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129Y1 - 유체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유체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129Y1
KR200427129Y1 KR2020060019012U KR20060019012U KR200427129Y1 KR 200427129 Y1 KR200427129 Y1 KR 200427129Y1 KR 2020060019012 U KR2020060019012 U KR 2020060019012U KR 20060019012 U KR20060019012 U KR 20060019012U KR 200427129 Y1 KR200427129 Y1 KR 200427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in body
pressing
nozzl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060019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1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는 소정 유체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하여 펌핑 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 내의 유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삽입홈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지지되면서 누름 작용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실질적으로 토출시키는 접이식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접철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유체, 샴푸, 용기, 본체, 디스펜서, 캡부, 삽입홈, 누름부, 접이식, 노즐부, 회동

Description

유체 저장 용기 {CONTAINER FOR FLUID}
이 도면들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본체 30... 디스펜서
31... 캡부 32... 삽입홈
33... 누름부 35... 샤프트
36... 펌핑유닛 37... 노즐부
39... 튜브 41... 힌지축
본 고안은 유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유체를 펌핑 작용에 의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유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 비누, 샴푸 등과 같은 액상의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 용기는 그 유체를 저장하는 용기 본체와,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펌핑 작용으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디스펜서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유체 저장 용기에 있어, 디스펜서는 노즐 헤드의 누름 작용에 의해 피스톤을 구비한 샤프트의 왕복 운동으로 소정 실린더 내의 압력을 변화시켜 노즐 헤드를 통하여 용기 본체 내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유체 저장 용기는 휴대시나 장기간 보관시 진동이나 외력이 노즐 헤드에 가해지는 경우,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노즐 헤드의 누름 작용으로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면서 용기 주변을 더럽히거나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노즐 헤드가 눌려지면서 원하지 않는 유체의 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는 소정 유체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하여 펌핑 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 내의 유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삽 입홈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지지되면서 누름 작용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실질적으로 토출시키는 접이식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접철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체 저장 용기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누름부에 형성된 힌지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로킹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주방세제, 샴푸, 린스 또는 바디 클렌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저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체 저장 용기(100)를 설명하면, 이 유체 저장 용기(100)는 주방 세제, 샴푸, 린스, 바디 클렌저와 같은 액상의 유체를 저장하고, 누름 동작에 의한 펌핑 작용을 이용하여 유체를 토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유체 저장 용기(100)는 유체를 수용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와 결합하는 디스펜서(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단 부분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30)는 본체(10)에 수용된 유체를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펌핑 작용으로 배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른바 액체 토출장치로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30)는 본체(10)의 개방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캡부(31)와, 그 캡부(31)에 대하여 상하 왕복 운동을 하는 누름부(33)와, 누름부(33)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노즐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캡부(31)는 본체(10)의 개방 단부를 막는 마개로서, 그 본체(10)의 개방 단부에 나사 결합, 억지끼워맞춤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누름부(33)는 캡부(31)에 지지되면서 누름 작용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실린더 형태의 펌핑유닛(36)과 연결되는 중공(中空) 형태의 샤프트(35)를 포함한다.
여기서, 펌핑유닛(36)은 본체(10)의 개구부 측에 캡부(31)에 의해 고정되며, 누름부(33)의 누름과 복원에 의한 피스톤 작용으로 본체(10) 내의 유체를 샤프트(35)로 압송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펌핑유닛(36)은 디스펜서에 채용되 는 통상적인 펌핑유닛의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39는 펌핑유닛(36)과 연결되면서 그 펌핑유닛(36)의 피스톤 작용에 의해 본체(10) 내의 유체를 빨아들이는 튜브를 나타낸다.
노즐부(37)는 누름부(33)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샤프트(35)와 상호 연통되면서 그 샤프트(35)를 통해 압송되는 유체를 배출시키는 노즐 헤드로서 구비된다. 노즐부(37)에는 샤프트(35)의 중공과 상호 연통되면서 상기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공(37a)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저장 용기(100)에 있어, 노즐부(37)는 누름부(3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식으로서 구성되며, 캡부(31)는 노즐부(37)의 접철시 그 노즐부(37)가 끼워지는 삽입홈(32)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부(37)는 샤프트(35)와 상호 연통되면서 누름부(33)에 형성된 힌지축(41)에 힌지 결합되는 바, 그 힌지축(41)을 중심으로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접철되면서 캡부(31)의 삽입홈(32)에 끼워지거나 그 삽입홈(3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7)가 힌지축(41)을 힌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경우, 본체(10) 내에 수용된 유체는 누름부(33)의 누름에 의한 펌핑유닛(36)의 펌핑 작용으로 노즐부(37)의 토출공(37a)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노즐부(3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41)을 중심으로 접철되면서 캡부(31)의 삽입홈(32)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누름부(33)는, 노즐부(37)가 캡부(31)의 삽입홈(32)에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그 노즐부(37)에 의해 누름 동작이 구속된다. 이러한 경우, 누름부(33)는 노즐부(37)에 의해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누름부(33)에 진동이나 기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노즐부(37)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노즐부의 접철시 그 노즐부가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누름부의 누름 동작을 구속하게 되므로, 종래와 달리 노즐부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노즐부를 통해 불필요한 유체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휴대시나 장기 보관시 용기의 주변이 유체에 의해 더럽혀지거나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 유체를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결합하여 펌핑 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 내의 유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는 삽입홈을 가지면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지지되면서 누름 작용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실질적으로 토출시키는 접이식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접철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유체 저장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가 상기 누름부에 형성된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는 유체 저장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체 저장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로킹되게 설치되는 유체 저장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주방세제, 샴푸, 린스 또는 바디 클렌저인 유체 저장 용기.
KR2020060019012U 2006-07-13 2006-07-13 유체 저장 용기 KR200427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012U KR200427129Y1 (ko) 2006-07-13 2006-07-13 유체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012U KR200427129Y1 (ko) 2006-07-13 2006-07-13 유체 저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129Y1 true KR200427129Y1 (ko) 2006-09-20

