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621Y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621Y1
KR200431621Y1 KR2020060019614U KR20060019614U KR200431621Y1 KR 200431621 Y1 KR200431621 Y1 KR 200431621Y1 KR 2020060019614 U KR2020060019614 U KR 2020060019614U KR 20060019614 U KR20060019614 U KR 20060019614U KR 200431621 Y1 KR200431621 Y1 KR 200431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enser
coupling
shaft
nozz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060019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6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6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용기 내의 유체를 토출시키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 측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중공(中空)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감압시키는 피스톤, 상기 샤프트와 연통되면서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노즐 헤드 및 상기 하우징 상단부에 결합되는 차플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플렛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주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리브를 구비한다.
디스펜서, 하우징, 샤프트, 차플렛, 결합리브

Description

디스펜서 {DISPENS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즐헤드와 차플렛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디스펜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용기 22: 하우징
23: 샤프트 24: 피스톤
25: 탄성부재 26: 차플렛
261: 암나사 262: 결합리브
31: 노즐헤드 311: 수나사
본 고안은 용기 내에 충진된 유체를 토출시키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결합되는 차플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세제, 비누, 샴푸 등과 같은 유체를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펌핑 작용으로 배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액체 토출 장치이다. 도 7은 일반적인 디스펜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면, 종래 디스펜서(10)는 노즐 헤드(11)의 누름 작용에 의해 피스톤을 구비한 샤프트(12)의 왕복운동으로 하우징 내의 압력을 변화시켜 노즐헤드(11)를 통하여 용기(13) 내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를 유통하는 과정에서는 노즐헤드(11)가 눌려 용기(13) 내의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노즐헤드(11)는 차플렛과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노즐헤드(11)가 차플렛에 체결된 경우, 노즐헤드(11)의 정렬 방향이 외관상 보기 좋은 방향으로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종래 디스펜서(10)에서는 노즐헤드(11)의 방향을 정렬하기 위해, 노즐헤드(11)와 차플렛의 결합을 노즐헤드(11)의 방향이 정렬될 때까지 풀어야 하는데, 노즐헤드(11)를 풀다 보면 노즐헤드(11)가 샤프트(11)와 함께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노즐헤드(11)가 상승하면, 노즐헤드(11)를 다시 차플렛에 결합시키도 록 노즐헤드(11)를 눌러야 하며, 노즐헤드(11)를 누르면 용기(13) 내의 유체가 토출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판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노즐헤드(11)와 차플렛을 결합시킨 상태로 노즐헤드(11)와 차플렛을 함께 회전시켜 노즐헤드(11)의 방향을 정렬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종래 차플렛과 하우징의 결합 구조로는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즐헤드를 차플렛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품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노즐헤드의 방향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용기 내의 유체를 토출시키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 측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중공(中空)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감압시키는 피스톤, 상기 샤프트와 연통되면서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노즐 헤드 및 상기 하우징 상단부에 결합되는 차플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플렛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주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리브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차플렛은 원통형의 본체 및 이 본체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각 결합리브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의 길이방향과 상기 결합리브와 상기 차플렛 본체의 연결 지점에서의 접선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30° ~ 40°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헤드는 상기 차플렛과 나사 결합되고, 이때 상기 나사결합의 풀림 방향으로 상기 결합리브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는 직선형 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주방세 제, 샴푸, 린스 또는 바디 클렌저와 같은 유체가 충진되는 용기(20), 상기 용기(20)의 개구부 측에 캡(21)에 의해 고정되는 하우징(22), 하우징(22) 내부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중공(中空) 샤프트(23), 샤프트(23)의 하부 외측에 위치하는 피스톤(24), 샤프트(23) 하단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5) 및 하우징(22)의 상단에 고정되는 챠플렛(26)을 포함한다.
하우징(22)은 용기(20) 내의 하방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볼(27)에 의해 개폐되는 유입구(28)가 형성되며, 하우징(22)의 상부에는 부압홀(29)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2) 하단에는 튜브(30)가 연결되어 하우징(22) 내부로 유체의 유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샤프트(23)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노즐헤드(31)가 고정되며, 샤프트(23)의 하부 외주면에는 피스톤(24)을 하강시킬 수 있는 플랜지부(32)가 구비된다. 노즐헤드(31)의 하부에는 수나사(311)가 형성된다.
피스톤(24)은 샤프트(23)의 플랜지부(32) 하부에서 하우징(22)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샤프트(23)의 하강시 플랜지부(32)에 걸려 샤프트(23)와 함께 하강한다.
탄성부재(25)는 샤프트(23)와 피스톤(24)의 하강 후 샤프트(23)와 피스톤(24)을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한다. 탄성부재(25)는 일례로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플렛(26)은 하우징(22)과 샤프트(23) 사이에 위치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261)를 구비하여 노즐 헤드(31)의 수나사(311)와 체결될 수 있다. 도 2의 A 부분에는 후술할 차플렛(26)의 결합리브(262)(도 4에 도시, 이하 동일)와 하우징(22)의 걸림턱(221)(도 5에 도시, 이하 동일)이 접촉된다. 도 1에는 편의상 결합리브(262) 및 걸림턱(221)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이러한 결합리브(262)와 걸림턱(22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즐헤드와 차플렛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디스펜서의 부분 단면도로서, 디스펜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펌핑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노즐헤드(31)의 수나사(311)와 차플렛(26)의 암나사(261)가 체결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횡방향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하우징(22)과 결합되는 차플렛(26)에 소정 각도(θ1)로 경사지게 형성된 결합리브(262)를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26)은 원통형의 본체(263)와, 이 본체(263)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264)를 포함하며, 결합리브(262)는 본체(263)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배치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차플렛(26)과 하우징(22)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합리브(262)는 차플렛 본체(263)의 중심방향에서 일측으로 소정 각도(θ1)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결합리브(262)는 하우징(2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221)과 결합된다.
이 결합리브(262)와 걸림턱(221)은 서로 일대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 간격 및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플렛(26)의 결합리브(262)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차플렛(26)이 일 방향(도 5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기가 용이해진다. 즉, 차플렛(26)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차플렛(26)의 결합리브(262)는 하우징(22)의 걸림턱(221)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 결합리브(262)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결합리브(262)는 하우징(22)의 걸림턱(221)을 좀 더 쉽게 넘어갈 수 있게 된다.
결합리브(262)의 경사각(θ2) 즉, 상기 결합리브(262)의 길이방향과 상기 결합리브(262)와 상기 차플렛 본체(263)의 연결 지점에서의 접선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차플렛(26)과 하우징(22)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회전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결합리브(262)의 경사각(θ2)은 39°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경사각(θ2)은 30° ~ 40° 범위 내에 어느 각도로도 형성될 수 있다. 결합리브(262)의 경사각(θ2)이 30°보다 작으면 차플렛(26)과 하우징(22)의 결합력이 약해져 차플렛(26)이 너무 쉽게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결합리브(262)의 경사각(θ2)이 40°보다 크면 사용자가 차플렛(26)을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결합리브(262)의 경사각(θ2)은 30°~ 40° 범위 내인 것이 차플렛(26)과 하우징(22)의 결합력을 고려한 최적의 범위인 것이다.
그리고, 차플렛(26)이 회전하는 방향은 노즐헤드(31)와 차플렛(26)의 나사결합의 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차플렛(26)의 결합리브(262)는 상기 나사결합의 풀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횡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차플렛(26)의 결합리브(262) 형상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이 결합리브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플렛(33)의 결합리브(331)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결합리브(331)가 유선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차플렛(33)이 회전할 때, 하우징(22)의 걸림턱(221)을 더욱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차플렛의 결합리브를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노즐헤드와 차플렛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차플렛을 일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는 노즐헤드의 방향 정렬을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Claims (7)

