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432Y1 - 덕트 - Google Patents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432Y1
KR200432432Y1 KR2020060024388U KR20060024388U KR200432432Y1 KR 200432432 Y1 KR200432432 Y1 KR 200432432Y1 KR 2020060024388 U KR2020060024388 U KR 2020060024388U KR 20060024388 U KR20060024388 U KR 20060024388U KR 200432432 Y1 KR200432432 Y1 KR 200432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assage
exhaust
int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복
Original Assignee
조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복 filed Critical 조신복
Priority to KR2020060024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4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흡기통로와 배기통로를 함께 형성하여, 흡배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덕트관(10) 내부로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가 각각 구획되도록 하는 격벽(30)을 형성되어 구성된다.
덕트, 분기, 격벽, 분리벽, 흡기통로, 배기통로

Description

덕트{A DUCT}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덕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덕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다양한 방향으로 분기하기 위해 분기관에 접속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덕트관 11 - 흡기통로
12 - 배기통로 30 - 격벽
40, 50, 60 - 분기관 70 - 싱글덕트
본 고안은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흡기통로와 배기통로를 함께 형성하여, 흡배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공간이나 작업공간에 있어서 공기의 순환은 필수적이며 따라서 모든 건축물들은 건축법 등과 같이 정해진 법에 의하여 환기시스템을 설비해야 한다.
환기 시스템들은 크게 자연순환식과 강제순환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공공건물이나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 등에는 대부분 이들 환기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종래 덕트(1)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흡입 또는 배기하기 위한 흡기시스템(5)에 흡기용 덕트(2) 및 배기용 덕트(3)가 각각 별도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건축물 등에 적용되는 덕트는 내, 외부 공기를 유입 및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이 따로 형성되는 관계로 환기효율 및 배기효율이 지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덕트를 시공할 때 배기용 덕트와 흡기용 덕트를 각각 별도로 시설해야 하므로 제작비와 시공비가 크게 상승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주어진 공간내에서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몸체에 흡기통로와 배기통로를 함께 형성하여, 전체적인 환기시스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덕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보다 적은 시공 공간에서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덕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덕트관(10) 내부로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가 각각 구획되도록 하는 격벽(3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덕트관(10)의 격벽(30)을 통해 구획된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가 동시에 형성되므로, 건축물 내부의 환기시 내부공기의 배출과 외부공기 유입 효율을 극대화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덕트에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를 동시에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시 설치공간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슬림화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덕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 건축물의 내부 천장부에 흡기덕트와 배기덕트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덕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 몸체부 내부로형성되는 통로부에 흡기통로와 배기통로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 다양한 방향으로 분기하기 위해 분기관에 접속되는 구성을 도시하고있다.
본 고안의 덕트관(10)은 사각 내지 긴장타원 형상의 속이 빈 단면 형상을 갖으며 그 내부로 격벽(30)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을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를 구획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30)을 별도 제작하여 덕트관(10)의 내부에 끼워 접착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덕트관(10)이 압출의 방법으로 합성수지재로 연속 성형될 때 금형에 의해서 격벽(30)이 일체로 성형되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한 덕트관(10)을 여러 방향으로 분기할 필요가 있는데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분기관(40)(50)(60)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가 각각 연통된 상태로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분기관(40)은 덕트관(10)을 약 90。 분기시킬 때 적합하다.
이 분기관(40)은 덕트관(10)의 끝단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흡기통로(41)와 배기통로(42)를 각각 별도로 구획하기 위해 분리벽(43)이 형성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분기관(50)은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를 구비한 덕트관(10)으로부터 흡기통로(11) 및 배기통로(12)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하나의 통로만 형성된 싱글덕트(70)로 분기할 때 이용된다.
따라서 이 분기관(50)의 내부는 분리벽(53)에 의해 흡기통로(51)와 배기통로(52)가 분리된다.
도 5의 실시예에 도시한 분기관(60)은 흡기통로(61)와 배기통로(62)를 구획한 상태로 영문자 'T'형상으로 덕트관(10)이 분기될 때 적용된다.
이 분기관(60) 내부에는 흡기통로(61)와 배기통로(62)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벽(63)이 영문자 'T'형상으로 내부를 전체적으로 구획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는 격벽(30)에 의해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를 구획하고 있는 덕트관(10)의 중간에 접속분기관(15)(16)을 양측에 각각 구비하여 이 접속분기관(15)(16)을 통해 싱글덕트(70)가 접속되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싱글덕트(70)는 흡기 및 배기 기능만을 수행하는 하나의 속이 빈 관체로 원하는 방향으로 흡기통로(11) 및 배기통로(12)만을 분기 시공할 때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나의 덕트관(10)에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가 각각 구획되어 있으므로 흡기통로(11)를 통해 외부 신선한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동시에 실내 공기가 배기통로(12)를 통해 배기가 이루어 지므로써 실내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공기 정화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외부공기유입을 위한 흡기통로와 내부공기배출을 담당하는 배기통로를 통로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공기 정화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통로부의 방향 및 설정각도 등을 설치장소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므로, 제품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덕트관(10) 내부로 흡기통로(11)와 배기통로(12)가 각각 구획되도록 하는 격벽(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관(10)에는 분리벽(43)(53)(63)에 의해 흡기통로와 배기통로가 각각 구획된 분기관(40)(50)(60)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관(10)에는 접속분기관(15)(16)이 형성되어 싱글덕트(70)가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KR2020060024388U 2006-09-11 2006-09-11 덕트 KR200432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88U KR200432432Y1 (ko) 2006-09-11 2006-09-11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88U KR200432432Y1 (ko) 2006-09-11 2006-09-11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432Y1 true KR200432432Y1 (ko) 2006-12-01