Family

ID=4177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012U KR200427129Y1 (ko) 2006-07-13 2006-07-13 유체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1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553B1 (ko) * 2020-09-07 2021-08-27 김재홍 유체 디스펜서
KR20220026685A (ko) * 2020-08-26 2022-03-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이 편리한 다용도 분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685A (ko) * 2020-08-26 2022-03-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이 편리한 다용도 분무기
KR102503103B1 (ko) * 2020-08-26 2023-0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이 편리한 다용도 분무기
KR102295553B1 (ko) * 2020-09-07 2021-08-27 김재홍 유체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7561B2 (ja)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JP2004203443A (ja) 流動体貯留容器
KR20120128141A (ko) 유동성 물질 보존 용기 및 그 뚜껑
CN102333708A (zh) 具备反转、折回底壁的合成树脂制容器
JP2013500907A (ja) 内容物の詰め替えが可能な紙管容器
KR200427129Y1 (ko) 유체 저장 용기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101038011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프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JP2008114862A (ja) 液体吐出器
WO2015152251A1 (ja) 注出ポンプの支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注出ポンプと注出容器
JP6540723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とこれを装着してなる容器
KR100766797B1 (ko) 유체 토출 장치
US9403632B1 (en) Fluid dispenser
JP5476084B2 (ja) 反転、折返し底壁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
KR200281556Y1 (ko) 샴푸 용기의 버튼체
KR200488586Y1 (ko) 용기의 내용물 잔량 제거용 기구
JP3956187B2 (ja) 吐出弁付きノズル状部材洗浄用ポンプと該ポンプの使用方法
KR200433595Y1 (ko) 회전펌프식 화장품 용기
JP5336116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を備えた容器
KR20200001908A (ko) 잔량 토출용 액체 용기 제작방법
CN215902011U (zh) 泵式容器
KR200431621Y1 (ko) 디스펜서
KR200339927Y1 (ko) 치약뚜껑
JP4428575B2 (ja) ポン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