN111829045A (zh) 地暖结构
CN207332161U (zh) 一种带缓冲隔振功能的环保人造石英石板材
JP3370700B2 (ja) 二重床構造
KR200432715Y1 (ko) 조립식 패널
KR200404328Y1 (ko) 조립식 온돌 패널
TWI613346B (zh) 屋頂隔熱裝置
KR20050002149A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CN212250970U (zh) 一种减震装置以及空气源加热设备
CN215760193U (zh) 一种装配式免砂浆地面板块隔声减震安装构造
CN220067294U (zh) 一种光伏夹芯板及光伏构件
CN210556779U (zh) 一种建筑材料防潮湿存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