Family

ID=4178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388U KR200432432Y1 (ko) 2006-09-11 2006-09-11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4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8826A1 (en) * 2007-08-27 2009-03-05 Vstech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962492B1 (ko) * 2008-06-20 2010-06-14 서진공조 주식회사 열회수 환기장치용 급배기장치
KR101114214B1 (ko) * 2009-10-07 2012-03-05 홍현성 환기장치용 덕트의 분할식 청소방법
WO2021048731A1 (de) * 2019-09-09 2021-03-18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Lüftungskanalbauteil, lüftungskanalbausatz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8826A1 (en) * 2007-08-27 2009-03-05 Vstech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962492B1 (ko) * 2008-06-20 2010-06-14 서진공조 주식회사 열회수 환기장치용 급배기장치
KR101114214B1 (ko) * 2009-10-07 2012-03-05 홍현성 환기장치용 덕트의 분할식 청소방법
WO2021048731A1 (de) * 2019-09-09 2021-03-18 Zehnder Group International Ag Lüftungskanalbauteil, lüftungskanalbausatz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696B2 (ja) 空気対空気熱交換器
KR200432432Y1 (ko) 덕트
CA2668750A1 (en) Film cooling structure
SE7900320L (sv) Ventilator
KR101294247B1 (ko) 블럭 조립식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TWI577946B (zh) 氣流交換裝置
JP6175020B2 (ja) 住宅
JP2010112622A (ja) セントラル換気扇
CN211901858U (zh) 穿墙管
JP2004197439A (ja) 建物の換気構造
JP2007139203A (ja) 換気構造及び換気方法
JP2005083598A (ja) 屋根裏・床下・居室収納部等の同時換気システム
JP7100689B2 (ja) ユニット建物の換気システム
JP2006057967A (ja) 分岐型サプライチャンバー
DE50300521D1 (de) Stall
GB2481225A (en) Heat exchanger particularly for use in the ventilation of buildings
JPH0590237U (ja) 換気用ダクト
KR100962492B1 (ko) 열회수 환기장치용 급배기장치
TW201732202A (zh) 氣流交換裝置
JP2001201127A (ja) 二重管ダクト用ベントキャップ
JPS56121932A (en) Ventilator
KR200446717Y1 (ko) 환기장치용 연결구
RU2004132387A (ru)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шумоглушитель "зигзаг"
JP4989168B2 (ja) 建物
JP1725211S (ja) 校舎用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