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523Y1 - 국자 - Google Patents
국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2523Y1 KR200432523Y1 KR2020060024100U KR20060024100U KR200432523Y1 KR 200432523 Y1 KR200432523 Y1 KR 200432523Y1 KR 2020060024100 U KR2020060024100 U KR 2020060024100U KR 20060024100 U KR20060024100 U KR 20060024100U KR 200432523 Y1 KR200432523 Y1 KR 2004325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p
- holes
- food
- receiving portion
- scoo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 A47J43/285—Skimmers; Skimming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자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국자는; 음식이 담길 수 있게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 수용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부; 및 수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수용부의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게 배치되면서,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관통공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국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국자를 이용하여 음식을 국물과 건더기로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국자를 이용하여 국물만 담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수용부 120..손잡이부
130..관통공들 140..눈금
150..주둥이부
본 고안은 국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이동하여 그릇에 담는데 사용되는 국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자는 국이나 액체 따위를 뜨는 데 쓰는 기구이다. 이러한 국자는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에 된장찌개, 육계장, 국수, 미역국 등의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하고 나서, 조리기구로부터 개인 용기에 조리된 음식을 옮겨 담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된장찌개, 육계장, 국수 등의 건더기 중 일정량을 국자를 이용하여 담는 경우, 종래의 국자는 국과 음식물을 함께 담아 조리기구의 내면에 국자를 기울여서 국물을 따라 내는 방법으로 국물과 건더기의 양을 조절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건더기가 국자에 많이 담긴 경우 국물이 잘 흘러내리지 않아서 국물의 양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국자에 국물만을 담으려고 하면, 국물과 함께 건더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음식물을 조리된 조리기구로부터 개인 용기에 건더기와 국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하고 담아서 옮길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국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국자는: 음식이 담길 수 있게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수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게 배치되면서,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관통공들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국자(100)는 수용부(110)와, 손잡이부(120), 및 관통공들(130)을 포함한다.
수용부(110)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음식이 담길 수 있게 이루어진다.
한편, 수용부(110)는 담긴 국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140)을 더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들(130)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옮겨 담고자 하는 용기에 흘리지 않으면서 배출시키도록 국물(210)을 모아서 배출하는 주둥이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수용부(1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2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잡고 수용부(110)를 이동하여 수용부(110)에 음식을 담거나 배출하게 한다.
한편, 손잡이부(120)는 데워진 음식의 뜨거운 열이 수용부(110)를 지나 손잡이부(120)를 통해 사용자에 전달되지 않도록, 소정의 부위가 비전열성 재질을 코팅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손잡이부(120)를 비전열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통공들(130)은 담긴 음식의 국물(210)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수용부(110)에 다수 개 배치된다. 이러한 관통공들(130)은 수용부(110)내로 유입된 국물(210)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수용부(1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수용부(110)의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관통공들(130)이 수용부(11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면, 수용 부(110)에 담긴 국물(210)이 관통공들(130)을 통과하여 국물(210)의 수면이 관통공들(130)의 최저 높이에 자동으로 맞춰지게 되므로, 음식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관통공들(130)이 수용부(110)의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 이하에 배치되면, 관통공들(130)을 통해 국물(210)이 모두 배출되므로 건더기(220)만 담을 뿐,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국물(210)의 양을 조절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관통공들(130)이 수용부(110)에 하나의 층으로 배치되면, 건더기(220)에 의해 국물(210)의 배출이 어려워짐으로 국물(210)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관통공들(130)을 복수의 층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관통공들(130)이 수용부(1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수용부(110)의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게 배치되며, 복수의 층으로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부(120)를 기울여서 수용부(110)에 담긴 음식의 국물(210)을 관통공들(130)을 통하게 하여 국물(210)과 건더기(220)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국자(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국자(100)를 이용하여 음식을 분리하고, 국물만 담는 과정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국자(100)로 음식을 거르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음식을 수용부(110)에 담은 뒤 소정의 국물(210)을 배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건더기(220)와 국물(210)을 담는 경우, 국자(100)에 건더 기(220)와 국물(210)을 동시에 담는다. 그러고 나서 사용자가 관통공들(130)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국자(100)를 기울이면, 관통공들(130)을 통해 국물(210)을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4는 국자를 이용하여 국물만 담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찌개나 라면 등 건더기(220)와 국물(210)이 함께 있는 음식으로부터 수용부(110)에 국물(210)만을 수납하는 경우이다. 사용자는 음식이 담긴 조리기구(200)에 수직으로 국자(100)를 이동한다. 이때 국자(100)가 국물(210)에 완전히 잠기지 않게 하면서, 관통공들(130)이 국물(210)의 수면에 닿게 한다. 그러면, 관통공들(130)을 통해 국물(210)이 유입되고 관통공들(130)의 직경보다 큰 건더기(220)는 수용부(110)내로 유입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수용부(110)내의 눈금(140)을 보면서 원하는 양의 국물(210)만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수용부(110)에 형성된 관통공들(130)에 의해 국물(210)만 담거나, 국물(210)과 건더기(220)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국자에 의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기울여서 수용부에 담긴 음식의 국물을 관통공들을 통과하게 하여 국물과 건더기의 혼합된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용부에 국물만 담거나, 국물과 건더기의 양을 용이하게 조 절하여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용부내의 눈금을 보면서 원하는 양의 국물만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 음식이 담길 수 있게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상기 수용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부; 및상기 수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되게 배치되면서,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관통공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용부에는:담겨진 음식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게 배치된 눈금; 및상기 관통공들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고, 국물을 모아서 배출하도록 형성된 주둥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4100U KR200432523Y1 (ko) | 2006-09-07 | 2006-09-07 | 국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4100U KR200432523Y1 (ko) | 2006-09-07 | 2006-09-07 | 국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2523Y1 true KR200432523Y1 (ko) | 2006-12-05 |
Family
ID=4178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4100U KR200432523Y1 (ko) | 2006-09-07 | 2006-09-07 | 국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2523Y1 (ko) |
-
2006
- 2006-09-07 KR KR2020060024100U patent/KR2004325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92213A (en) | Microwave cooking and serving dish | |
US6419107B1 (en) | Cookware | |
US20080149634A1 (en) | Container with utensil holder | |
US20200305644A1 (en) | Grease strainer for cooking apparatus | |
US9125514B1 (en) | Cooking vessel with lid and handle device | |
WO2011126495A1 (en) | Perforated vessel for food preparation | |
US8071923B2 (en) | Device for microwave heating of a food product | |
US20170209002A1 (en) | Colander shafted kitchen utensil | |
US4873918A (en) | Strainer pot with whistling spout | |
US20090283482A1 (en) | Kitchen Utensil | |
KR200432523Y1 (ko) | 국자 | |
US4845893A (en) | Balanced cookware construction | |
JP2588141B2 (ja) | 組合せ調理鍋 | |
US5988046A (en) | Deep frying and serving implement | |
KR20220035810A (ko) |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 |
KR20220000662U (ko) | 기름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곱창용 프라이팬 | |
KR101867087B1 (ko) | 조리용기용 덮개 | |
KR200376385Y1 (ko) | 찜기 | |
JP2004242709A (ja) | 調理容器 | |
KR100636860B1 (ko) | 찜기 | |
KR101628808B1 (ko) | 조리용기용 덮개 | |
CN209789505U (zh) | 蒸桶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KR200410969Y1 (ko) | 후라이팬 | |
KR200453883Y1 (ko) | 결합이 용이한 조리기구 | |
JP5133901B2 (ja) | スチーム調理デバイス用の調理アクセサ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26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