  1. 용기 내의 유체를 토출시키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 측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중공(中空)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감압시키는 피스톤,
    상기 샤프트와 연통되면서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고정되는 노즐 헤드 및
    상기 하우징 상단부에 결합되는 차플렛을 포함하며,
    상기 차플렛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주면에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플렛은 원통형의 본체 및 이 본체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는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각 결합리브와 대응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디스펜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의 길이방향과 상기 결합리브와 상기 차플렛 본체의 연결 지점에서의 접선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30° ~ 40° 범위 내인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가 상기 차플렛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결합의 풀림 방향으로 상기 결합리브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디스펜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펜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펜서.
KR2020060019614U 2006-07-20 2006-07-20 디스펜서 KR200431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614U KR200431621Y1 (ko) 2006-07-20 2006-07-20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614U KR200431621Y1 (ko) 2006-07-20 2006-07-20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621Y1 true KR200431621Y1 (ko) 2006-11-23

Family

ID=4177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614U KR200431621Y1 (ko) 2006-07-20 2006-07-20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6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72A (ko) * 2021-11-25 2023-06-01 이수민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샴푸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72A (ko) * 2021-11-25 2023-06-01 이수민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샴푸 용기
KR102630407B1 (ko) * 2021-11-25 2024-01-29 이수민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샴푸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0322B2 (ja) 回転吐出式化粧品容器
KR20120040814A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366696B1 (ko)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CN102333708A (zh) 具备反转、折回底壁的合成树脂制容器
KR200438097Y1 (ko) 화장품 용기
JP2010006462A (ja) キャップ
CN100490699C (zh) 化妆刷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KR200431621Y1 (ko) 디스펜서
JP5079305B2 (ja) 液体吐出器
CN106927413A (zh) 底部往上液体灌注系统
KR100856728B1 (ko)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JP6173892B2 (ja) 二重容器
KR200376734Y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0427129Y1 (ko) 유체 저장 용기
JP2005271924A (ja) 液吐出器
CN107719923B (zh) 泵头组件及带有该泵头组件的液体分配器
CN112515600A (zh) 喷管组件和洗碗机
KR200311101Y1 (ko) 플러그식 판스프링을 이용한 용기의 토출구조
KR20150044869A (ko) 화장용 튜브용기
CN215902011U (zh) 泵式容器
CN209739734U (zh) 卫生型出料瓶盖
KR200230169Y1 (ko) 화장수 분사용기의 분사버튼 구조
KR200435901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